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학적 연구 (Literary Study)
(1) 문장의 구문 (Literary structure<s>)
(2) 비유적 언어 (Figurative Language)
(1) 문장의 구문 (Literary structure<s>)
(2) 비유적 언어 (Figurative Language)
본문내용
자라는 사실이 아모스 1:2절에 비유적으로 묘사된 것이라
는 것이다. 비유적 언어의 사용은 이 문절 후반부에 계속되며
그곳에서는 자연 으로부터의 유비가 응용되고 있다. 다음의 문절은
무엇을 의미할까. "목자의 초장이 애통하며 갈멜산 꼭대기가
마르리로다." 히브리 사람의 대구적 병행절이라고 이해함으로써
한발이 표상으로 실려 있다 고 결론을 내릴수 있을 것이다. 항상
이슬이 축축하고 소채로 푸르렀던 갈멜산 이 황갈색이 되었고
말라버렸다. 초장이 애통한다고 말함으로써 아모스는 의인화라고 하는
또 다른 문학 형식을 도입한다. 초장에다 정서를 느끼며 표현하는
인간인양 인격을 부여하였다. 그들 이 "애통하다"말함으로서 저들의
상처와 고통과 슬픔을 묘사한다. 저들의 곤고 함이 딱하다. 불타는
태양 아래 (하나님의 진노 아래) 초토가 된 한발을 겪고 있으며, 모든
채소는 말라 죽고 목말라 애타고 있다. 전체적으로 말하여 이 표상은
시어를 사용하여 하나님이 말씀하는 권능과 하나 님의 심판과 황폐케
하시는 효험을 묘사하려고 한다. 이러한 언어의 사용은 상 징적이며,
문학 연구에 속한 특별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아모스 1-2장 안에
많은 비유 언어의 경우가 있고 또 이 문장과 성서의 기타 부분에는
다른 종류의 수사학적 기법이 나온다. 예로서 의문법(interrogation)
냉소적 풍자접(satire), 모순적 풍자법(irony), 만가(dirge)대화
(dialogue), 비유(parable)등이다. 그러나 여기에는 적절한 해석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풀어야 할 종말론의 종류를 예증하기 위하여 이
정도이면 충분할 것이다.
는 것이다. 비유적 언어의 사용은 이 문절 후반부에 계속되며
그곳에서는 자연 으로부터의 유비가 응용되고 있다. 다음의 문절은
무엇을 의미할까. "목자의 초장이 애통하며 갈멜산 꼭대기가
마르리로다." 히브리 사람의 대구적 병행절이라고 이해함으로써
한발이 표상으로 실려 있다 고 결론을 내릴수 있을 것이다. 항상
이슬이 축축하고 소채로 푸르렀던 갈멜산 이 황갈색이 되었고
말라버렸다. 초장이 애통한다고 말함으로써 아모스는 의인화라고 하는
또 다른 문학 형식을 도입한다. 초장에다 정서를 느끼며 표현하는
인간인양 인격을 부여하였다. 그들 이 "애통하다"말함으로서 저들의
상처와 고통과 슬픔을 묘사한다. 저들의 곤고 함이 딱하다. 불타는
태양 아래 (하나님의 진노 아래) 초토가 된 한발을 겪고 있으며, 모든
채소는 말라 죽고 목말라 애타고 있다. 전체적으로 말하여 이 표상은
시어를 사용하여 하나님이 말씀하는 권능과 하나 님의 심판과 황폐케
하시는 효험을 묘사하려고 한다. 이러한 언어의 사용은 상 징적이며,
문학 연구에 속한 특별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아모스 1-2장 안에
많은 비유 언어의 경우가 있고 또 이 문장과 성서의 기타 부분에는
다른 종류의 수사학적 기법이 나온다. 예로서 의문법(interrogation)
냉소적 풍자접(satire), 모순적 풍자법(irony), 만가(dirge)대화
(dialogue), 비유(parable)등이다. 그러나 여기에는 적절한 해석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풀어야 할 종말론의 종류를 예증하기 위하여 이
정도이면 충분할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게슈탈트치료에 대한 성경적 관점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아들러 치료에 대한 성경적 관점 및 아들러 치료에 대한 미래 전망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정신분석치료에 대한 성경적 관점과 미래 전망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CBT에 대한 성경적 관점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현실치료에 대한 성경적 견해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인간중심치료에 대한 성경적 관점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실존치료에 대한 성경적 관점
[구약신학] 출애굽기 6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하나님의 위로와 모세의 가문
[구약신학] 출애굽기 23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재판 · 안식 · 절기 등에 관...
[구약신학] 출애굽기 30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분향단 · 물두멍 · 관유 · ...
[구약신학] 레위기 26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순종의 축복과 불순종의 저주
[구약신학] 레위기 17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피에 관한 규례
[구약신학] 민수기 22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발락이 발람을 초청하다
[구약신학] 민수기 16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고라 일당의 반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