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4공관복음서설비교연구
1.서 론
2. Griesbach와 두 복음서설에 대한 비판
3.복음서에 대한 초기 교부들의 증언 재고
4.그리스바하 이전의 복음서 연구
5. 결 론
1.서 론
2. Griesbach와 두 복음서설에 대한 비판
3.복음서에 대한 초기 교부들의 증언 재고
4.그리스바하 이전의 복음서 연구
5. 결 론
본문내용
있다.
{{
)John Calvin, A Harmony of the Evangelists Matthew, Mark and
Luke.
}}
이 책의 서론에서 그는
복음서의 저자들이 선행하는 다른 복음서에 전혀 의존하고 있지 않다고
밝히고 있다.
"각자는 본인의 입장에서 확실하고 사실적인 것만을 기록했을 뿐
이고 그 배역에 있어서도 각자가 최선이라고 생각하는 대로 했을 것이
다. 이 작업에 우연이 개재할 수 없는 것은 하나님의 섭리가 여기에 지
배했기 때문이다."
Calvin이 특별히 첫 세 복음서와 요한복음을 구별하여 주석하고 있다고
해서 그것이 네 복음서를 항상 함께 취급하던 전통적인 입장을 벗어난 것
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는 마태, 마가, 누가복음을 요한복음과 나누어
서 한권의 책으로 주석하는 이유에 대해서 "각 문체에 대한 진지한 관심
때문이 아니라 단지 주석을 하는데 있어서의 편리함 때문에 이 방법을 택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
)Ibid.
}}
이후에 Martino Chemnitz는 "Harmoniae Evangelicae"(1593)에서 헬라어
와 라틴어로 요한을 포함한 제 복음서의 서로 평행이 되는 구절들을 대조
하였다.
{{
)R. Stein. p. 22.
}}
1644년에는 John Lightfoot이 영어로 "The harmony of the four
evangelists" 라는 책을 출간하였다.
{{
)Ibid.
}}
마지막으로 무라토리 단편 정경을 살펴보자. 무라토리 단편은 마가복
음을 언급하는 잘려 나간 문장으로 시작하는데 그 의미가 완전히 명백하
지는 않다. 이 단편에 따르면 누가는 바울의 권위에 굳게 연결되어 있
다. 그가 주님을 육체로 목격하지 못했기 때문에 다른 증거에 의지해야
했다는 것이 명백하게 설명이 되어 있다. 그 후에 요한복음이 특별하게
강조되어 있다. 무라토리 단편은 요한이 '보고 들은 증인'이라는 것과
그가 사도의 자격으로 자신의 복음서를 기록했다고 누누이 언급함으로 기
존의 세 복음서에 의존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밝히고 있는 것이다.
{{
)A.B. 듀토잇, p. 294-295.
}}
무라토리 단편 정경은 복음서의 기원에 대하여 언급한 후에 각 복음서들
의 차이점에 대하여 여러 줄을 할애한다. 네 복음서들은 분명히 다르다
고 한다. 그러나 신앙의 걸림돌이 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모든 것
은 전부 한 분의 인도하시는 성령에 의해 설명되었기 때문이다.
{{
)A.B. 듀토잇. p. 296-296.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초기의 저술들이 네 복음서의 조화를 시도
하고 있다. 이것은 분명 네 권의 복음서가 예수의 생애와 가르침에 대하
여 각기 다른 관점에서 상호보완해 주는 역사적 가치를 동등이 가지고 있
는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Griesbach는 네 복음서의 조화를
거부하고 'Harmony'라는 용어 대신에 'Synopsis'라는 용어로 대치 시켰
다.
{{
)R. Stein. p. 23.
}}
그는 그릇된 신학적인 전제와 외형적인 문헌 상의 이유로 요한
복음을 제외시킨 세 복음서만을 비교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
은 그 이전의 복음서에 대한 전통적인 태도와는 완전히 다른 것이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Griesbach이전에는 Augustine을 제외하면 아무
도 복음서들 간의 상호 의존의 관계를 주장하지 않았다. Calvin의 경우
에 있어서 주석 상의 편리함을 들어 세 복음서를 함께 비교함으로 주석을
하지만 각 복음서의 독자성을 특별히 강조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Griesbach는 외형적인 문학 비평에 치중한 나머지 성경의 신빙성
을 실추시켜 버렸다. 따라서 그 이후의 Griesbach의 구분을 전제로 한
공관복음서에 대한 논의는 처음부터 그릇되게 방향 지어진 것이다.
5. 결 론
우리는 앞에서 Griesbach와 두 복음서설의 문제점과 한계에 대하여 살
펴보았다. 그리고 그것은 복음서를 공관복음서와 제4복음서로 구분하는
그들의 출발점 자체에 문제가 있다고 하는 것을 초기 교부들과 복음서에
대한 초기의 저술들을 통하여 확인해 보았다. 초기 교부들이 한결같이
네 복음서를 함께 언급하고 있는 것처럼 초기 기독교 저술들도 한결같이
네 복음서를 동시에 언급하고 있다. 우리는 너무 성급하게 요한복음과
다른 세 복음서를 서로 대조되는 것으로 만들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요한복음 역시 세 복음서의 특성을 그대로 빼어 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
)Kistemaker. p. 184.
}}
네 복음서의 강조점이 다르게 나타나 있는 것은 그 진술의 방법이 서로
다른 것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각 기록자들의 신학적인
戀袖繭茶 보다는 같은 성령의 지배적인 영향에 의한 것으로 보는 것이
더 적절한 설명이다.
{{
)D. 거쓰리, p. 238.
}}
즉 네 권의 복음서는 성령의 인도하심을 받아
각기 다른 방법과 대상, 목적, 필요에 따라 기록된 것이다. 따라서 각
복음서들의 독특한 특성이나 강조점들은 반드시 구별되어 설명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그것을 토대로 개별적인 신학을 조성할 필요는 없다고 본
다. 오히려 네 복음서를 종합하여 다양성 중에 계시된 그리스도의 온전
한 모습을 그려 나가는 것이 요구된다.
우리는 초기 교부들이나 초기의 복음서 연구가 그랬던 것처럼 네 복음
서를 분리하지 말고 그대로 다루어야 한다. 기독교 역사를 형성해 온
것은 복음서 원천이나 근원들이 아닌 복음서 그 자체이며 그것의 기원을
따져보는 연구는 반드시 그 복음서 자체를 수단으로 접근되어져야만 한
다.
{{
)D. 거쓰리, p.19.
}}
우리가 궁극적으로 믿을 수 있는 것은 복음서 자체이지 그에 대
한 이론은 결코 아니다. 특별히 입증도 안되고 근거도 희박한 가설과
명백한 역사적 문헌 상의 사실과는 반드시 구별이 되어야 한다.
{{
)G.E. 레드, p. 173.
}}
이상과 같은 관점에서 볼 때 공관복음서라고 하는 표현을 지양하고 네
복음서를 총체적으로 다룰 수 있는 '복음서 신학'의 수립이 절실히 요청
된다고 하겠다. 이와같은 입장에서만이 복음서 문제를 해결하는 최선의
방법이 될 것이다.
{{
)John Calvin, A Harmony of the Evangelists Matthew, Mark and
Luke.
}}
이 책의 서론에서 그는
복음서의 저자들이 선행하는 다른 복음서에 전혀 의존하고 있지 않다고
밝히고 있다.
"각자는 본인의 입장에서 확실하고 사실적인 것만을 기록했을 뿐
이고 그 배역에 있어서도 각자가 최선이라고 생각하는 대로 했을 것이
다. 이 작업에 우연이 개재할 수 없는 것은 하나님의 섭리가 여기에 지
배했기 때문이다."
Calvin이 특별히 첫 세 복음서와 요한복음을 구별하여 주석하고 있다고
해서 그것이 네 복음서를 항상 함께 취급하던 전통적인 입장을 벗어난 것
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는 마태, 마가, 누가복음을 요한복음과 나누어
서 한권의 책으로 주석하는 이유에 대해서 "각 문체에 대한 진지한 관심
때문이 아니라 단지 주석을 하는데 있어서의 편리함 때문에 이 방법을 택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
)Ibid.
}}
이후에 Martino Chemnitz는 "Harmoniae Evangelicae"(1593)에서 헬라어
와 라틴어로 요한을 포함한 제 복음서의 서로 평행이 되는 구절들을 대조
하였다.
{{
)R. Stein. p. 22.
}}
1644년에는 John Lightfoot이 영어로 "The harmony of the four
evangelists" 라는 책을 출간하였다.
{{
)Ibid.
}}
마지막으로 무라토리 단편 정경을 살펴보자. 무라토리 단편은 마가복
음을 언급하는 잘려 나간 문장으로 시작하는데 그 의미가 완전히 명백하
지는 않다. 이 단편에 따르면 누가는 바울의 권위에 굳게 연결되어 있
다. 그가 주님을 육체로 목격하지 못했기 때문에 다른 증거에 의지해야
했다는 것이 명백하게 설명이 되어 있다. 그 후에 요한복음이 특별하게
강조되어 있다. 무라토리 단편은 요한이 '보고 들은 증인'이라는 것과
그가 사도의 자격으로 자신의 복음서를 기록했다고 누누이 언급함으로 기
존의 세 복음서에 의존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밝히고 있는 것이다.
{{
)A.B. 듀토잇, p. 294-295.
}}
무라토리 단편 정경은 복음서의 기원에 대하여 언급한 후에 각 복음서들
의 차이점에 대하여 여러 줄을 할애한다. 네 복음서들은 분명히 다르다
고 한다. 그러나 신앙의 걸림돌이 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모든 것
은 전부 한 분의 인도하시는 성령에 의해 설명되었기 때문이다.
{{
)A.B. 듀토잇. p. 296-296.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초기의 저술들이 네 복음서의 조화를 시도
하고 있다. 이것은 분명 네 권의 복음서가 예수의 생애와 가르침에 대하
여 각기 다른 관점에서 상호보완해 주는 역사적 가치를 동등이 가지고 있
는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Griesbach는 네 복음서의 조화를
거부하고 'Harmony'라는 용어 대신에 'Synopsis'라는 용어로 대치 시켰
다.
{{
)R. Stein. p. 23.
}}
그는 그릇된 신학적인 전제와 외형적인 문헌 상의 이유로 요한
복음을 제외시킨 세 복음서만을 비교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
은 그 이전의 복음서에 대한 전통적인 태도와는 완전히 다른 것이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Griesbach이전에는 Augustine을 제외하면 아무
도 복음서들 간의 상호 의존의 관계를 주장하지 않았다. Calvin의 경우
에 있어서 주석 상의 편리함을 들어 세 복음서를 함께 비교함으로 주석을
하지만 각 복음서의 독자성을 특별히 강조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Griesbach는 외형적인 문학 비평에 치중한 나머지 성경의 신빙성
을 실추시켜 버렸다. 따라서 그 이후의 Griesbach의 구분을 전제로 한
공관복음서에 대한 논의는 처음부터 그릇되게 방향 지어진 것이다.
5. 결 론
우리는 앞에서 Griesbach와 두 복음서설의 문제점과 한계에 대하여 살
펴보았다. 그리고 그것은 복음서를 공관복음서와 제4복음서로 구분하는
그들의 출발점 자체에 문제가 있다고 하는 것을 초기 교부들과 복음서에
대한 초기의 저술들을 통하여 확인해 보았다. 초기 교부들이 한결같이
네 복음서를 함께 언급하고 있는 것처럼 초기 기독교 저술들도 한결같이
네 복음서를 동시에 언급하고 있다. 우리는 너무 성급하게 요한복음과
다른 세 복음서를 서로 대조되는 것으로 만들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요한복음 역시 세 복음서의 특성을 그대로 빼어 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
)Kistemaker. p. 184.
}}
네 복음서의 강조점이 다르게 나타나 있는 것은 그 진술의 방법이 서로
다른 것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각 기록자들의 신학적인
戀袖繭茶 보다는 같은 성령의 지배적인 영향에 의한 것으로 보는 것이
더 적절한 설명이다.
{{
)D. 거쓰리, p. 238.
}}
즉 네 권의 복음서는 성령의 인도하심을 받아
각기 다른 방법과 대상, 목적, 필요에 따라 기록된 것이다. 따라서 각
복음서들의 독특한 특성이나 강조점들은 반드시 구별되어 설명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그것을 토대로 개별적인 신학을 조성할 필요는 없다고 본
다. 오히려 네 복음서를 종합하여 다양성 중에 계시된 그리스도의 온전
한 모습을 그려 나가는 것이 요구된다.
우리는 초기 교부들이나 초기의 복음서 연구가 그랬던 것처럼 네 복음
서를 분리하지 말고 그대로 다루어야 한다. 기독교 역사를 형성해 온
것은 복음서 원천이나 근원들이 아닌 복음서 그 자체이며 그것의 기원을
따져보는 연구는 반드시 그 복음서 자체를 수단으로 접근되어져야만 한
다.
{{
)D. 거쓰리, p.19.
}}
우리가 궁극적으로 믿을 수 있는 것은 복음서 자체이지 그에 대
한 이론은 결코 아니다. 특별히 입증도 안되고 근거도 희박한 가설과
명백한 역사적 문헌 상의 사실과는 반드시 구별이 되어야 한다.
{{
)G.E. 레드, p. 173.
}}
이상과 같은 관점에서 볼 때 공관복음서라고 하는 표현을 지양하고 네
복음서를 총체적으로 다룰 수 있는 '복음서 신학'의 수립이 절실히 요청
된다고 하겠다. 이와같은 입장에서만이 복음서 문제를 해결하는 최선의
방법이 될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청소년복지의 발생원인과 청소년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복지적 대응방안
쓰레기 문제해결을 위한 기존의 노력과 그에 대한 평가
[대기오염]대기오염의 원인과 유발 물질, 대기오염의 심각성과 문제해결을 위한 과제, 대기오...
중년의 문제해결을 위한 자원봉사의 활용방안
학습의 인지심리학적 접근 [형태주의 전통][기억의 정보처리 모델][기억의 구조 명제 망조직...
보웬의 관점에서 실례를 들어 클라이언트의 가족문제 해결위한 실천적 방향을 제시하라
자신이 근무하고 있는 복지관지역에 장애인시설이 틀어설 예정이나 주민들이 집값하락과 학생...
다문화 가정 문제해결을 위한 복지정책방안
뚜레쥬르(Tous Les Jours) 브랜드분석과 뚜레쥬르 문제점분석 및 해결위한 마케팅전략 제언.PPT
≪ 해지스 (HAZZYS) ≫ 해지스 브랜드분석과 마케팅 SWOT, STP, 4P전략분석 및 해지스의 문제점...
보기의 영유아를 위한 교수 학습 방법을 택하여 자세히 설명하고 자기생각(주장)을 논리적으...
사회복지사의 가치와 윤리에 대해 살펴보고 실천에서의 윤리적 딜레마의 문제해결을 위한 개...
[한국사회문제 B형] 현재 한국사회의 에너지 문제, 문제의 원인, 사회문제로서 이 문제를 ...
후기산업사회의 개인 및 가족 가치관 변화에 따라 나타나는 문제해결을 위한 사회복지사의 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