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이론』에 나타난 케인즈의 노동가치론적 관점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문제제기

Ⅱ.『일반이론』의 내용에 대한 검토

1. 거시경제변수의 집계

2. 소득창출의 정당성

Ⅲ. 『일반이론』과 新해석의 유사성

Ⅳ. 맺음말

본문내용

유보조건이 제대로 준수되었는지 확인해보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과제일 것이다.
) 필자는, 제한적인 전제조건에 입각하지 않는 한, MEL을 이용한 추계를 시계열에 적용하는 것은 이론적인 차원에서 잘못된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지적한 바 있다(Rieu, 1998). 실증분석의 차원에서 이를 확인해보는 것은 차후의 과제이다.
Ⅳ. 맺음말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일반이론』에 나타난 케인즈의 노동가치론적 관점은 크게 두 가지 측면으로 요약된다.
먼저 거시경제변수의 집계라는 문제와 관련하여, 케인즈는 노동 한 단위가 지배하는 임금의 양인 임금단위 개념을 일관되게 이용하였다. 또한 각 노동에 주어지는 임금률을 기준으로 이질적인 노동을 동질화시키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즉, 임금단위를 계산할 때의 노동은 표준화된 노동이다. 이러한 방법상의 절차는 자본을 물량개념으로서 파악할 때 발생하는 논리적 난점을 인식한 위에서 가격을 대체할 수 있는 동질적인 척도 개념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얻어진 것이었다. 그러므로, 그것은 노동가치론의 문제설정과 동일한 기반을 공유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물론 케인즈는 자신의 분석을 자본의 고용량이 일정한 수준으로 고정되어 있는 단기적 상황에만 제한적으로 적용하였으며, 내재적인 가치척도에 의해 가치량의 변화를 통시적으로 추적하려는 통상의 노동가치론적 문제제기방식에는 명확한 반대의사를 표명하였다.
다음으로 소득창출의 정당성이라는 문제와 관련하여, 케인즈는 자본에 주어지는 보수(이자)는 어떤 희생에 대한 정당한 대가가 아니라 오로지 자본이 희소하기 때문에 생겨나는 일종의 렌트로 파악하였다. 장기적인 경제성장에 따라 자본의 희소성이 소멸되면, 이자도 궁극적으로는 0으로 떨어지게 될 것이라고 보았다. 이에 반해 직접 생산에 참가하는 경영자의 노동은 생산에 일정한 기여를 하므로, 경영자에 대해 주어지는 보수는 정당한 소득이라 보았다. 케인즈의 초점 자체가 노동자와 자본가 간의 관계보다는 자본소유자와 경영자 간의 관계에 맞추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분명한 차이는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윤의 이자와 기업가이득으로의 분할을 통해 화폐자본가의 기생성과 기능자본가의 감독노동이 지닌 일부 생산적 측면을 지적한 맑스의『자본론』제3권에서의 논리와 유사한 측면이 있다.
필자의 이러한 주장은 '80년대 이후 노동가치론연구의 주요 경향인 '新해석'의 내용을 검토함으로써 간접적으로 확인된다. 그들은 맑스의 노동가치론적 관점을 내세우고 있지만, 실제 분석도구로 중요하게 사용하는 '노동시간의 화폐표현'은 케인즈의 임금단위에 관한 논의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新해석'의 이론체계에서 정의되는 맑스적 의미에서의 노동력 가치도 일정한 조건 하에서는 사실상 케인즈적 임금단위로 측정한 노동소득과 추세적으로 구분하기 어렵게 된다.
결론적으로, 케인즈 자신이 달았던 여러 가지 유보조건들을 감안하면서 노동가치론적 관점과 결합시킨다면 이론과 실증의 양측면에서 더욱 풍부한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홍기현(1998), 「미국 한계주의자에 대한 연구 : 클라크와 피셔를 중심으로」, 한국경제학사학회 엮음, 『경제학의 역사와 사상』창간호, 나남출판사
홍훈(1995), 「가치와 경제의 자율성」, 한국사회경제학회 엮음, 『가치이론논쟁』, 풀빛
Aglietta, M.(1979), A Theory of Capitalist Regulation : The US Experience, NLB
Burkett, P.(1986), "Dillard on Keynes and Marx : Comment," Journal of Post Keynesian Economics, vol.8, no.4, in ed. by J. C. Wood(1993), vol.Ⅶ
Dillard, D.(1984), "Keynes and Marx : A Centennial Appraisal," Journal of Post Keynesian Economics, vol.Ⅵ, no.3, in ed. by J. C. Wood(1993), vol.Ⅴ
Dillard, D.(1988), 허창무 역,『케인즈경제학의 理解』, 지식산업사
Dum nil, G.(1980), De la Valeur aux Prix de Production, Economica
Foley, D. K.(1982), "The Value of Money, the Value of Labor-Power and the Marxian Transformation Problem," Review of Radical Political Economics, vol.14, no.2
Keynes, J. M.(1985), 趙淳 譯, 『雇傭, 利子 및 貨幣의 一般理論』, 比峰出版社
Keynes, J. M.(1992), 李碩崙·申泰煥 譯, 『貨幣論』, 比峰出版社
Lipietz, A.(1982), "The So-Called 'Transformation Problem' Revisited," Journal of Economic Theory, vol.26, no.1
Marx, K.(1974), 資本論草稿集飜譯委員會 譯, 『マルクス資本論草稿集』④, 大月書店
Marx, K.(1989), 金秀行 譯, 『資本論』Ⅰ, 比峰出版社
Marx, K.(1990), 金秀行 譯, 『資本論』Ⅲ, 比峰出版社
Morishima, M.(1973), Marx's Econom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Rieu, D.-M.(1998), "Reformulating the Quantitative Connection between Labor-Value and Price," paper presented at the 24th Annual Conference of Eastern Economic Association(http://www.gre.ac.uk/~fa03/iwgvt/indexes/authors.html/98sat4b-don.rtf)
Wood, J. C. ed.(1993), Karl Marx's Economics : Critical Assessments, vols.Ⅰ-Ⅷ, Routledge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2.07.06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79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