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인으로서 가장 자랑스러웠던 점
본문내용
내가 자라면서 처음으로 강렬히 원했던 일이었지만 금방 단념할 수 있었다. 이런 것들이 이사회가 나에게 은연중에 주었던 금제가 아니었나 생각한다. 지금은 많은 여자친구를 사귀어 보구 싶다.
하지만 우리나라 정서는 이를 좋지 않게 본다. 바람둥이라는 편견으로 막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편견들이 지금의 우리나라의 가정문제를 만들어낸 주범이 아닌가 생각한다. 올바른 이성교제를 해보지 못하고 성장하여 정해진 코스처럼 졸업하고 취직하면 결혼하는 천편일률적인 형태로 결혼을 하니
이혼률이 급증하여 지금의 사회문제가 된 것이 아닌가 생각해본다.
한 가지 더 생각이드는 문제는 유교적 관습이 아닐까 한다. 이런 관습이 좀더 자유롭고 창의적인 생각을 막은 것은 아닐까 생각한다. 대가족하에서 자란 나는 많은 어른들의 이야기를 들으며 컸을 것이다. 물론 기억나는 것은 별로 없다. 아이들이 의젓한 행동을 하면 칭찬하지만 그렇지 못한 행동을 했을 땐 칭찬에 인색했던 기억이 난다. 이는 어린아이들이 어른처럼 행동하느게 과연 좋은 행동일까 생각해보지만 꼭 좋은 것만은 아닐 것 이라는 생각이 든다. 어린이는 어린이들만이 할수 있는 행동을 할때 가장 어린이다운 것 이라는 생각이다.
하지만 우리나라 정서는 이를 좋지 않게 본다. 바람둥이라는 편견으로 막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편견들이 지금의 우리나라의 가정문제를 만들어낸 주범이 아닌가 생각한다. 올바른 이성교제를 해보지 못하고 성장하여 정해진 코스처럼 졸업하고 취직하면 결혼하는 천편일률적인 형태로 결혼을 하니
이혼률이 급증하여 지금의 사회문제가 된 것이 아닌가 생각해본다.
한 가지 더 생각이드는 문제는 유교적 관습이 아닐까 한다. 이런 관습이 좀더 자유롭고 창의적인 생각을 막은 것은 아닐까 생각한다. 대가족하에서 자란 나는 많은 어른들의 이야기를 들으며 컸을 것이다. 물론 기억나는 것은 별로 없다. 아이들이 의젓한 행동을 하면 칭찬하지만 그렇지 못한 행동을 했을 땐 칭찬에 인색했던 기억이 난다. 이는 어린아이들이 어른처럼 행동하느게 과연 좋은 행동일까 생각해보지만 꼭 좋은 것만은 아닐 것 이라는 생각이 든다. 어린이는 어린이들만이 할수 있는 행동을 할때 가장 어린이다운 것 이라는 생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