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조선왕조실록의 편찬경위
2. 조선왕조실록의 보관은 어떻게 하였는지...
3. 조선왕조실록 내용 및 해석
2. 조선왕조실록의 보관은 어떻게 하였는지...
3. 조선왕조실록 내용 및 해석
본문내용
초는 모두 세초(물 에 씻어내기)되었다. 기밀 누설을 방지함과 동시에 종이를 재생하기 위 해서였다.
실록을 영구보전하기 위해서는 궁중의 내사고와 지방의 외사고가 몇 군데 설치되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마터면 모든 사고의 실록이 완 전히 소실될 위험에 봉착하기도 하였다. 선조 25년(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춘추관의 내사고와 충주, 성주의 외사고에 봉안된 실록이 모두 병화에 타버리고 오직 전주사고의 실록만이 아슬아슬하게 남게 됐 다. 거기에는 안의-손홍록 두 의사의 공이 컸다. 이들은 임진 6월에 왜 적이 금산에 침입했다는 소문을 듣고 곧 전주의 경기전에 달려와 참봉 오희길 등과 상의하여 태조에서 명종에 이르는 13대의 실록 804권을 태 조 영정과 함께 정읍 내장산으로 옮겨 다음해7월 정부에 인계할 때까지 14개월 동안 산승과 무사들을 거느리고 번갈아가면서 숙직하여 이를 지 켜냈던 것이다.
'조선왕조실록'은 비록 지배층 위주의 관찬기록이라는 제약은 있으 나 그 시대의 정치 외교 군사 법률 경제 산업 교통 통신 사회 풍속 미 술 음악 공예 종교 등 각 방면의 역사적 사실을 낱낱이 망라하고 있어 그 기록의 자세함은 전세계에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귀중한 역사기록이 다. 조선왕조실록은 우리민족의 문자기록문화를 대표하는 하나의 금자 탑일뿐 아니라 실록의편찬과 보존을 위해 쏟은 노력은 우리 민족의 '역 사에 대한 믿음'을 나타낸 증빙이라고도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실록 의인쇄를 통해 활자의 주조와 개량 등 우리나라 인쇄문화가 지속적으로 발전했음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최정호 연세대교수>.
실록을 영구보전하기 위해서는 궁중의 내사고와 지방의 외사고가 몇 군데 설치되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마터면 모든 사고의 실록이 완 전히 소실될 위험에 봉착하기도 하였다. 선조 25년(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춘추관의 내사고와 충주, 성주의 외사고에 봉안된 실록이 모두 병화에 타버리고 오직 전주사고의 실록만이 아슬아슬하게 남게 됐 다. 거기에는 안의-손홍록 두 의사의 공이 컸다. 이들은 임진 6월에 왜 적이 금산에 침입했다는 소문을 듣고 곧 전주의 경기전에 달려와 참봉 오희길 등과 상의하여 태조에서 명종에 이르는 13대의 실록 804권을 태 조 영정과 함께 정읍 내장산으로 옮겨 다음해7월 정부에 인계할 때까지 14개월 동안 산승과 무사들을 거느리고 번갈아가면서 숙직하여 이를 지 켜냈던 것이다.
'조선왕조실록'은 비록 지배층 위주의 관찬기록이라는 제약은 있으 나 그 시대의 정치 외교 군사 법률 경제 산업 교통 통신 사회 풍속 미 술 음악 공예 종교 등 각 방면의 역사적 사실을 낱낱이 망라하고 있어 그 기록의 자세함은 전세계에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귀중한 역사기록이 다. 조선왕조실록은 우리민족의 문자기록문화를 대표하는 하나의 금자 탑일뿐 아니라 실록의편찬과 보존을 위해 쏟은 노력은 우리 민족의 '역 사에 대한 믿음'을 나타낸 증빙이라고도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실록 의인쇄를 통해 활자의 주조와 개량 등 우리나라 인쇄문화가 지속적으로 발전했음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최정호 연세대교수>.
추천자료
조선시대 법의학
조선 초기 지배세력의 성격
조선시대의 정치사상, 통치구조, 경제구조, 사회신분구조
조선 후기 문학작품에 나타나는 양반에 대한 비판과 풍자 고찰
조선의 왕릉
조선시대의 도화서
조선의 뒷골목 풍경
전통가구-조선시대 가구의 특징에 대한 조사
조선후기 지방사회 공직관리의 부패상에 대한 일고
조선의 향촌사회 = 향촌지배와 국가와 사족, 그리고 전란
조선시대 음악
조선시대 식문화의 변천사 - 주변민족 국가와의 식문화를 비교해보고, 당시 주요 작물이었던 ...
조선시대 상설구빈기관들의 특징과 역할에 대해 서술 - 상평창, 의창, 사창, 자휼전칙, 계, ...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토목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