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언어능력 신장의 관점에서 본 언어 지식 영역의 지도 내용
1. 서론
언어 지식 영역에서 가르칠 내용을 추출하는 일은 언어 지식 영역이 국어 교육 전체에서 차지하는 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국어 교육을 보는 관점에 따라 언어 지식 영역의 위상과 그 지도 내용은 크게 달라진다.
언어 지식 영역에 대한 논의에서는 언어 지식이 독지적인 가치를 갖는 것인지 여부가 논란이 된다. 언어 지식이 독지적인 가치가 있다는 주장은 국어 교육 속에서 논의되지 않는다면, 그 나름대로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그것이 국어 교육에서 논의되는 한 국어 교육의 본질적인 목표인 언어 사용 능력을 신장시키는 데 기여한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그런데도 언어 지식이 표현과 이해의 언어 활동과 어떤 관련이 있으며, 그것이 구체적으로 어떤 기여를 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기 때문에 언어 지식의 지도는 단순히 지식 교육으로 생각되기도 했다. 국어 교육의 역사에서 언어 지식이 표현, 이해의 언어 사용과 대등한 위치를 점유하고 문학과 함께 국어 교육을 삼분하고 있었던 것도 바로 이러한 생각의 산물이다.
2. 언어 사용 능력과 언어 지식
3. 언어 지식 영역 설정의 기본 틀
4. 언어 지식 영역의 지도 내용
5. 결 론
언어 지식영역의 지도 내용 선정은 언어 사용 능력과 관련된 것들을 몇 가지로 유목화하여 제시하게 되는데, 이는 상세화하는 것이 언어 지식 영역의 체계를 제대로 보여 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학교 급별 배열에서의 기준도 설정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언어 지식의 지도 내용은 그 내용 중 초등에 배열할 것과 중등에 배열할 것을 구별할 수 없다. 모든 내용이 학교급과 관계없이 언어 사용을 다루는 국어 교육에서 반드시 다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다만 초등에서는 전문적인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이론적인 설명이 없이 다루어지고, 중등에서는 이론적인 설명과 전문 용어의 사용이 필요하다는 차이가 있을 뿐이다. 또한 고등학교의 문법 과목에서 다루는 언어 지식은 중등에서 다루는 것보다 더 전문적이고 이론적인 것으로, 그 목적이 일반적인 언어 사용에 머무르지 않고 특수한 영역으로 확대된 것이다.
1. 서론
언어 지식 영역에서 가르칠 내용을 추출하는 일은 언어 지식 영역이 국어 교육 전체에서 차지하는 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국어 교육을 보는 관점에 따라 언어 지식 영역의 위상과 그 지도 내용은 크게 달라진다.
언어 지식 영역에 대한 논의에서는 언어 지식이 독지적인 가치를 갖는 것인지 여부가 논란이 된다. 언어 지식이 독지적인 가치가 있다는 주장은 국어 교육 속에서 논의되지 않는다면, 그 나름대로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그것이 국어 교육에서 논의되는 한 국어 교육의 본질적인 목표인 언어 사용 능력을 신장시키는 데 기여한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그런데도 언어 지식이 표현과 이해의 언어 활동과 어떤 관련이 있으며, 그것이 구체적으로 어떤 기여를 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기 때문에 언어 지식의 지도는 단순히 지식 교육으로 생각되기도 했다. 국어 교육의 역사에서 언어 지식이 표현, 이해의 언어 사용과 대등한 위치를 점유하고 문학과 함께 국어 교육을 삼분하고 있었던 것도 바로 이러한 생각의 산물이다.
2. 언어 사용 능력과 언어 지식
3. 언어 지식 영역 설정의 기본 틀
4. 언어 지식 영역의 지도 내용
5. 결 론
언어 지식영역의 지도 내용 선정은 언어 사용 능력과 관련된 것들을 몇 가지로 유목화하여 제시하게 되는데, 이는 상세화하는 것이 언어 지식 영역의 체계를 제대로 보여 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학교 급별 배열에서의 기준도 설정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언어 지식의 지도 내용은 그 내용 중 초등에 배열할 것과 중등에 배열할 것을 구별할 수 없다. 모든 내용이 학교급과 관계없이 언어 사용을 다루는 국어 교육에서 반드시 다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다만 초등에서는 전문적인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이론적인 설명이 없이 다루어지고, 중등에서는 이론적인 설명과 전문 용어의 사용이 필요하다는 차이가 있을 뿐이다. 또한 고등학교의 문법 과목에서 다루는 언어 지식은 중등에서 다루는 것보다 더 전문적이고 이론적인 것으로, 그 목적이 일반적인 언어 사용에 머무르지 않고 특수한 영역으로 확대된 것이다.
본문내용
용 능력이 언어 사용의 어느 한 측면에 편중되거나 언어 사용의 일부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면, 언어 사용의 기초가 되는 모든 내용을 학습해야 한다. 음운, 단어, 문장, 담화의 모든 수준이 이미 인간의 언어 사용이라는 면에서 배제될 수 없는 것이 분명하기 때문에, 초등에서는 이들 모두를 다루도록 한다. 다만, 이론적, 전문적인 설명을 부가하지 않고, 실제 언어 사용과 관련되도록 지도한다는 점이 다를 뿐이다. 초등 단계가 6년이나 되고, 이 단계에서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를 학습하여 기본적인 언어 사용 능력을 기르게 된다는 것과 관련하여 생각하면 이것은 매우 당연한 일이다. 또한 중학교나 고등학교에서도 이러한 주장은 그 나름대로 타당성을 갖는다. 초·중·고에서 가르치고자 하는 언어 사용 능력이 그 기본 요소에서 차이가 나는 것이 아니라, 그 깊이에서 차이가 나는 것이기 때문이다. 즉 초등에서는 단어만 학습하고, 중등에서는 문장, 고등에서는 담화를 포함시킨다는 구도가 아니기 때문이다. 학교급별 구분은 내용 요소의 차이가 아니라, 그 깊이의 차이일 뿐이다. 이것은 나선형으로 반복심화된다는 교육의 원리와도 일치된다. 이렇게 되면 남는 문제는 각 학년별로 내용을 배열하는 것이다. 이것은 언어 지식 자체의 체계를 토대로 하면서, 다른 영역과 관련시키는 방식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이러한 일은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연구에 남겨진 과제이다.
5. 결 론
국어 교육은 국어 사용 능력을 신장시키는 것을 본질적인 목표로 한다. 국어 교육을 구성하는 모든 영역은 이 목표를 지향하여야 하며, 각각 이 목표를 달성하는 데 기여하여야 한다. 언어 지식 영역도 국어교육에서 논의되는 한 언어 사용 능력을 신장시키는 것이어야 한다.
언어 지식은 언어 사용 능력을 구성하는 요소로 그 중요성이 있다. 언어 지식은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갖고 있는 필수적인 것으로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의 영역과 관계없이 필요한 것이다. 언어 지식 언어 그 자체를 연구한 결과로 얻어진 것이기 때문에 언어를 사용한다고 할 때 당연히 언어 지식이 사용되는 것이다. 이때 언어 지식의 개념을 지나치게 축소하여 전문 용어를 사용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아서는 안 된다. 언어 학습자는 어떤 형태로든 언어지식을 학습하게 되기 때문이다. 용어의 사용 여부는 언어 지식을 다루는가와 무관하다. 언어 사용능력의 기반이 되는 언어 지식은 전문용어로 표현된 것이나 일상적인 언어로 표현된 것이나 관계없이 중요하게 작용한다.
언어 사용 능력의 기초가 되는 언어 지식은 언어의 구조에 대한 지식과 언어의 본질과 사용에 대한 지식으로 나누어진다. 언어 구조에 대한 지식은 일단 그 지식을 학습하게 되면 언어 사용에 전이될 수 있는 형태로 제시되는 과정적인 것이어야 한다. 과거의 언어 지식 교육이 언어 사용능력을 신장시키는 데 별 효과가 없었던 것은 과정적 지식으로서 제시된지 않고, 단언적 지식으로 제시되어 그 자체가 학습 대상이 되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언어의 본질과 사용에 대한 지식은 언어 사용의 인지적 과정을 조망하고 자기 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의 일부로, 동기 유발이나 학습 촉진과 관련이 있다. 이것은 언어 사용 기능과 밀접하게 관련을 맺는 것은 아니지만, 그 중요성은 크다. 최근의 연구 결과는 이러한 초인지가 언어 사용에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언어 지식영역의 지도 내용 선정은 언어 사용 능력과 관련된 것들을 몇 가지로 유목화하여 제시하게 되는데, 이는 상세화하는 것이 언어 지식 영역의 체계를 제대로 보여 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학교 급별 배열에서의 기준도 설정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언어 지식의 지도 내용은 그 내용 중 초등에 배열할 것과 중등에 배열할 것을 구별할 수 없다. 모든 내용이 학교급과 관계없이 언어 사용을 다루는 국어 교육에서 반드시 다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다만 초등에서는 전문적인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이론적인 설명이 없이 다루어지고, 중등에서는 이론적인 설명과 전문 용어의 사용이 필요하다는 차이가 있을 뿐이다. 또한 고등학교의 '문법' 과목에서 다루는 언어 지식은 중등에서 다루는 것보다 더 전문적이고 이론적인 것으로, 그 목적이 일반적인 언어 사용에 머무르지 않고 특수한 영역으로 확대된 것이다.
〈참고문헌〉
교육부, 국민학교 교육과정 해설,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993.
교육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994a.
교육부,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994b.
손영애, "국어과교육의 성격과 내용 체계," 선청어문 14·15합집, 서울대 학교국어교육과, 1986.
심영택·위호정·김봉순 공역, 언어 교수의 기본 개념, 도서출판 하우, 1995.
이용주, "言語學과 國語敎育." 鳳竹軒朴鵬培先生定年紀念論叢集, 敎學社,1992.
윤희원, "文法敎育講座 模型開發을 위한 硏究," 『한국국어교육연구회논문집』 제33집, 한국국어교육연구회, 1988.
최영환, "국어 교육에서 문법 지도의 위상," 국어교육학연구 제2 집, 국어교육학회, 1992.
-----, "언어 지식 영역의 목표와 내용," 국어학 연구, 남천 박갑수 선생회갑 기념 논문집, 태학사, 1994.
한국교육개발원, 제6차 교육 과정 각론 개정 연구 국민학교 국어학교 국어과, 한국교육개발원, 1992a.
한국교육개발원, 제6차 교육 과정 각론 개정 연구 중학교 국어과, 한국교욱개발원, 1992b.
한국교육개발원, 제6차 교육 과정 각론 개정 연구 고등학교 국어과, 한국교육개발원, 1992c.
Allen, J. P. B, "Pedagogic Grammar, " Techniaues in Applied Linguistics,ed. by J. P. B, Allen & S. Pit Corderm The Edinburgh Course in Applied Linguistics Vol. 3, Oxford University Press, 1974.
Allen, J. P. B, and S, Pit Corder ed., Readings for Applied Linguistics,
5. 결 론
국어 교육은 국어 사용 능력을 신장시키는 것을 본질적인 목표로 한다. 국어 교육을 구성하는 모든 영역은 이 목표를 지향하여야 하며, 각각 이 목표를 달성하는 데 기여하여야 한다. 언어 지식 영역도 국어교육에서 논의되는 한 언어 사용 능력을 신장시키는 것이어야 한다.
언어 지식은 언어 사용 능력을 구성하는 요소로 그 중요성이 있다. 언어 지식은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갖고 있는 필수적인 것으로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의 영역과 관계없이 필요한 것이다. 언어 지식 언어 그 자체를 연구한 결과로 얻어진 것이기 때문에 언어를 사용한다고 할 때 당연히 언어 지식이 사용되는 것이다. 이때 언어 지식의 개념을 지나치게 축소하여 전문 용어를 사용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아서는 안 된다. 언어 학습자는 어떤 형태로든 언어지식을 학습하게 되기 때문이다. 용어의 사용 여부는 언어 지식을 다루는가와 무관하다. 언어 사용능력의 기반이 되는 언어 지식은 전문용어로 표현된 것이나 일상적인 언어로 표현된 것이나 관계없이 중요하게 작용한다.
언어 사용 능력의 기초가 되는 언어 지식은 언어의 구조에 대한 지식과 언어의 본질과 사용에 대한 지식으로 나누어진다. 언어 구조에 대한 지식은 일단 그 지식을 학습하게 되면 언어 사용에 전이될 수 있는 형태로 제시되는 과정적인 것이어야 한다. 과거의 언어 지식 교육이 언어 사용능력을 신장시키는 데 별 효과가 없었던 것은 과정적 지식으로서 제시된지 않고, 단언적 지식으로 제시되어 그 자체가 학습 대상이 되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언어의 본질과 사용에 대한 지식은 언어 사용의 인지적 과정을 조망하고 자기 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의 일부로, 동기 유발이나 학습 촉진과 관련이 있다. 이것은 언어 사용 기능과 밀접하게 관련을 맺는 것은 아니지만, 그 중요성은 크다. 최근의 연구 결과는 이러한 초인지가 언어 사용에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언어 지식영역의 지도 내용 선정은 언어 사용 능력과 관련된 것들을 몇 가지로 유목화하여 제시하게 되는데, 이는 상세화하는 것이 언어 지식 영역의 체계를 제대로 보여 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학교 급별 배열에서의 기준도 설정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언어 지식의 지도 내용은 그 내용 중 초등에 배열할 것과 중등에 배열할 것을 구별할 수 없다. 모든 내용이 학교급과 관계없이 언어 사용을 다루는 국어 교육에서 반드시 다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다만 초등에서는 전문적인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이론적인 설명이 없이 다루어지고, 중등에서는 이론적인 설명과 전문 용어의 사용이 필요하다는 차이가 있을 뿐이다. 또한 고등학교의 '문법' 과목에서 다루는 언어 지식은 중등에서 다루는 것보다 더 전문적이고 이론적인 것으로, 그 목적이 일반적인 언어 사용에 머무르지 않고 특수한 영역으로 확대된 것이다.
〈참고문헌〉
교육부, 국민학교 교육과정 해설,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993.
교육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994a.
교육부,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994b.
손영애, "국어과교육의 성격과 내용 체계," 선청어문 14·15합집, 서울대 학교국어교육과, 1986.
심영택·위호정·김봉순 공역, 언어 교수의 기본 개념, 도서출판 하우, 1995.
이용주, "言語學과 國語敎育." 鳳竹軒朴鵬培先生定年紀念論叢集, 敎學社,1992.
윤희원, "文法敎育講座 模型開發을 위한 硏究," 『한국국어교육연구회논문집』 제33집, 한국국어교육연구회, 1988.
최영환, "국어 교육에서 문법 지도의 위상," 국어교육학연구 제2 집, 국어교육학회, 1992.
-----, "언어 지식 영역의 목표와 내용," 국어학 연구, 남천 박갑수 선생회갑 기념 논문집, 태학사, 1994.
한국교육개발원, 제6차 교육 과정 각론 개정 연구 국민학교 국어학교 국어과, 한국교육개발원, 1992a.
한국교육개발원, 제6차 교육 과정 각론 개정 연구 중학교 국어과, 한국교욱개발원, 1992b.
한국교육개발원, 제6차 교육 과정 각론 개정 연구 고등학교 국어과, 한국교육개발원, 1992c.
Allen, J. P. B, "Pedagogic Grammar, " Techniaues in Applied Linguistics,ed. by J. P. B, Allen & S. Pit Corderm The Edinburgh Course in Applied Linguistics Vol. 3, Oxford University Press, 1974.
Allen, J. P. B, and S, Pit Corder ed., Readings for Applied Linguistics,
추천자료
언어영역, 창의영역, 동물, 주제, 모의, 수업, 계획안(유아교육, 보육) 4세(만2세)
유치원 언어생활영역과 표준보육과정 의사소통영역
유치원 언어생활 영역과 표준보육과정 의사소통 영역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쓰시오.
유치원 언어생활 영역과 표준보육과정 의사소통영역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논하시오
몬테소리 교육과정에 소개된 5개 영역(일상, 감각, 수, 언어, 문화)에 속하는 각각의 활동리...
(언어지도 과제)영역별 언어지도 방법에 대하여 논하시오 (말하기 지도, 듣기 지도, 읽기 지...
[유아수학교육]몬테소리 소개 - 몬테소리의 생애, 몬테소리 교육의 목적과 목표 및 환경, 몬...
엠엠씨-언어지도-표준보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의사소통영역의 목표와 수준별 내용
[보육nurture학개론] 학령전 유아를 위한 보육 환경의 영역별 구성 (식사하는 곳, 낮잠, 휴식...
[보육학개론] 영아嬰兒를 위한 보육 환경의 영역별 구성 (기저귀 가는 곳, 수유 및...
비고츠키(비고스키/Vygotsky)의 사회적 구성주의 [교육심리학] {비고츠키의 인지발달이론, 사...
영유아기의 발달 영역 중에 신체, 인지언어, 사회성, 정서발달 중 한 영역이 다른 영역의 발...
만 2세 영아의 발달영역별 (신체, 정서, 인지, 언어, 사회성)놀이의 효과를 기술하고, 발달영...
[만 2세 영아의 발달영역별 (신체, 정서, 인지, 언어, 사회성)놀이의 효과를 기술하고, 발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