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정통파를 넘어서
3. 그람시와 함께 그람시를 넘어서
4. 국제적 동향과 전망
2. 정통파를 넘어서
3. 그람시와 함께 그람시를 넘어서
4. 국제적 동향과 전망
본문내용
한국사회의 민주화, 사회변혁, 그리고 피지배연합, 사회비평, 7.
강문구/여현덕(1992c), 한국의 민주적 이행과 사회적 변혁의 전망, 창작과 비평, 겨울.
강문구(1992d), 민주적 변혁운동 지반의 심화, 확장을 위하여: 김세균 교수의 시민사회론 비판에 대한 토론, 경제와 사회, 16, 겨울
강문구(1994), 『한국민주주의의 구조와 진로』, 한울.
김성국(1991), 안토니오 그람시의 헤게모니이론, 사회비평, 5.
김세균(1992), 시민사회론'의 이데올로기적 함의 비판, 이론, 가을.
김호기(1992), 포스트맑스주의와 신사회운동, 경제와 사회, 여름.
김호기(1993), 그람시적 시민사회론과 비판이론의 시민사회론, 경제와 사회, 가을
박형준(1992), 시민사회론의 복원과 비판적 재구성, 마르크스주의의 위기와 포스트마르크스주의, 2, 의암.
박형준(1992), 시민사회론의 복원과 비판적 재구성, 마르크스주의의 위기와 포스트마르크스주의, 2(시민사회론과 민주주의론), 의암출판.
유팔무(1991), 그람시 시민사회론의 이해와 한국적 수용의 문제, 경제와 사회, 겨울
이병천(1991), 맑스 역사관의 재검토, 사회경제평론, 4
이병천(1992), 민주주의론의 새로운 발전을 위하여: 프롤레타리아독재론을 비판한다., 창작과 비평, 봄, 75; 맑스주의의 위기와 포스트맑스주의 1, 의암에 재수록.
이병천(1992), 포스트맑스주의와 한국사회, 사회평론, 9/10.
이병천(1993), 세계사적 근대와 한국의 근대, 세계의 문학, 69, 가을
이병천(1993), 한국 사회과학의 진단과 반성, 사회철학, 창간호.
이해영(1992), 그람시의 시민사회 개념, 이론, 3, 겨울
이혜숙(1985), Weber와 Gramsci의 지배 개념에 대한 일연구: 지배관계 구조화 과정과 관료제적 지배구조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석사학위논문
최장집(1984), 그람시의 헤게모니 개념, 한국정치학회보; 한국현대정치의 구조와 변화, 까치, 1989에 재수록
최장집(1988), 그람시와 한국의현재, 그람시와 현대, 그람시연구국제심포지움보고, 御茶노水書房.(일문).
최장집(1990), 민중민주주의의 구상, 사회발전과 사회운동, 한울.
최장집(1993), 『한국민주주의의 이론』, 한길사.
한완상(1992), 한국에서 시민사회, 국가 그리고 계급: 과연 시민운동은 개량주의적 선택인가.한국의 국가와 시민사회, 한국사회학회 한국정치학회편, 한울
허범구(1992), 그람시의 시민사회관에 관한 일연구, 서울대 대학원 사회학과 석사학위 논문
홍기찬(1990), 시민사회에 대한 마르크스주의적 접근의 함의에 대한 일연구: 그람시의 헤게모니론과 하버마스의 소통이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석사학위 논문.
片桐 薰(1988), 「이탈리아에서의그람시연구의추이」, 思想.
後房 雄(1991), 대전환-이탈리아공산당에서좌익민주당으로(일문), 창사
後房 雄(1992), 이탈리아 공산당의 전환'과 그람시의 부재, 포럼90년대, 2.(사회평론, 5, 박시종역)
Adamson, W.L.(1988), "Gramsci and Politics of Civil Society", Praxis International, 7, No.3/4, Winter.
Althusser, L.(1971), "Ideology and Ideological State Apparatuses", in Lenin and Philosophy and Other Essays, NLB.
Baliber, E.(1985), "Dictature du Proletariat", Dictionaire Critique du Marx
isme. PUF; 윤소영 편역, 『마르크스주의의 역사』, 민맥, 1991에 수록.
Bocock, R.(1986), Hegemony, London; 이향순 역, 『그람시 헤게모니의 사회이론』, 학문과 사상사, 1991.
Cohen, J.L./Arato, A.(1992), Civil Society and Political Theory, MIT.
Demirovic A.(1991), "Zivilgesellschaft, Offentlichkeit, Demokratie", Das Argument, 185, Januar/Februar.
Forgacs, D.(1989), "Gramsci and Marxism in Britain", New Left Review, 176.
Hoare, Q./Smith, G.N.(1971), Selections from the Prison Notebooks of Antonio Gramsci, International Publishers, 1971; 이상훈 역, 『그람씨의 옥중수고』, 1(1986), 2(1993), 거름.
Honneth, A.(1991), The Critique of Power, The MIT Press.
Laclau, E./Mouffe, C.(1985), Hegemony and Socialist Strategy: Towards a Radical Democratic Politics, Verso; 김성기 외 역, 『사회변혁과 헤게모니』, 터.
Mouffe, C./Sassoon, A.S.(1977), "Gramsci in France and Italy: A Review of the Literature", Economy and Society, 6/1, Feb.
Mouffe, C.(1979), Gramsci and Marxist Theory, Routledge/Kegan Paul; 장상철/이기웅 역, 『그람시와 마르크스주의 이론』, 녹두, 1991.
Smart, B.(1986), The Politics of Truth and the Problem of Hegemony, in Foucault: A Critical Reader(ed. by D.C.Hoy), Basil Blackwell.
Texier, J.(1988), "Rationalite selon la fin et rationalite selon la valeur dans les", Actuel Marx, 4.
강문구/여현덕(1992c), 한국의 민주적 이행과 사회적 변혁의 전망, 창작과 비평, 겨울.
강문구(1992d), 민주적 변혁운동 지반의 심화, 확장을 위하여: 김세균 교수의 시민사회론 비판에 대한 토론, 경제와 사회, 16, 겨울
강문구(1994), 『한국민주주의의 구조와 진로』, 한울.
김성국(1991), 안토니오 그람시의 헤게모니이론, 사회비평, 5.
김세균(1992), 시민사회론'의 이데올로기적 함의 비판, 이론, 가을.
김호기(1992), 포스트맑스주의와 신사회운동, 경제와 사회, 여름.
김호기(1993), 그람시적 시민사회론과 비판이론의 시민사회론, 경제와 사회, 가을
박형준(1992), 시민사회론의 복원과 비판적 재구성, 마르크스주의의 위기와 포스트마르크스주의, 2, 의암.
박형준(1992), 시민사회론의 복원과 비판적 재구성, 마르크스주의의 위기와 포스트마르크스주의, 2(시민사회론과 민주주의론), 의암출판.
유팔무(1991), 그람시 시민사회론의 이해와 한국적 수용의 문제, 경제와 사회, 겨울
이병천(1991), 맑스 역사관의 재검토, 사회경제평론, 4
이병천(1992), 민주주의론의 새로운 발전을 위하여: 프롤레타리아독재론을 비판한다., 창작과 비평, 봄, 75; 맑스주의의 위기와 포스트맑스주의 1, 의암에 재수록.
이병천(1992), 포스트맑스주의와 한국사회, 사회평론, 9/10.
이병천(1993), 세계사적 근대와 한국의 근대, 세계의 문학, 69, 가을
이병천(1993), 한국 사회과학의 진단과 반성, 사회철학, 창간호.
이해영(1992), 그람시의 시민사회 개념, 이론, 3, 겨울
이혜숙(1985), Weber와 Gramsci의 지배 개념에 대한 일연구: 지배관계 구조화 과정과 관료제적 지배구조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석사학위논문
최장집(1984), 그람시의 헤게모니 개념, 한국정치학회보; 한국현대정치의 구조와 변화, 까치, 1989에 재수록
최장집(1988), 그람시와 한국의현재, 그람시와 현대, 그람시연구국제심포지움보고, 御茶노水書房.(일문).
최장집(1990), 민중민주주의의 구상, 사회발전과 사회운동, 한울.
최장집(1993), 『한국민주주의의 이론』, 한길사.
한완상(1992), 한국에서 시민사회, 국가 그리고 계급: 과연 시민운동은 개량주의적 선택인가.한국의 국가와 시민사회, 한국사회학회 한국정치학회편, 한울
허범구(1992), 그람시의 시민사회관에 관한 일연구, 서울대 대학원 사회학과 석사학위 논문
홍기찬(1990), 시민사회에 대한 마르크스주의적 접근의 함의에 대한 일연구: 그람시의 헤게모니론과 하버마스의 소통이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석사학위 논문.
片桐 薰(1988), 「이탈리아에서의그람시연구의추이」, 思想.
後房 雄(1991), 대전환-이탈리아공산당에서좌익민주당으로(일문), 창사
後房 雄(1992), 이탈리아 공산당의 전환'과 그람시의 부재, 포럼90년대, 2.(사회평론, 5, 박시종역)
Adamson, W.L.(1988), "Gramsci and Politics of Civil Society", Praxis International, 7, No.3/4, Winter.
Althusser, L.(1971), "Ideology and Ideological State Apparatuses", in Lenin and Philosophy and Other Essays, NLB.
Baliber, E.(1985), "Dictature du Proletariat", Dictionaire Critique du Marx
isme. PUF; 윤소영 편역, 『마르크스주의의 역사』, 민맥, 1991에 수록.
Bocock, R.(1986), Hegemony, London; 이향순 역, 『그람시 헤게모니의 사회이론』, 학문과 사상사, 1991.
Cohen, J.L./Arato, A.(1992), Civil Society and Political Theory, MIT.
Demirovic A.(1991), "Zivilgesellschaft, Offentlichkeit, Demokratie", Das Argument, 185, Januar/Februar.
Forgacs, D.(1989), "Gramsci and Marxism in Britain", New Left Review, 176.
Hoare, Q./Smith, G.N.(1971), Selections from the Prison Notebooks of Antonio Gramsci, International Publishers, 1971; 이상훈 역, 『그람씨의 옥중수고』, 1(1986), 2(1993), 거름.
Honneth, A.(1991), The Critique of Power, The MIT Press.
Laclau, E./Mouffe, C.(1985), Hegemony and Socialist Strategy: Towards a Radical Democratic Politics, Verso; 김성기 외 역, 『사회변혁과 헤게모니』, 터.
Mouffe, C./Sassoon, A.S.(1977), "Gramsci in France and Italy: A Review of the Literature", Economy and Society, 6/1, Feb.
Mouffe, C.(1979), Gramsci and Marxist Theory, Routledge/Kegan Paul; 장상철/이기웅 역, 『그람시와 마르크스주의 이론』, 녹두, 1991.
Smart, B.(1986), The Politics of Truth and the Problem of Hegemony, in Foucault: A Critical Reader(ed. by D.C.Hoy), Basil Blackwell.
Texier, J.(1988), "Rationalite selon la fin et rationalite selon la valeur dans 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