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대 한국자본주의의 구조변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990년대 한국자본주의의 구조변화
1. 머리말

2. 한국자본주의 고도성장의 요인

3. 90년대 한국자본주의의 대외적 여건 변화

4. 90년대 한국자본주의의 분배구조 변화

5. 90년대 한국자본주의의 지출구조 변화

6. 90년대 한국자본주의의 생산구조 변화

7. 맺음말

본문내용

혁명적 위기의 가능성이 높다. 노동법 개악을 둘러싼 자본측의 격렬한 저항과 노동자들의 전투적 대응은 경제적 위기의 깊이에서 기인한 것이다.
현재의 경제위기와 경상수지 적자 확대는 한국자본주의의 구조적 불균형의 산물이므로 분배구조의 개선을 통한 생산구조의 균형 회복 없이는 경제위기는 만성화될 것이다. 이 위기에서의 탈출은 개량에 의한 기존 축적구조의 근본적 개편을 통해서만 가능한데 현재의 재벌과 토지소유집단은 이에 격렬히 저항할 것이다. 노동자계급의 강력한 투쟁만이 개량을 강제할 수 있을 것이고, 그럼에도 지배세력이 개량을 지연시킬 경우 한국자본주의는 혁명적 위기를 맞이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참고문헌>
강용중, 1994. 「한국자본의 해외진출」, 『국제화와 한국사회』, 나남출판.
강철규, 1995. 「재벌의 금리지대차 추구 추계」, 『민족경제론과 한국경제』, 창작과 비평사.
김대환, 1995. 「한국 민영화정책의 비판적 검토」, 『한국의 산업발전과 재벌』, 서울사회경제연구소.
김상조, 1994. 「5대 및 10대 재벌의 차입금과 생산성의 최근 동향」, 『사회경제평론』 제7집, 한울.
______, 1995. 「시중은행의 소유경영구조 현황과 개편방향」, 『경제발전연구』 창간호,한국경제발전학회.
______, 1996. 「재벌과 금융 - 재벌에 대한 금융기관의 감시감독기능 강화방안」, 학술단체협의회, 『재벌과 언론』, 당대.
김용복, 1995. 「한국전자산업의 발전메카니즘에 관한 연구 - 전자기업군과 외국자본의 관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5.
김재원, 1995. 「인력수급불균형의 원인과 인력수급정책의 기본방향」, 『노동경제논집』 제 18권 1호.
김태동, 1995. 「토지문제와 경제발전」, 『한국경제 : 쟁점과 전망』, 지식산업사.
김형기, 1996. 「1980년대 한국자본주의 -구조전환의 10년」, 『경제학연구』 제44집 4호.
박영수, 「한국의 지하경제에 관한 연구」, 『성곡논총』 제22집, 1991.
산업연구원, 1996. 「한국의 R&D 투자보고서」.
서승환, 1996. 「부동산의 기시경제적 역할」, 『연세경제연구』 제3권 2호.
서울사회과학연구소 경제분과, 1991. 「1980년대 한국자본주의」, 『현실과 과학』 10호.
신윤환, 1993. 「한국인의 제3세계 투자」, 『창작과 비평』 1993년 가을호
안국신, 1995. 「한국의 경제발전과 소득분배」, 『경제발전연구』 창간호, 1995. 12.
윤소영, 1988. 「식민지반봉건사회론과 신식민지국가독점자본주의론」, 『현실과 과학』 제2호.
이용우, 1995. 「세계화와 한국자본주의」, 『경제와 사회』 22호, 1994년 여름호
이재희, 1990. 「한국의 독점자본 형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 경제학과 박사학위논문.
______, 1992. 「재벌정책의 인식과 대안」, 『사회경제평론』 제 5집, 한울.
______, 1996. 「한국재벌의 지배구조 개편방안」, 『사회경제평론』 제9집.
이정우, 1995. 「발전과 분배; 역U자 논쟁의 전말」, 『경제발전연구』 창간호.
이제민, 1995. 「전후 세계체제와 한국의 수출지향적 산업화」, 『한국경제 : 쟁점과 전망』, 지식산업사.
장상환, 1993a. 「농지개혁과 한국자본주의 발전」, 『쟁점 한국근현대사』 제3호.
______, 1993b. 「한국경제의 근본문제와 경제개혁의 방향에 대하여」, 『이론』 제 6호.
______, 1994. 「개방화에 따른 민중운동의 대응」, 『경제와 사회』 여름호
______, 1996a. 「한국사회의 변화와 해방 50주년의 의미」, 『사회과학연구』, 제 14집 2호,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______, 1996b. 「최근의 경제위기와 90년대 한국자본주의의 변화」, 『산업경제』, 경상대 산업경제연구소.
장지상, 1995. 「재벌의 소유집중과 다각화」, 『한국의 산업발전과 재벌』, 서울사회경제연구소.
정진상, 「해방직후 사회신분제 유제의 해체 -경남 진양군 두 마을 사례연구-」, 『사회과학연구』 제 13집 1호,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95.
정성진, 1990. 「한국경제에서의 마르크스비율의 분석」,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박사학위논문.
______, 1993. 「한국자본주의와 경제적 종속의 전망」, 『사회비평』 9호, 나남.
정장연, 1992. 「NICs현상과 한국자본주의」, 『창작과 비평』 1992년 가을호.
정태인, 1995. 「글로벌라이제이션과 국민경제」, 『민족경제론과 한국경제』, 창작과 비평사.
최광, 1987, 『한국의 지하경제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연구원.
한국산업은행, 1996. 『한국의 산업』(상, 하).
홍덕률, 1996. 「재벌의 존재양태와 재벌개혁의 긴급성」, 『역사비평』 1996년 가을호.
홍장표외, 1989. 「1980년대의 한국자본주의」, 『1980년대 한국사회와 지배구조』, 풀빛.
홍장표, 1993. 「한국자본주의와 독점재벌」, 『사회비평』 제9호, 나남.
______, 1996a. 「한국자동차산업 재벌대기업과 하도급거래」, 『사회경제평론』 9호.
______, 1996b. 「하도급거래와 중소기업의 발전전략」, 『한국의 산업 - 그 구조재편을 위하여』, 서울사회경제연구소.
마르크스(김수행 역), 1990, 『자본론』 제3권.
크리스 하먼(이원영 편역), 1994. 『오늘의 세계경제:위기와 전망』, 갈무리.
크리스 하먼(김종원 옮김), 1995. 『마르크스주의와 공황론』, 풀무질(원저는 1984).
토다로(이근식외 역), 1985. 『경제발전론 제3판』 비봉출판사
통정수행, 1982. 「한국경제의 현상과 자립경제에의 전망」, 구보전순 편, 『자립갱생으로서의 제삼세계」, 문진당.
Seongjin Jeong, 1996. "The Social Structure of Accumulation in South Korea - Upgrading or Crumbling?", unpublished.
Paul Krugman, 1994. "The Mith of Asia's Miracle", Foreign Affairs, November \December.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36페이지
  • 등록일2002.07.06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79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