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0 회 공인중개사 (부동산학개론)
본문내용
은 한계지의 연장을 초래하게 한다.
⑤ 오래된 도시일수록 다핵도시패턴을 지니고 신도시일수록 단핵도시패턴을 이룬다.
29. 지역분석의 의의를 가장 잘 설명한 것은?
① 지역분석은 평가대상부동산이 속하는 지역 내의 부동산의 표준적인 이용을 판단하여 이의 가격수준을 판단하는 작업이다.
② 지역분석은 용도적 지역인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의 지역특성을 파악하는 작업이다.
③ 지역분석은 그 지역에 속하는 부동산의 최유효이용을 중심으로 가격 형성요인을 판단하는 작업이다.
④ 지역분석은 표준적인 이용의 입지인자를 분석하여 인근지역의 범위를 劃定하는 작업이다.
⑤ 지역분석은 지역의 표준적 이용의 최유효이용을 판단하여 이의 가격수준을 판단하는 작업이다.
30. 다음은 부동산학 또는 부동산활동의 지도이념과 상징적으로 강조되는 예들을 연결지은 것이다. 가장 부적절한 것은?
① 공·사익 조화의 원리 - 토지이용의 조장과 규제
② 경제성의 원리 - 평가보고서의 작성
③ 공간가치 증대의 원리 - 최유효이용 밀도
④ 능률성의 원리 - 부동산업 경영
⑤ 합법성의 원리 - 부동산활동의 범위
31. 부동산경기변동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경기의 순환은 일정 시간마다 규칙적으로 반복된다.
② 주택건축의 동향을 상업용 부동산경기의 지표로 삼는 경우가 많다.
③ 부동산시장은 다양한 경기적 양상을 지니는 수가 많다.
④ 경기변동 양상은 국경을 초월하여 범세계적으로 비슷한 편이다.
⑤ 경기의 진폭이 일반경기보다 큰 까닭은 부동산의 영속성 때문이다.
32. 부동산 평가3방식의 가장 기초가 되는 부동산 가격 형성원칙은 무엇인가?
① 수요·공급의 원칙 ② 대체의 원칙
③ 기여의 원칙 ④ 적합의 원칙
⑤ 수익체증·체감의 원칙
33. 합리적인 빌딩운영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행해야 할 분석으로서 가장 관련성이 낮은 것은?
① 인근지역 분석 ② 개별 분석
③ 시장 분석 ④ 관리주체 분석
⑤ 소비자 분석
34. 최유효이용(highest and best use)의 원칙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현재보다는 미래에 최대의 수익을 발생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부동산을 이용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② 객관적으로 합리적, 합법적, 최고최선의 이용방법을 의미한다.
③ 부동산의 최대가치는 시장가치(market value)보다 생산가치에 치중한다.
④ 부동산의 효용이 최고로 이용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⑤ 부동산의 가치는 가변적이므로 최유효이용의 판정에는 항상 변동과 예측의 원칙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35. 환원이율에 대해 틀리게 기술한 것은?
① 환원이율은 임대수익과 거래가격의 상대적 比로 설명할 수 있다.
② 환원이율은 토지 환원이율과 건물 환원이율로 구분할 수 있다.
③ 환원이율은 자기자본 환원이율과 타인자본 환원이율로 구분할 수도 있다.
④ 환원이율은 할인율 또는 내부 수익률과 다른 소득률의 일종이다.
⑤ 환원이율은 무위험이자율로 설명된다.
36. 다음은 일반적인 감정평가기준에 대해 기술한 것이다. 적절한 내용이 아닌 것은?
① 일시적으로 야적장으로 이용되는 田은 현실적 이용상황을 고려하여 잡종지로 평가하여야 한다.
② 불법 형질변경된 토지는 불법 형질변경 전의 토지 이용상황을 기준으로 평가하여야 한다.
③ 감정평가가격은 개별공시지가 가격과 항상 일치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④ 경매 감정평가시 무허가 건물은 등기된 건물과 구분하여 평가하여야 한다.
⑤ 담보 감정평가시 도로 등 도시계획시설에 저촉된 토지는 그 제한의 정도를 감안하여 평가 하여야 한다.
37. 다음 거래사례 중 토지평가를 위한 거래사례비교법의 사례l자료로 선택하기 곤란한 것은?
① 매도자의 친척이 매입한 거래사례로 이는 정상가격 대비 10%정도 低價로 거래된 것으로 조사됨
② 도로에 접하는 토지의 소유자가 후면 토지를 정상가격보다 다소 高價로 구입한 사례이나 이에 대한 근거의 파악이 가능한 사례
③ 평가대상 부동산과 가장 유사하고, 거래가격 및 거래내역 등의 파악도 가능하나 거래시점만 확정되지 않은 경우
④ 거래가격을 분할하여 지급키로 약정된 거래사례로 이에 대한 거래내역의 파악이 가능한 사례
⑤ 매도자가 무허가 건물의 철거를 전제로 거래된 사례로 거래내용의 파악은 가능하나 실제 철거비용의 파악은 불가능한 사례
38. 인근지역에 대한 기술 중 잘못된 것은?
① 인근지역은 대상 부동산이 속하는 용도적 지역이다.
② 인근지역은 대상부동산의 가격형성에 간접적으료 영향을 미치는 지역범위이다.
③ 인근지역은 유사지역과 함께 용도적 지역을 구성한다.
④ 인근지역은 그 지역의 특성을 형성하는 지역요인의 추이, 동향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⑤ 인근지역은 하천 등 자연적 경계와 토지 행정규제 등 공법상 규제에 의해 지역범위가 획정될 수도 있다.
39. 감가수정의 산정방법이 아닌 것은?
① 내용연수 기준 산정방식
② 물리적 감가액, 기능적 감가액, 외부적(경제적) 감가액을 구하여 합산하는 방식
③ 유사 경과연수를 가진 부동산의 거래사례를 이용하는 방식
④ 정액법 또는 정률법
⑤ 건물잔여법
40. 부동산 시장의 특성에 대해 틀리게 기술한 것은?
① 부동산시장은 부동산의 위치, 규모, 용도 등에 따른 부분시장이 형성되어 시장세분화가 이루어진다.
② 부동산시장의 행정규제는 단기적으로 시장의 수요조절기능을 저해한다.
③ 부동산시장도 외부효과에 의해 시장의 실패(market failure)가 발생한다.
④ 부동산시장은 부동산의 유사성 및 대체성 때문에 완전경쟁시장으로 분류된다.
⑤ 부동산시장의 과거 정보가 부동산가격에 정확히 반영되는 시장을 약성 효율적 시장이라칭한다.
<정답>
1) 3, 2)4 , 3) 4, 4) 4 , 5) 1
6) 4 7) 1 8) 1 9) 5 10) 4
11) 2 12) 1 13) 1 14 )5 15) 4
16) 2 17) 2 18) 5 19)3 20) 5
21) 2 22)5 23)5 24)2 25)4
26) 2 27)4 28)5 29)1 30)5
31)3 32)2 33)4 34)3 35)5
36)1 37)3 38)2 39)5 40)4
⑤ 오래된 도시일수록 다핵도시패턴을 지니고 신도시일수록 단핵도시패턴을 이룬다.
29. 지역분석의 의의를 가장 잘 설명한 것은?
① 지역분석은 평가대상부동산이 속하는 지역 내의 부동산의 표준적인 이용을 판단하여 이의 가격수준을 판단하는 작업이다.
② 지역분석은 용도적 지역인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의 지역특성을 파악하는 작업이다.
③ 지역분석은 그 지역에 속하는 부동산의 최유효이용을 중심으로 가격 형성요인을 판단하는 작업이다.
④ 지역분석은 표준적인 이용의 입지인자를 분석하여 인근지역의 범위를 劃定하는 작업이다.
⑤ 지역분석은 지역의 표준적 이용의 최유효이용을 판단하여 이의 가격수준을 판단하는 작업이다.
30. 다음은 부동산학 또는 부동산활동의 지도이념과 상징적으로 강조되는 예들을 연결지은 것이다. 가장 부적절한 것은?
① 공·사익 조화의 원리 - 토지이용의 조장과 규제
② 경제성의 원리 - 평가보고서의 작성
③ 공간가치 증대의 원리 - 최유효이용 밀도
④ 능률성의 원리 - 부동산업 경영
⑤ 합법성의 원리 - 부동산활동의 범위
31. 부동산경기변동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경기의 순환은 일정 시간마다 규칙적으로 반복된다.
② 주택건축의 동향을 상업용 부동산경기의 지표로 삼는 경우가 많다.
③ 부동산시장은 다양한 경기적 양상을 지니는 수가 많다.
④ 경기변동 양상은 국경을 초월하여 범세계적으로 비슷한 편이다.
⑤ 경기의 진폭이 일반경기보다 큰 까닭은 부동산의 영속성 때문이다.
32. 부동산 평가3방식의 가장 기초가 되는 부동산 가격 형성원칙은 무엇인가?
① 수요·공급의 원칙 ② 대체의 원칙
③ 기여의 원칙 ④ 적합의 원칙
⑤ 수익체증·체감의 원칙
33. 합리적인 빌딩운영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행해야 할 분석으로서 가장 관련성이 낮은 것은?
① 인근지역 분석 ② 개별 분석
③ 시장 분석 ④ 관리주체 분석
⑤ 소비자 분석
34. 최유효이용(highest and best use)의 원칙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현재보다는 미래에 최대의 수익을 발생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부동산을 이용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② 객관적으로 합리적, 합법적, 최고최선의 이용방법을 의미한다.
③ 부동산의 최대가치는 시장가치(market value)보다 생산가치에 치중한다.
④ 부동산의 효용이 최고로 이용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⑤ 부동산의 가치는 가변적이므로 최유효이용의 판정에는 항상 변동과 예측의 원칙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35. 환원이율에 대해 틀리게 기술한 것은?
① 환원이율은 임대수익과 거래가격의 상대적 比로 설명할 수 있다.
② 환원이율은 토지 환원이율과 건물 환원이율로 구분할 수 있다.
③ 환원이율은 자기자본 환원이율과 타인자본 환원이율로 구분할 수도 있다.
④ 환원이율은 할인율 또는 내부 수익률과 다른 소득률의 일종이다.
⑤ 환원이율은 무위험이자율로 설명된다.
36. 다음은 일반적인 감정평가기준에 대해 기술한 것이다. 적절한 내용이 아닌 것은?
① 일시적으로 야적장으로 이용되는 田은 현실적 이용상황을 고려하여 잡종지로 평가하여야 한다.
② 불법 형질변경된 토지는 불법 형질변경 전의 토지 이용상황을 기준으로 평가하여야 한다.
③ 감정평가가격은 개별공시지가 가격과 항상 일치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④ 경매 감정평가시 무허가 건물은 등기된 건물과 구분하여 평가하여야 한다.
⑤ 담보 감정평가시 도로 등 도시계획시설에 저촉된 토지는 그 제한의 정도를 감안하여 평가 하여야 한다.
37. 다음 거래사례 중 토지평가를 위한 거래사례비교법의 사례l자료로 선택하기 곤란한 것은?
① 매도자의 친척이 매입한 거래사례로 이는 정상가격 대비 10%정도 低價로 거래된 것으로 조사됨
② 도로에 접하는 토지의 소유자가 후면 토지를 정상가격보다 다소 高價로 구입한 사례이나 이에 대한 근거의 파악이 가능한 사례
③ 평가대상 부동산과 가장 유사하고, 거래가격 및 거래내역 등의 파악도 가능하나 거래시점만 확정되지 않은 경우
④ 거래가격을 분할하여 지급키로 약정된 거래사례로 이에 대한 거래내역의 파악이 가능한 사례
⑤ 매도자가 무허가 건물의 철거를 전제로 거래된 사례로 거래내용의 파악은 가능하나 실제 철거비용의 파악은 불가능한 사례
38. 인근지역에 대한 기술 중 잘못된 것은?
① 인근지역은 대상 부동산이 속하는 용도적 지역이다.
② 인근지역은 대상부동산의 가격형성에 간접적으료 영향을 미치는 지역범위이다.
③ 인근지역은 유사지역과 함께 용도적 지역을 구성한다.
④ 인근지역은 그 지역의 특성을 형성하는 지역요인의 추이, 동향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⑤ 인근지역은 하천 등 자연적 경계와 토지 행정규제 등 공법상 규제에 의해 지역범위가 획정될 수도 있다.
39. 감가수정의 산정방법이 아닌 것은?
① 내용연수 기준 산정방식
② 물리적 감가액, 기능적 감가액, 외부적(경제적) 감가액을 구하여 합산하는 방식
③ 유사 경과연수를 가진 부동산의 거래사례를 이용하는 방식
④ 정액법 또는 정률법
⑤ 건물잔여법
40. 부동산 시장의 특성에 대해 틀리게 기술한 것은?
① 부동산시장은 부동산의 위치, 규모, 용도 등에 따른 부분시장이 형성되어 시장세분화가 이루어진다.
② 부동산시장의 행정규제는 단기적으로 시장의 수요조절기능을 저해한다.
③ 부동산시장도 외부효과에 의해 시장의 실패(market failure)가 발생한다.
④ 부동산시장은 부동산의 유사성 및 대체성 때문에 완전경쟁시장으로 분류된다.
⑤ 부동산시장의 과거 정보가 부동산가격에 정확히 반영되는 시장을 약성 효율적 시장이라칭한다.
<정답>
1) 3, 2)4 , 3) 4, 4) 4 , 5) 1
6) 4 7) 1 8) 1 9) 5 10) 4
11) 2 12) 1 13) 1 14 )5 15) 4
16) 2 17) 2 18) 5 19)3 20) 5
21) 2 22)5 23)5 24)2 25)4
26) 2 27)4 28)5 29)1 30)5
31)3 32)2 33)4 34)3 35)5
36)1 37)3 38)2 39)5 40)4
추천자료
대구대학교 평생교육기관 탐방 보고서
부동산 사기범죄의 실태분석과 대응방안
매도인 담보책임
동시이행의 항변권과 유치권
법률행위의 해석 (민법 요약정리 104조) 요약정리
법률행위의 해석 (민법 요약정리 104조) 요약정리
의사표시(민법 107조) 요약정리
부동산의 공시
10년 후 우리나라 부동산 시장 예측
사본 - 민법 및 민사 특별법 서브노트
중개업자의 유형 및 개설 등록 절차
사업계획서- 여성전용 택시(경차택시) 업체 창업 사업계획서
임대주택사업자 관련 세제
[사회복지 정책론] 장기전세주택(SHift)분석, 장기전세주택 개요, 장기전세주택 사업재원, 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