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속의 한국식량농업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예측되고 있는 세계의 식량위기

3. 세계 곡물 수급 변화

4. 세계 식량의 공급 능력과 수요량의 균형

5. 우리나라의 식량

*참고문헌

본문내용

od.
Table 24. Estimated growing area of soybean for self-sufficiency.
Table 25. Proposed plan for double cropping after rice and soybean.
Table 26. Production of food grains by double cropping and saved dollars.
우리나라 식량 자급율을 저하시키는 곡물이 액류, 옥수수 및 두류라는 것은 누구나 인지하고 있는 사실이다. 맥류의 경우 재배면적이 1970년대 초반에 90만 ha에 육박했지만 현재는 90% 감소하여 9만 ha의 재배면적을 보이고 있다.(표 12) 표 18에서 보는 것처럼 곡물 자급율은 역시 보리가 47%, 밀 0.2%, 옥수수 0.9% 콩이 8.6% 정도로 매우 낮은 상태이지만 생산 면적은 확대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기본적인 이유는 타작물에 비하여 소득이 낮아 수지가 맞지 않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무역 적자가 100억 달러 중 70억 달러가 농산물 수입으로 발생되었다고 보고되면서 국가적 차원에서 외환 문제 해결의 중요한 부분이 국내 곡물 자급 비율을 가능한 한 확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데 모두가 공감하고 있다. 또한, 판단하면 표 20, 21, 22와 23에서 보는 바와 같다. 현재 우리나라 보리 수요량은 41만 2천톤이지만 최근 육성된 찰쌀보리의 수요가 높아 이 품종의 보급이 확대되는 1999년 ~2000년 이후 상당한 재배 면적 증가가 예상된다. 지역별 집단재배로 실시된 찰쌀보리 면적 추이(표 21)를 살펴보면, 1997년에는 5개도 14개소에서 326ha 재배하였는데 1998년의 경우 6개소에서 756ha로 재배면적이 2.3배가 증가하였는데 이러한 증가 추세가 이어질 경우 1999년에는 1,000ha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찰쌀보리 1kg 소포장의 소비자 가격은 2,400원이고 가공 포장비 900원을 제외하고 얻는 소득은 1kg당 1,500원으로 쌀 1kg 당 소득 1,700원과 비교해보면 매우 높은 소득임을 알 수 있다. 맥주 보리는 최근 6년간 단위 면적당 수량의 평균치인 399kg을 생산할 경우 89,366ha의 재배 면적만 확보되면 우리 나라 수요량인 22만 6천톤 생산이 가능할 것이다. 우리나라 밀 수요량은 가공을 하여 식용으로 소비되는 양과 양조용으로 이용되는 양을 합하여 2백만 톤 정도이며, 때로는 옥수수 대용으로 가격이나 기타조건이 좋을 경우 밀을 사료 곡물로 대용하는데 1997년의 경우 2백 2만 4천톤을 수입하였다. 그러므로 밀 수요량중 식용으로 이용되는 수요량의 50% 자급을 목표로 할 경우 24만 6천 ha의 재배 면적이 요구된다.
콩의 경우 표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밭의 맥류와 이모작을 할 경우 수량이 콩만 단작할 때와 같은 생산량을 나타내기 때문에 단위 면적당 콩 생산량은 보리 생산량과 합쳐져 10a당 621kg까지 증수가 가능하다. 현재 밭에서 맥류 이모작 가능 면적이 25만 7천 모이고, 이 면적과 경상남북도 이모작 가능 논면적을 더하면 콩 재배면적은 식용콩을 자급할 수 있는 면적까지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만일 식용콩의 80% 정도를 생산한다고 하면 밭에서 이모작 가능 면적에 적응성과 생산성을 고려하여 21ha 재배 면적만 확보하여도 충분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상과 같은 이모작을 전국에 분할하여 만든 생산 계획표는 표25에서 보는 바와 같다. 이것은 1970년대 초 맥류 재배 면적을 근거로 배치한 것으로 호밀, 신기호밀, 귀리, 옥수수, 기타 두과 사료를 포함한 총체 사료의 경우 논에서 23만 ha 재배면적 확보가 가능하고 밭에서는 4만 6천 ha의 면적이 가능하여 축산 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본다.이렇듯 우리나라에서 이모작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밀은 24만 6천 ha 면적 증가를 이룰 수 있어 우리 나라 식량 자급율을 크게 향상 시켜서 안정적인 식량 수급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2) 자급율 개선효과
이상에서 살펴 본 것처럼 밀을 벼나 콩과 이모작하여 재배 면적을 확대할 경우 식용으로 소비되는 양의 50% 까지 자급이 가능하며, 보리와 콩의 경우는 식용으로 이용되는 양 100% 모두 자급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럴 경우는 밀에서 1억 8천 3백만 달러, 보리에서 1억 3천 4백만 달러를 콩에서는 1억 8백만 달러 정도를 절약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4억 2천 6백만 달러를 절약할 수 있다. 현재와 같이 어려운 외환사정을 고려하면 식량 자급율 향상을 위한 이모작 재배면적 확대는 반드시 실시되어야 한다고 본다. 뿐만 아니라 맥류와 같은 후작물재배를 통해 논의 과잉 축적 비료분으로 발생하는 수질 오염 및 부영양화 문제도 부분적으로 해결이 가능하게 될 것으로 본다. 또한 겨울철과 봄철의 논을 푸르게 채워주어서 국민의 정서 순화에도 도움이 될 뿐 아니라 대기 정화에도 큰 몫을 차지한다는 것도 유념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1. 농림수산부. 1998. 농림업 주요통계.
2. 농림수산부 농산국. 1994. 밭작물 경쟁력 재고 대책.
3. 카터 로로레이. 1991. 농업의 새물결.
4. 농림부. 1997. 농림통계연보.
5. 한국 쌀 연구회. 1996. 한국쌀의 재인식과 발전방향.
6. Derek Tribe. 1994. Feeding and Greening the world. CAB Int'l.
7. OECD. 1997. Economic accounts for agriculture.
8. Lester Brown. 1997. Vital signs. World Watch Institute.
9. Lester Brown. 1994. Full house: Population, Food and Environment. World Watch Institute.
10. FAO. 1996. World agriculture toward 2010. In FAO study. FAO, Rome, Italy.
11. 홍병희. 1996. 전작물 수입생산 대응 생산 및 품질향상 대책 : 심포지엄. 우리농업의 첨단 기술개발 전략. 농업진흥청. 141-171.
  • 가격2,3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2.07.14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86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