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들어가며
◈ 본론
1. 다시라기굿과 <다시라기>
2. 씨김굿과 <산씨김>
3. 오구굿과 <오구>
◈ 본론
1. 다시라기굿과 <다시라기>
2. 씨김굿과 <산씨김>
3. 오구굿과 <오구>
본문내용
적으로 굿판의 무가나 춤을 늘였고, 귀신의 등장 등 장난스런 연출이 돋보였다. 이러한 연출의 무속적 상상력은 실로 즐거운 발견이었다. 따라서 <오구>는 앞의 <다시라기>나 <산씨김>에 비하여, 고유 전통을 현대화하는 동시에 세계화를 지향하는 노력이 돋보인다고 하겠다. 가령 음악의 경우, 서양음악과 전통음악을 함께 사용하였고(피아노+타악기), 귀신의 등장 시 이들을 양식화시켜서 서구 연극의 어릿광대의 역할과 상통하는 놀이성을 가졌음을 쉽게 간파할 수 있었다. "마임, 만담, 굿판, 일상과 환상이 결함 된 오구의 연극체계는 우리 연극의 원형이 어떻게 현대 연극으로 해체되고 재구성되었는가를 규명하는 단서"가 되리라는 작가의 말처럼, <오구>는 전통 연희 유산을 현대적인 시각으로 재구한 한 전형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