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절 경제와 경제문제
제2절 경제체제
제2절 경제체제
본문내용
출), 중금주의, 보호무역, 야경국가(통제경제)
【자본주의체제】시장을 통한 경제문제 해결 + 생산요소의 사유화
ː장점 : 이윤동기자극으로 효율성제고, 소비자주권실현, 유연한 의사결정
ː단점 : 빈부격차, 이기심조장, 경기변동, 환경파괴
【사회주의체제】계획당국이 경제문제 해결 + 생산요소의 공유(국유)
ː장점 : 평등한 분배, 경기변동 없음, 계획적 발전 가능
ː단점 : 생산성저하, 소비자주권 상실(비효율성), 집권화된 의사결정(경직적)
【혼합경제체제】시장원리 + 계획원리 ※1국가 2체제와 구분(중국)
ː수정자본주의 : 대공황 이후 자본주의 체제를 근간으로 계획원리 수용
ː시장사회주의 : 사회주의체제를 근간으로 생산물의 시장거래 허용(동구)
※ 리베르만 방식(구 소련)
제2장 경제학의 본질
1. 경제이론에서 사용하는 가정은 비현실적이다.
2. 과학으로서 경제학은 오류를 범할 수 있다.
제1절 경제학의 정의와 구분
● 경제학은 희소성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는 학문이다.
● 경제학은 경제이론, 경제사, 경제정책으로 구분된다.
제2절 이론경제학의 구성과 방법론
● 경제이론에서는 경제인모형이 사용된다.
● 경제학에는 항상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제1절 경제학의 정의와 구분
【경제학】희소성에서부터 정의되는 경제현상을 연구하는 학문
※ 국부론 : 1776년 아담 스미스(부의 원인 규명에 초점)
【경제학의 구분】
경제이론 : 연역적(추상화된 정의에서 출발)
가정 → 모형설정→ 예측 →실증
객관적 ※ 이론의 도구주의
규칙성 규명 경제사 : 귀납적(구체적 사실에서 일반화)
경제정책 : 바람직한 경제로 이끌 처방연구
주관적(가치판단)
실증경제학에서 찾은 인과성을 이용한 처방책 강구
※ 규범경제학적 기술 : "~을 위하여 ~ 해야만 한다."
(예) 경기를 부양시키기 위하여 이자율을 낮추어야 한다.
ː정태경제학과 동태경제학 :
· 경제흐름의 시간경로를 연구(동태경제학)
· 균형을 비교하는 정태경제학은 균형이 전제됨(균형원리 전제)
ː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 :
· 가격기구를 통한 경제부분간 자원배분 연구(미시경제학: 가격론)
· 자원의 총체적 활용도 분석(거시경제학: 국민소득론)
ː부분균형분석과 일반균형분석 :
· 여타 조건을 일정불변으로 가정(부분균형분석: 마샬) ※시간개념 도입
· 상대가격체계에 따른 시장간 상호관계 연구(일반균형분석: 왈라스)
제2절 이론경제학의 구성과 방법론
【경제인가정】경제이론에 등장하는 합리적인 서구인 상(이상형) ※대수의 법칙
· 이기적, 개인적, 합리적(경제원칙 고수)
【경제학의 오류】연역법과 귀납법의 오류 가능성
ː인과의 오류 : 귀납법에서 시간상 전후관계를 인과성으로 오해
예) 오비이락 ※ceteris paribus(여타조건 일정 불변)
ː구성의 오류 : 연역법에서 부분의 규칙을 전체의 규칙으로 확대 해석한 오해
예) 절약의 역설, 미시현상과 거시현상
ː일반화의 오류 : 귀납법에서 규칙성을 확대 해석한 오류
예) 남남북녀
【경제이론의 표현방법】서술적 방법 + 수리적 방법 + 기하학적 방법
【자본주의체제】시장을 통한 경제문제 해결 + 생산요소의 사유화
ː장점 : 이윤동기자극으로 효율성제고, 소비자주권실현, 유연한 의사결정
ː단점 : 빈부격차, 이기심조장, 경기변동, 환경파괴
【사회주의체제】계획당국이 경제문제 해결 + 생산요소의 공유(국유)
ː장점 : 평등한 분배, 경기변동 없음, 계획적 발전 가능
ː단점 : 생산성저하, 소비자주권 상실(비효율성), 집권화된 의사결정(경직적)
【혼합경제체제】시장원리 + 계획원리 ※1국가 2체제와 구분(중국)
ː수정자본주의 : 대공황 이후 자본주의 체제를 근간으로 계획원리 수용
ː시장사회주의 : 사회주의체제를 근간으로 생산물의 시장거래 허용(동구)
※ 리베르만 방식(구 소련)
제2장 경제학의 본질
1. 경제이론에서 사용하는 가정은 비현실적이다.
2. 과학으로서 경제학은 오류를 범할 수 있다.
제1절 경제학의 정의와 구분
● 경제학은 희소성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는 학문이다.
● 경제학은 경제이론, 경제사, 경제정책으로 구분된다.
제2절 이론경제학의 구성과 방법론
● 경제이론에서는 경제인모형이 사용된다.
● 경제학에는 항상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제1절 경제학의 정의와 구분
【경제학】희소성에서부터 정의되는 경제현상을 연구하는 학문
※ 국부론 : 1776년 아담 스미스(부의 원인 규명에 초점)
【경제학의 구분】
경제이론 : 연역적(추상화된 정의에서 출발)
가정 → 모형설정→ 예측 →실증
객관적 ※ 이론의 도구주의
규칙성 규명 경제사 : 귀납적(구체적 사실에서 일반화)
경제정책 : 바람직한 경제로 이끌 처방연구
주관적(가치판단)
실증경제학에서 찾은 인과성을 이용한 처방책 강구
※ 규범경제학적 기술 : "~을 위하여 ~ 해야만 한다."
(예) 경기를 부양시키기 위하여 이자율을 낮추어야 한다.
ː정태경제학과 동태경제학 :
· 경제흐름의 시간경로를 연구(동태경제학)
· 균형을 비교하는 정태경제학은 균형이 전제됨(균형원리 전제)
ː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 :
· 가격기구를 통한 경제부분간 자원배분 연구(미시경제학: 가격론)
· 자원의 총체적 활용도 분석(거시경제학: 국민소득론)
ː부분균형분석과 일반균형분석 :
· 여타 조건을 일정불변으로 가정(부분균형분석: 마샬) ※시간개념 도입
· 상대가격체계에 따른 시장간 상호관계 연구(일반균형분석: 왈라스)
제2절 이론경제학의 구성과 방법론
【경제인가정】경제이론에 등장하는 합리적인 서구인 상(이상형) ※대수의 법칙
· 이기적, 개인적, 합리적(경제원칙 고수)
【경제학의 오류】연역법과 귀납법의 오류 가능성
ː인과의 오류 : 귀납법에서 시간상 전후관계를 인과성으로 오해
예) 오비이락 ※ceteris paribus(여타조건 일정 불변)
ː구성의 오류 : 연역법에서 부분의 규칙을 전체의 규칙으로 확대 해석한 오해
예) 절약의 역설, 미시현상과 거시현상
ː일반화의 오류 : 귀납법에서 규칙성을 확대 해석한 오류
예) 남남북녀
【경제이론의 표현방법】서술적 방법 + 수리적 방법 + 기하학적 방법
추천자료
IMF 체제하에서 한국경제의 변화
베트남의 경제발전과 체제전환
유일체제의 경제적 영향
WTO체제와 지역경제통합(regionnal economic intergration)의 형태
싱가포르 경제운영 체제와 희소성 극복
중국식 사회주의시장경제 체제의 특징과 발전 상황
시장경제 체제에 대비하는 북한의 인적자원관리
사회주의 사상을 중심으로 한 경제계획 체제
한국경제의 IMF관리체제 극복과 새로운 과제
한국경제의 체제와 당면과제
[서양사] 설탕과 노예를 통해서 본 세계 경제 체제 - 영국을 중심으로
세계화의 성장기 개혁 개방,개혁 개방,계획 경제 체제,개혁 개방 정책,중국식 개혁개방의 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