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의 공연원리와 연행적 성격, 호남지방의 풍물굿을 중심으로
박흥주(2001) - 서울의 마을굿, 서문당
이기웅 - 경기도 도당굿, 열화당
이상일(1971) - 변신설화의 유형 분석, 대동문화연구, VOL.8, 성균관대학교 대동 문화연구원
이두현(1968) - 양주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1.05.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굿을 중심으로
임재해·김수남(1998) / 안동 하회 마을, 대원사
조흥윤(1990) / 무와 민족문화, 민족문화사 Ⅰ. 충청북도 앉은굿
1. 일반적 성격
2. 분포 현황
Ⅱ. 충청남도 사혼굿
Ⅲ. 전라북도 삼동굿
Ⅳ. 전라남도 대동굿
1. 두레굿
2.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1.04.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굿(東海岸別神굿) : 중요무형문화재 82-1호
2.서해안배연신굿및대동굿(西海岸배연신굿및大同굿) : 중요무형문화재 82-2호
3.위도띠뱃놀이(蝟島띠뱃놀이) : 중요무형문화재 82-3호
4.남해안별신굿(南海岸別神굿) : 중요무형문화재 82-4호
<
|
- 페이지 3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6.06.07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35년 )
五. 사진 (寫眞) 1.동해안 별신굿(東海岸 別神굿)
이두현(李杜鉉)
2.서해안(西海岸) 배연신굿 및 대동굿
장주근, 하효길(張籌根, 河孝吉)
3.위도(蝟島) 띠뱃놀이
장주근, 하효길(張籌根, 河孝吉)
|
- 페이지 39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07.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굿의 맛이 살아난다
보통 4~6명 정도로 할 수 있다
연주목적
대동굿(놀이)을 지향한다
짧은 시간에 고도의 기량을 보여 준다
가락특징
같은 가락의 되풀이가 많다
대표적인 가락을 이어서 만든다
관객반응
판에 끼어들기가 쉽다
공연할 때에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12.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