문화봉사의 영역이 열리고 있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문화봉사자 교육 성황 이뤄

2. 문화의 세기는 전광판에만 있지 않다

3. 문화봉사, 새로운 문화운동의 형식 창조

4.문화적 삶의 능력 창조는 문화봉사로부터

5. 지역문화공간에는 지역주민이 문화봉사를

6. 문화복지공간으로 활성화할 수 있는 곳은 많다

7. 문화봉사교육의 핵심은 문화감수성부터 키우는 것

본문내용

는 것이다. 따라서 문화봉사자들을 환영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문화공간을 열어가기 위해 현 단계에서의 전략은 우선 일반s인들을 대상으로한 문화봉사자 교육과 문화공간 실무자 교육을 확산시켜 나가면서 문화봉사에 대한 인식을 넓혀가는 것이다. 다음 단계는 문화봉사자들을 필요로 하는 문화공간을 대상으로 수요처를 확대하는 것이며, 더 나아가 특정의 공간에 적합한 문화봉사자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육해 나가는 것이다. 문화봉사에 대한 의식이 깨이면 문화봉사활동은 당연한 것이 되어간다. 이제껏 보아왔던 사회복지시설에서의 자원봉사처럼. 그러나 문화봉사영역의 확산보다 정말 중요한 것은 문화봉사교육을 통해 문화시설 실무자와 봉사자들의 문화감수성을 키우는 일이다. 문화감수성은 문화전반에 대한 이해와 체험을 통해 자신의 관점에서 제대로 된 문화읽기에서 비롯한다. 문화봉사자는 문화공간에서 단순한 안내업무가 아닌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또 어떤 대상물을 최대한으로 설명해 줄 수 있는 안내자이어야 한다면, 문화내용물에 대한 일정한 합의의 가치기준과 그 판단력은 매우 중요한 핵심이 되기 때문이다. 이제 문화봉사자 교육은 시작되었고 문화공간을 수준급의 문화봉사자로 채우는 일만 남았다.■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2.06.25
  • 저작시기20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70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