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목차
1.동해안 별신굿(東海岸 別神굿)
이두현(李杜鉉)
2.서해안(西海岸) 배연신굿 및 대동굿
장주근, 하효길(張籌根, 河孝吉)
3.위도(蝟島) 띠뱃놀이
장주근, 하효길(張籌根, 河孝吉)
이두현(李杜鉉)
2.서해안(西海岸) 배연신굿 및 대동굿
장주근, 하효길(張籌根, 河孝吉)
3.위도(蝟島) 띠뱃놀이
장주근, 하효길(張籌根, 河孝吉)
본문내용
아리를 물어갈려는 독수리개미를 쫓고 있 었읍네.
장고 : 이놈들 저만큼 물러가 있거라.
칠성님이 공부를 다시 들어갈테니 들어 보아라.
만신 : 검은 암소로
이랴말아 밭을갈아
신농씨는 씨를 던져
염주서말서되가 날제
기장보살은 김을매 북을주고
무량보살은 물을주어
그염주가 점점자라
동서사방으로 가지가뻗어
동쪽으로 뻗은가지는
해가돋아 동남서풍이루니
만백성의 가지이고
서남으로 뻗은가지는
이댁가중에 대주님기주님
남녀자손의 가지이고
공중으로 뻗은가지는
천상옥황님과 왕래하여
비를내려 목마른백성들
목을 추기게하고
오곡 농사가
잘되게하는 가지인데
나머지 가지는
옷나무에는 옷이열렸고
밤나무에는 밤이열렸구나
이만하면 되겠느냐
장고 ; 옳시다. 그만하면 녹두알 만큼 익어 갑니다.
만신 : 야이 이놈아 너희하고 밤낮 이렇게 해봐야 돌중하고 똑같겠다. 나혼자 상방에 깊이 들어가 소정하게 해보련다.
- 식당 쪽으로 향해서 앉아 -
제석님들 동지석달 긴긴밤에 대감마나님 원앙금침에 찬모벼게를 비고 하룻밤만이라도 잠깐 소원
장고 : (징을 꽝 친다.)
에이크 칠성님 벼락 맞는다.
만신 : 에이 이놈들아 벼락은 무슨 벼락이냐? 너희놈들이 장고는 꽝하고 북은 퉁하고 바라 태징은 꽝하고 그러는 바람에 제석님 깜짝 놀라 귀가 땅에 뚝 떨어질번 했다.
- 장고 앞에서 -
상교대야 상교대야 시성공부를 들어봐라
사방에 명사그물을쳐놓고
잔처녀는 술술다빠지고
굵고이쁜처녀를 동냥해서
명산대천에 절을짓고
칠성당뒤로 몰아넣어서
이리얼르고 저리얼러
아들을낳으면 마마님차지
바랑을 벗어뜯어
애기굴레로 만들어씌우고
가사책보는 벅벅뜯어
살덮게룰 만들고
고갈은 벗어서
애기휘대 지석으로 모셔놓고
장삼은 뜯어
애기덮게로 만들어띄고
바라갱정은 깽깽짓마
애기반상기를 해주고
장고통북통은 짓어
화로통으로 만들어쓰자
이만하면 공부가 다 익었느냐?
장고 : 점점 삐딱하게 가서 다 틀렸수다. 너무 부정해서 돌부처가 목이 쟁겅 날아가서 데르 르 굴겠수다.
만신 : 야 그러며는 각명각성 타명타성에 시주양식을 얻어다가 뫼를 지어 올리고 이 나라 백성이 편안하면 또한 나라가 편안하겠구나. 무손한 가중세대 봉사 빈한한 가중 부귀 영화로다.
장고 : 그만하면 되었수다.
- 옥수 그릇을 들고 나와 -
만신 : 사루사루 천수가가요
천지신명 일월성신에
천수가가요
칠성님께 제석님께
사해용왕에 일구등신
각구신명께 천수가요
올라가는 천상수
내려오는 감료수
샘박에 솟는물로
만부정 영부정
이댁가중 우환질병
분수에 넘치는 허영심을
다둘러 씻어낸다.
인간은 잠을 들여놓고
약수삼천리를 잠간건너가서
삼신산 불노초를 구해다가
이댁가중에 골고루
나누어 주잔다.
- 이때 제단 앞으로 가서 차린 음식을 제금에다 담는다.
돌아서서 장고 앞에 서서 -
만신 : 상교대야 상교대야
장고 : "네""네"
만신 : 삼신산 불노초를 구해왔으니 어디로 가서 누구를 찾아 먼저 주느냐
장고 : 칠성님 마음대로 돌아다녀 보구려
만신 : 예끼 이놈 어른은 질러보고 아이는 생겨 보았느냐 칠성님 보고 마음대로 돌아다니라 니?
장고 : 그러면 불사약을 사려 사약을 사려 외쳐보슈.
만신 : 복떡을 들고 왔다갔다 하면서 사령사령 이중하고 끼어서 불사약을 사려
장고 : 여보시오 칠성님 중소리는 쑥 빼고 불사약만 사라고 해야지, 중하고 끼어서 사라고 하면 선불천왕이 묻어 들까봐 무서워서 대답을 안합니다.
만신 : 옳지 그렇든가? 이중은 쑥 빼고 명과 복을 받으시오.
나무 아미 타불
나- 무-아-미-타-불 - 후렴 (나무아미타불) -
명이가요 복이가요
삼신산 불노초가 가요
나무아미타불 - 후렴 -
칠성님께서 갖은명복을줍니다
나무아미타불 - 후렴 -
오시는길에 명이가요
가시는길에 복이가요
나무아미타불 - 후렴 -
이복을 받으시면
마음먹었던 일을
소원 이루리라
나무아미타불 - 후렴 -
- 만수받이 -
탈이로다 탈이로다
옷을벗어 탈이로다
이염주를 벗어줄테니
돈많이 벌며는
수판산탄으로 사용하고
다음청사가 홍가사를벗으면서
이가사를 받아두었다가
아들딸놓아 시집장가갈 때
청실홍실 인연을맺어주고
그다음 가시나무에 걸어두고
염주는 유자나무에 걸어놓고
장삼을 벗어주고갈테니
받아 두었다가
아들아기가 크거들랑
곤룡포로 입혀줘요
쾌자는 벗어줄게
나졸들에게 입혀줘요
치마는 벗어줄테니
며눌아기 얻을적에
상치마로 사용하고
손주낳으면 덮게를 띄워 업어줘요
고깔은 벗어줄테니
받아 두었다가
익성관으로 씌워줘요
음이돋아 싹이나면
3년후에 다시 찾으러 오리다
- 날만세를 섬긴다. -
에-라마세 잘놀고가요
제석님들 천천히
잘놀고 났소이다
신사떡화 입혀
뒤진공사없이 잘도와줘요
四. 技.藝能者 調書
1. (주무)主巫 : 김금화(金錦花, 女, 1931年 8月 18日生)
출생지(出生地) : 황해도(黃海道) 옹진면(甕津郡) 여미면(與尾面)
본 적(本 籍) : 인천직할시(仁川直轄市) 동구(東區) 석동(石洞) 53
주 소(住 所) : 서울 성북구(城北區) 석동(石洞) 319-11
巫굿 경력(經歷) : 37年
2. 악사(樂士) :
0 장구 최음전(崔音全) ( 女, 1915年 2月 28日生 )
출생지(出生地) : 황해도(黃海道) 해주시(海州市) 동구(東區) 석동(石洞) 25
주 소(主 所) : 인천직할시(仁川直轄市) 북구(北區) 가좌동 189
장구 경력(經歷) : 33年
0 호적(胡笛,피리 技能포함) 최수경(崔壽敬, 男, 1928年 4月 5日生)
출생지(出生地) : 충남(忠南) 아산군 둔포면 신항리
본 적(本 籍) : 서울 성북구(城北區) 돈암동(敦岩洞) 606-436
주 소(主 所) : 위와 같음
새납. 피리 : 30年
3. 연희자 (演戱者, 배연신굿의 영산할아뱝. 배치기노래)
안승삼(安承三, 男, 1909年 2月 7日生)
출생지(出生地) : 황해도(黃海道) 해주시(海州市) 결성동
본 적(本 籍) : 인천직할시(仁川直轄市) 동구(東區) 미석동(美石洞) 9
주 소(住 所) : 인천직할시(仁川直轄市) 중구(中區) 도원동(桃源洞)28
연희경력(演戱經歷) : 31年 ( 에밀량 35년 )
五. 사진 (寫眞)
장고 : 이놈들 저만큼 물러가 있거라.
칠성님이 공부를 다시 들어갈테니 들어 보아라.
만신 : 검은 암소로
이랴말아 밭을갈아
신농씨는 씨를 던져
염주서말서되가 날제
기장보살은 김을매 북을주고
무량보살은 물을주어
그염주가 점점자라
동서사방으로 가지가뻗어
동쪽으로 뻗은가지는
해가돋아 동남서풍이루니
만백성의 가지이고
서남으로 뻗은가지는
이댁가중에 대주님기주님
남녀자손의 가지이고
공중으로 뻗은가지는
천상옥황님과 왕래하여
비를내려 목마른백성들
목을 추기게하고
오곡 농사가
잘되게하는 가지인데
나머지 가지는
옷나무에는 옷이열렸고
밤나무에는 밤이열렸구나
이만하면 되겠느냐
장고 ; 옳시다. 그만하면 녹두알 만큼 익어 갑니다.
만신 : 야이 이놈아 너희하고 밤낮 이렇게 해봐야 돌중하고 똑같겠다. 나혼자 상방에 깊이 들어가 소정하게 해보련다.
- 식당 쪽으로 향해서 앉아 -
제석님들 동지석달 긴긴밤에 대감마나님 원앙금침에 찬모벼게를 비고 하룻밤만이라도 잠깐 소원
장고 : (징을 꽝 친다.)
에이크 칠성님 벼락 맞는다.
만신 : 에이 이놈들아 벼락은 무슨 벼락이냐? 너희놈들이 장고는 꽝하고 북은 퉁하고 바라 태징은 꽝하고 그러는 바람에 제석님 깜짝 놀라 귀가 땅에 뚝 떨어질번 했다.
- 장고 앞에서 -
상교대야 상교대야 시성공부를 들어봐라
사방에 명사그물을쳐놓고
잔처녀는 술술다빠지고
굵고이쁜처녀를 동냥해서
명산대천에 절을짓고
칠성당뒤로 몰아넣어서
이리얼르고 저리얼러
아들을낳으면 마마님차지
바랑을 벗어뜯어
애기굴레로 만들어씌우고
가사책보는 벅벅뜯어
살덮게룰 만들고
고갈은 벗어서
애기휘대 지석으로 모셔놓고
장삼은 뜯어
애기덮게로 만들어띄고
바라갱정은 깽깽짓마
애기반상기를 해주고
장고통북통은 짓어
화로통으로 만들어쓰자
이만하면 공부가 다 익었느냐?
장고 : 점점 삐딱하게 가서 다 틀렸수다. 너무 부정해서 돌부처가 목이 쟁겅 날아가서 데르 르 굴겠수다.
만신 : 야 그러며는 각명각성 타명타성에 시주양식을 얻어다가 뫼를 지어 올리고 이 나라 백성이 편안하면 또한 나라가 편안하겠구나. 무손한 가중세대 봉사 빈한한 가중 부귀 영화로다.
장고 : 그만하면 되었수다.
- 옥수 그릇을 들고 나와 -
만신 : 사루사루 천수가가요
천지신명 일월성신에
천수가가요
칠성님께 제석님께
사해용왕에 일구등신
각구신명께 천수가요
올라가는 천상수
내려오는 감료수
샘박에 솟는물로
만부정 영부정
이댁가중 우환질병
분수에 넘치는 허영심을
다둘러 씻어낸다.
인간은 잠을 들여놓고
약수삼천리를 잠간건너가서
삼신산 불노초를 구해다가
이댁가중에 골고루
나누어 주잔다.
- 이때 제단 앞으로 가서 차린 음식을 제금에다 담는다.
돌아서서 장고 앞에 서서 -
만신 : 상교대야 상교대야
장고 : "네""네"
만신 : 삼신산 불노초를 구해왔으니 어디로 가서 누구를 찾아 먼저 주느냐
장고 : 칠성님 마음대로 돌아다녀 보구려
만신 : 예끼 이놈 어른은 질러보고 아이는 생겨 보았느냐 칠성님 보고 마음대로 돌아다니라 니?
장고 : 그러면 불사약을 사려 사약을 사려 외쳐보슈.
만신 : 복떡을 들고 왔다갔다 하면서 사령사령 이중하고 끼어서 불사약을 사려
장고 : 여보시오 칠성님 중소리는 쑥 빼고 불사약만 사라고 해야지, 중하고 끼어서 사라고 하면 선불천왕이 묻어 들까봐 무서워서 대답을 안합니다.
만신 : 옳지 그렇든가? 이중은 쑥 빼고 명과 복을 받으시오.
나무 아미 타불
나- 무-아-미-타-불 - 후렴 (나무아미타불) -
명이가요 복이가요
삼신산 불노초가 가요
나무아미타불 - 후렴 -
칠성님께서 갖은명복을줍니다
나무아미타불 - 후렴 -
오시는길에 명이가요
가시는길에 복이가요
나무아미타불 - 후렴 -
이복을 받으시면
마음먹었던 일을
소원 이루리라
나무아미타불 - 후렴 -
- 만수받이 -
탈이로다 탈이로다
옷을벗어 탈이로다
이염주를 벗어줄테니
돈많이 벌며는
수판산탄으로 사용하고
다음청사가 홍가사를벗으면서
이가사를 받아두었다가
아들딸놓아 시집장가갈 때
청실홍실 인연을맺어주고
그다음 가시나무에 걸어두고
염주는 유자나무에 걸어놓고
장삼을 벗어주고갈테니
받아 두었다가
아들아기가 크거들랑
곤룡포로 입혀줘요
쾌자는 벗어줄게
나졸들에게 입혀줘요
치마는 벗어줄테니
며눌아기 얻을적에
상치마로 사용하고
손주낳으면 덮게를 띄워 업어줘요
고깔은 벗어줄테니
받아 두었다가
익성관으로 씌워줘요
음이돋아 싹이나면
3년후에 다시 찾으러 오리다
- 날만세를 섬긴다. -
에-라마세 잘놀고가요
제석님들 천천히
잘놀고 났소이다
신사떡화 입혀
뒤진공사없이 잘도와줘요
四. 技.藝能者 調書
1. (주무)主巫 : 김금화(金錦花, 女, 1931年 8月 18日生)
출생지(出生地) : 황해도(黃海道) 옹진면(甕津郡) 여미면(與尾面)
본 적(本 籍) : 인천직할시(仁川直轄市) 동구(東區) 석동(石洞) 53
주 소(住 所) : 서울 성북구(城北區) 석동(石洞) 319-11
巫굿 경력(經歷) : 37年
2. 악사(樂士) :
0 장구 최음전(崔音全) ( 女, 1915年 2月 28日生 )
출생지(出生地) : 황해도(黃海道) 해주시(海州市) 동구(東區) 석동(石洞) 25
주 소(主 所) : 인천직할시(仁川直轄市) 북구(北區) 가좌동 189
장구 경력(經歷) : 33年
0 호적(胡笛,피리 技能포함) 최수경(崔壽敬, 男, 1928年 4月 5日生)
출생지(出生地) : 충남(忠南) 아산군 둔포면 신항리
본 적(本 籍) : 서울 성북구(城北區) 돈암동(敦岩洞) 606-436
주 소(主 所) : 위와 같음
새납. 피리 : 30年
3. 연희자 (演戱者, 배연신굿의 영산할아뱝. 배치기노래)
안승삼(安承三, 男, 1909年 2月 7日生)
출생지(出生地) : 황해도(黃海道) 해주시(海州市) 결성동
본 적(本 籍) : 인천직할시(仁川直轄市) 동구(東區) 미석동(美石洞) 9
주 소(住 所) : 인천직할시(仁川直轄市) 중구(中區) 도원동(桃源洞)28
연희경력(演戱經歷) : 31年 ( 에밀량 35년 )
五. 사진 (寫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