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목차
1. 문제행동의 간호30
2. 가족의 문제점과 간호39
1) 가족의 갈등과 스트레스39
2) 간병에 대한 부담감45
3. 신체간호49
1) 개인위생49
2) 휴식과 수면관리51
3) 배설관리52
4) 피부관리54
5) 눈의 관리55
6) 보행과 균형의 관리56
7) 체위변경 및 환자운반법56
8) 체온유지 및 온냉요법58
9) 식사, 술 및 담배60
제3장 배회문제환자에 대한 대처
1. 치매환자의 배회문제 실태62
2. 배회문제의 대책64
1) 가족적 차원64
2) 사회적 차원66
제4장 치매환자의 영양
1. 치매의 원인에 관련된 영양학적 측면69
1) 비타민 결핍69
2) 치매의 진행에 따른 영양문제71
3) 영양관리의 목표72
4) 치매환자의 영양(사례)73
2. 치매환자를 위한 조리법74
3. 치매환자 식사시의 문제점74
4. 치매환자를 위한 식단77
제5장 치매환자 보호를 위한 주거환경
1. 치매환자의 환경 구성의 기본적 요소81
1) 치매환자의 신체적능력 저하82
2) 치매환자의 문제행동83
3) 치매환자의 스트레스 대처 방법84
2. 치매환자의 문제행동에 대한 건축적인 고려85
1) 치매환자의 인지능력의 보강85
3. 일반 가정에서 할 수 있는 개조 방법87
1) 현관 부분87
2) 거실과 베란다87
3) 욕 실88
4) 주 방89
5) 치매환자의 침실90
6) 가구의 선택91
2. 가족의 문제점과 간호39
1) 가족의 갈등과 스트레스39
2) 간병에 대한 부담감45
3. 신체간호49
1) 개인위생49
2) 휴식과 수면관리51
3) 배설관리52
4) 피부관리54
5) 눈의 관리55
6) 보행과 균형의 관리56
7) 체위변경 및 환자운반법56
8) 체온유지 및 온냉요법58
9) 식사, 술 및 담배60
제3장 배회문제환자에 대한 대처
1. 치매환자의 배회문제 실태62
2. 배회문제의 대책64
1) 가족적 차원64
2) 사회적 차원66
제4장 치매환자의 영양
1. 치매의 원인에 관련된 영양학적 측면69
1) 비타민 결핍69
2) 치매의 진행에 따른 영양문제71
3) 영양관리의 목표72
4) 치매환자의 영양(사례)73
2. 치매환자를 위한 조리법74
3. 치매환자 식사시의 문제점74
4. 치매환자를 위한 식단77
제5장 치매환자 보호를 위한 주거환경
1. 치매환자의 환경 구성의 기본적 요소81
1) 치매환자의 신체적능력 저하82
2) 치매환자의 문제행동83
3) 치매환자의 스트레스 대처 방법84
2. 치매환자의 문제행동에 대한 건축적인 고려85
1) 치매환자의 인지능력의 보강85
3. 일반 가정에서 할 수 있는 개조 방법87
1) 현관 부분87
2) 거실과 베란다87
3) 욕 실88
4) 주 방89
5) 치매환자의 침실90
6) 가구의 선택91
본문내용
남구 대명동
053-654-7575
×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치매크리닉
부산 서구 암남동 34
051-248-5161
×
부산동인노인병원
부산 사상구 학장동
051-326-7211
○
부곡온천병원 정신과
노인성치매센타
경남창녕군 부곡면 거운리
0559-36-4858
○
충북대학교병원
기억장애 치매크리닉
충북 충주시 개신동
0431-269-6196
×
순천향천안병원
치매크리닉
충남 천안시 봉명동
0417-570-2114
○
남원의료원치매크리닉
전북 남원시 동충동
0671-620-1197
○
◇ 시·도립 치매요양병원
기 관 명
주 소
전화번호
병동
공립광양치매요양병원
전남 광양시 마동 892 - 3
0667-793-9866
○
경북도립안동노인전문요양병원
경북 안동시 남후면 무릉리 363-2
0571-851-1251
○
◇ 치매전문요양시설
기 관 명
주 소
전화번호
유료
무료
시립중계노인복지관
서울 노원구 중계동 501-1
02-972-9011
○
정원치매전문요양원
경기 파주시 광탄면 분수리
0348-942-8887
○
부산 노인건강센터
부산 사상구 학장동
051-325-6331
○
애광노인치매요양원
부산 금정구 장전2동 산46-9
051-514-7737
○
대구가톨릭치매센터
대구 달성군 논공읍 남리
053-616-2141
○
영락치매센터
인천 연수구 동춘동
032-832-2995
○
○
순애원
경기 고양시 덕양구 관산동
0344-62-8360
○
다비다의 집
대전 대덕구 대화동
042-62-3007∼8
○
원주치매전문요양원
강원 원주시 행구동
0371-747-8083
○
강릉효도마을
강원 강릉시 강동면 심곡리
0391-644-5766
○
초정치매마을
충북 청원군 북일면 우산리
0431-213-5500
○
인산노인사랑건강센타
전북 완주군 소양면 해월리
0652-243-3565
○
은빛마을
전남 순천시 상사면 홀산리
0661-745-4080
○
애명노인마을
경북 안동시 북후면 도촌리
0571-859-6372
○
에덴원
경북 청도군 화양읍 범곡리
0542-373-7575
○
은화의 집
경북 경주시 구정동
0561-746-4827
○
마산치매요양원
경남 마산시 합포구 구산면 반동리
0551-222-1955
○
평안요양원
제주 서귀포시 토평동
064-733-9005
○
◇ 기타 치매관련기관 연락처
가정방문간호사 연락처
기 관 명
전화번호
대한가정간호사회
02-267-5688
배회시 신고기관
기 관 명
전화번호
한국치매가족회
02-431-9963
서울경찰청
182
노인복지시설협회
02-712-9763
법률적 상담기관
기 관 명
주 소
전화번호
생명의 전화 종합사회복지관
서울 성북구 하월곡동
02-916-9199
나눔의 전화
서울 중구 명동
02-754-5636
한국노인의 전화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02-3141-8802
대구.경북 한국노인의 전화
대구 중구 동인2가
053-423-0411
생명의 전화
대구 남구 대명동
053-476-9191
◇ 기타 치매관련 시설
(일반입소시설, 주간보호, 단기보호, 가정봉사원 파견 등)은 아래단체로 문의
기 관 명
전화번호
한국노인복지시설협회
02-712-9763
재가노인복지협회
02-2632-8738
한국치매협회
02-785-0710
◇ 치매환자에게 필요한 용품
(1) 종류
1) 생활보조용품
에이프런 - 음식물을 자주 흘리는 경우 사용
타원죽병, 꼭지컵 - 흡입력이 약하거나 음식물 덩어리를 삼키지 못하는 경우 사용
커트러리(Cutlery) - 어떤 방식으로 잡아도 안전한 포크, 스푼으로 스테인레스 스틸 부분은 다각도로 구부릴 수 있다.
멜라민 스쿱접시 - 경사 있는 접시로 음식을 쉽게 떠먹을 수 있다.
케어스텝 - 양말 및 슬리퍼 밑에 고무가 부착되어 미끄러지지 않는다.
Tooth towels - 칫솔질을 하지 못하는 경우 구강 청결을 유지시켜준다.
2) 목욕관련용품
노린스 샴푸, 노린스 바디바스 - 물 없이도 청결을 유지시켜줄 수 있다.
미끄럼 방지 매트 - 욕실 안에서 미끄러지지 않게 습판이 부착되어 있음
주택용 안전손잡이 - 목욕탕, 화장실, 현관 등 집안 구석구석 미끄러지기 쉬운 곳에 손잡이를 설치하여 사고를 예방
세발기 - 환자를 침상에 누인채로 모발을 세척할 수 있는 용품
욕조내의자, 목욕의자
- 미끄럼방지판이 붙어 있어 욕조나 목욕탕 안에서 미끄러지지 않음
3) 침대관련용품
실내복 내의, 환자복
- 땀의 흡수력과 신축성이 뛰어나고 앞트임단추나 지퍼가 부착되어 있어 입고 벗기에 편리하다.
욕창예방쿠션
- 체중의 압력을 분산시켜주는 것으로 베개, 쿠션, 매트 등이 있다.
욕창파스, 파우더, 연고
- 초기치료에 적합하나 무엇보다도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
4) 배변보조, 실금용품
이동식 변기 - 실내에서 이동 가능한 변기
실금용 망사 팬티 - 장거리 여행시 사용 편리
실금팬티 - 방수처리되어 충격에 의한 실금에 사용
팬티형, 패드형 기저귀 - 각각 장기환자와 단기환자에게 적합
수퍼카바, 실버카바 - 배변이 새지 않도록 한다.
5) 보행보조용품
침대형, 흔들의자형 휠체어와 경량, 일반, 전동 휠체어가 있다.
(2) 구입처
(주) 대경인터내셔날(Tel. 587-9311)
- 배변용품, 목욕관련용품, 생활보조용품, 침대관련용품 등 판매
유한킴버리 (Tel. 528-1101) - 기저귀, 카바 판매
실버스핸드 (Tel. 521-8384)
- 간호용품, 노인시설 장비, 복지기기 등 판매
(주) 미키코리아(Tel. 3444-8009) - 휠체어 판매
* 기타 의료기기 및 환자용품은 의료기상사에서 구입가능합니다.
(3) 대여소
좋은생활 복지용품 갤러리(Tel. 931-2252)
- 간호용품, 복지용품 등 판매
실버스핸드(Tel. 521-8384)
- 간호용품, 노인시설 장비, 복지기기 등 판매
○ 매뉴얼 집필위원
성 명
소속 및 전공분야
이정희박사
서울대학교
의학연구원(정신의학)
김주희교수
한양대 의대
간호학과
김귀분교수
경희대 의대
간호학과
김영숙교수
삼육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손숙미교수
가톨릭대학교
영양학과
오은진소장
준명노인환경연구소
○ 그 밖에 도움을 주신 분
김 동원(의사, 서울시 노원구 보건소)
053-654-7575
×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치매크리닉
부산 서구 암남동 34
051-248-5161
×
부산동인노인병원
부산 사상구 학장동
051-326-7211
○
부곡온천병원 정신과
노인성치매센타
경남창녕군 부곡면 거운리
0559-36-4858
○
충북대학교병원
기억장애 치매크리닉
충북 충주시 개신동
0431-269-6196
×
순천향천안병원
치매크리닉
충남 천안시 봉명동
0417-570-2114
○
남원의료원치매크리닉
전북 남원시 동충동
0671-620-1197
○
◇ 시·도립 치매요양병원
기 관 명
주 소
전화번호
병동
공립광양치매요양병원
전남 광양시 마동 892 - 3
0667-793-9866
○
경북도립안동노인전문요양병원
경북 안동시 남후면 무릉리 363-2
0571-851-1251
○
◇ 치매전문요양시설
기 관 명
주 소
전화번호
유료
무료
시립중계노인복지관
서울 노원구 중계동 501-1
02-972-9011
○
정원치매전문요양원
경기 파주시 광탄면 분수리
0348-942-8887
○
부산 노인건강센터
부산 사상구 학장동
051-325-6331
○
애광노인치매요양원
부산 금정구 장전2동 산46-9
051-514-7737
○
대구가톨릭치매센터
대구 달성군 논공읍 남리
053-616-2141
○
영락치매센터
인천 연수구 동춘동
032-832-2995
○
○
순애원
경기 고양시 덕양구 관산동
0344-62-8360
○
다비다의 집
대전 대덕구 대화동
042-62-3007∼8
○
원주치매전문요양원
강원 원주시 행구동
0371-747-8083
○
강릉효도마을
강원 강릉시 강동면 심곡리
0391-644-5766
○
초정치매마을
충북 청원군 북일면 우산리
0431-213-5500
○
인산노인사랑건강센타
전북 완주군 소양면 해월리
0652-243-3565
○
은빛마을
전남 순천시 상사면 홀산리
0661-745-4080
○
애명노인마을
경북 안동시 북후면 도촌리
0571-859-6372
○
에덴원
경북 청도군 화양읍 범곡리
0542-373-7575
○
은화의 집
경북 경주시 구정동
0561-746-4827
○
마산치매요양원
경남 마산시 합포구 구산면 반동리
0551-222-1955
○
평안요양원
제주 서귀포시 토평동
064-733-9005
○
◇ 기타 치매관련기관 연락처
가정방문간호사 연락처
기 관 명
전화번호
대한가정간호사회
02-267-5688
배회시 신고기관
기 관 명
전화번호
한국치매가족회
02-431-9963
서울경찰청
182
노인복지시설협회
02-712-9763
법률적 상담기관
기 관 명
주 소
전화번호
생명의 전화 종합사회복지관
서울 성북구 하월곡동
02-916-9199
나눔의 전화
서울 중구 명동
02-754-5636
한국노인의 전화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02-3141-8802
대구.경북 한국노인의 전화
대구 중구 동인2가
053-423-0411
생명의 전화
대구 남구 대명동
053-476-9191
◇ 기타 치매관련 시설
(일반입소시설, 주간보호, 단기보호, 가정봉사원 파견 등)은 아래단체로 문의
기 관 명
전화번호
한국노인복지시설협회
02-712-9763
재가노인복지협회
02-2632-8738
한국치매협회
02-785-0710
◇ 치매환자에게 필요한 용품
(1) 종류
1) 생활보조용품
에이프런 - 음식물을 자주 흘리는 경우 사용
타원죽병, 꼭지컵 - 흡입력이 약하거나 음식물 덩어리를 삼키지 못하는 경우 사용
커트러리(Cutlery) - 어떤 방식으로 잡아도 안전한 포크, 스푼으로 스테인레스 스틸 부분은 다각도로 구부릴 수 있다.
멜라민 스쿱접시 - 경사 있는 접시로 음식을 쉽게 떠먹을 수 있다.
케어스텝 - 양말 및 슬리퍼 밑에 고무가 부착되어 미끄러지지 않는다.
Tooth towels - 칫솔질을 하지 못하는 경우 구강 청결을 유지시켜준다.
2) 목욕관련용품
노린스 샴푸, 노린스 바디바스 - 물 없이도 청결을 유지시켜줄 수 있다.
미끄럼 방지 매트 - 욕실 안에서 미끄러지지 않게 습판이 부착되어 있음
주택용 안전손잡이 - 목욕탕, 화장실, 현관 등 집안 구석구석 미끄러지기 쉬운 곳에 손잡이를 설치하여 사고를 예방
세발기 - 환자를 침상에 누인채로 모발을 세척할 수 있는 용품
욕조내의자, 목욕의자
- 미끄럼방지판이 붙어 있어 욕조나 목욕탕 안에서 미끄러지지 않음
3) 침대관련용품
실내복 내의, 환자복
- 땀의 흡수력과 신축성이 뛰어나고 앞트임단추나 지퍼가 부착되어 있어 입고 벗기에 편리하다.
욕창예방쿠션
- 체중의 압력을 분산시켜주는 것으로 베개, 쿠션, 매트 등이 있다.
욕창파스, 파우더, 연고
- 초기치료에 적합하나 무엇보다도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
4) 배변보조, 실금용품
이동식 변기 - 실내에서 이동 가능한 변기
실금용 망사 팬티 - 장거리 여행시 사용 편리
실금팬티 - 방수처리되어 충격에 의한 실금에 사용
팬티형, 패드형 기저귀 - 각각 장기환자와 단기환자에게 적합
수퍼카바, 실버카바 - 배변이 새지 않도록 한다.
5) 보행보조용품
침대형, 흔들의자형 휠체어와 경량, 일반, 전동 휠체어가 있다.
(2) 구입처
(주) 대경인터내셔날(Tel. 587-9311)
- 배변용품, 목욕관련용품, 생활보조용품, 침대관련용품 등 판매
유한킴버리 (Tel. 528-1101) - 기저귀, 카바 판매
실버스핸드 (Tel. 521-8384)
- 간호용품, 노인시설 장비, 복지기기 등 판매
(주) 미키코리아(Tel. 3444-8009) - 휠체어 판매
* 기타 의료기기 및 환자용품은 의료기상사에서 구입가능합니다.
(3) 대여소
좋은생활 복지용품 갤러리(Tel. 931-2252)
- 간호용품, 복지용품 등 판매
실버스핸드(Tel. 521-8384)
- 간호용품, 노인시설 장비, 복지기기 등 판매
○ 매뉴얼 집필위원
성 명
소속 및 전공분야
이정희박사
서울대학교
의학연구원(정신의학)
김주희교수
한양대 의대
간호학과
김귀분교수
경희대 의대
간호학과
김영숙교수
삼육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손숙미교수
가톨릭대학교
영양학과
오은진소장
준명노인환경연구소
○ 그 밖에 도움을 주신 분
김 동원(의사, 서울시 노원구 보건소)
추천자료
두부수술환자간호
성인간호학- 의식장애환자간호
치매환자의 미술요법
수혈환자간호
견인환자간호
수술전후 환자간호, 수술실 간호사 역할
[간호학]shock 환자간호
노령화 사회로 인한 치매환자의 증가가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치매노인에 대한 사회복지서비...
정신간호실습지침서(2)환자간호(3)입원과 퇴원의 관리(4) 안전환경관리(5) 전기충격요법과 간...
무의식환자간호과정,중환자실실습(등록)
하부호흡기계 정리 하부호흡기계 구조와 기능 하부호흡기계환자간호 호흡기계환자간호 호흡기...
의료사회복지] 성인암, 암에대한이해, 암의치료방법, 암환자간호, 암환자가족간호, 성인암환...
성인암, 암에대한이해, 암의치료방법, 암환자간호, 암환자가족간호, 성인암환자문제사정, 성...
[간호학] Peritonitis 환자간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