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세법1부(법인세법,부가가치세법)
세법2부 (소득세법, 조세특례제한법)
세법2부 (소득세법, 조세특례제한법)
본문내용
③ 건물의 대여에 따른 소득
④ 주택을 건설하여 판매하는 사업에서 발생하는 소득
⑤ 광업권자·조광권자 또는 덕대가 채굴에 관한 권리 대여에 따른 소득
답. ④ (소법제 18조)
6. 다음의 사업소득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대표자의 급여는 사업소득의 필요경비에 산입 된다.
② 주택신축판매업은 사업소득 중 건설업에 해당한다.
③ 농가부업규모의 축산에서 발생하는 소득은 비과세소득이다.
④ 부동산매매업도 사업소득에 해당된다.
⑤ 법인세법에 의하여 상여로 처분된 소득은 근로소득이다.
답. ① (소법령제 55조제 1항 6)
7. 사업소득금액 계산시 총수입금액에 산입하는 것은?
① 제조업을 경영하는 거주자가 생산한 제품을 자기가 생산하는 타제품 등의 원재료로 소비한 금액
② 자산임의평가차익 ③ 사업과 관련된 자산수증이익·채무면제이익
④ 부가가치세의 매출세액 ⑤ 국세등의 과오납금 환급이자
답. ③ (소법제 24조 및 제26조)
8. 다음 자료를 이용하여 퇴직급여충당금의 필요경비 산입한도액을 계산하면 얼마인가?
1. 1년간 계속하여 근로한 종업원에게 지급한 총급여액
2. 퇴직금 추계액
3. 퇴직급여충당금 누적액
10,000,000원
50,000,000원
15,000,000원
① 2,000,000원 ② 5,000,000원 ③ 1,500,000원 ④ 1,000,000원
⑤ 3,500,000원
답. ④ (소법령 제 57조)
9. 다음 중 근로소득이 아닌 것은?
① 여비의 명목으로 받은 연액 또는 월액의 급여
② 종업원이 받는 공로금·위로금 등 이와 유사한 성질의 급여
③ 연, 월차 수당
④ 종업원이 주택자금을 저리 또는 무상으로 대여 받음으로써 얻는 이익
⑤ 사업자가 종업원에게 지급한 경조금 중 사회통념상 타당하다고 인정되는 금액
답. ⑤ (소법령 제 38조)
10. 다음 중 근로소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퇴직급여 ② 봉 급 ③ 상여금 ④ 가족수당 ⑤ 급 료
답. ① (소법령 제 20조)
11. 다음 중 종합소득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사업소득 ② 근로소득 ③ 기타소득 ④ 부동산임대소득 ⑤ 산림소득
답. ⑤ (소법제 23조)
12. 다음은 기타소득을 열거한 것이다. 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상금, 사례금 ② 복권당첨금 ③ 국민연금법에 의한 연금소득
④ 법인세법에 의하여 처분된 기타소득 ⑤ 재산권에 대한 알선 수수료
답. ③ (소법제 21조)
13. 기타소득은 분리과세에 의한 방법과 종합과세에 의한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하여 과세된다. 그러나 연간 ( )만원을 초과하는 기타소득에 대하여는 전액을 종합소득에 합산하여 신고하여야 한다. ( )속에 해당하는 금액은?
① 100 ② 200 ③ 300 ④ 400 ⑤ 500
답. ③ (소법 제14조제3항제 5호)
14. 다음은 사업소득만 있는 김영환의 종합소득공제자료이다. 이 자료에 의하여 종합소득공제액을 계산하면 얼마인가?
⑴ 가족현황
· 직계존속 - 72세로써 장애인
· 배 우 자 - 35세로써 소득없음
· 직계비속 - 10세로써 소득없음
① ₩4,000,000 ② ₩5,000,000 ③ ₩5,600,000 ④ ₩6,600,000 ⑤ ₩7,600,000
답. ③ (소법제 50조- 54조)
15. 자산소득 합산과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자산소득 합산과세는 세대단위로 합산한다.
② 합산대상이 되는 소득은 이자소득, 배당소득, 부동산임대소득을 말하며 분리과세소득은 포함하지 아니한다.
③ 주된 소득자라 함은 자산소득금액 이외의 종합소득금액이 가장 많은 자
④ 주된 소득자 또는 자산합산대상 배우자의 판정은 당해 과세기간 종료일 현재의 상황에 의한다.
⑤ 합산 과세하는 자산소득에 대하여는 거주자와 배우자가 연대납세의무를 진다.
답. ① (소법제 61조)
16. 다음 중 기본공제 대상이 아닌 것은?
① 거주자 본인 ② 배우자 ③ 거주자의 18세 된 아들
④ 거주자의 58세 된 아버지 ⑤ 생계를 같이하는 18세 형제자매
답. ④ (소법제 50조)
17. 소득세법상 부당행위계산부인 규정이 적용되지 않는 소득은?
① 근로소득 ② 사업소득 ③ 기타소득 ④ 산림소득 ⑤ 부동산 임대소득
답.① (소법제 41조)
18. 다음 중 소득세법상 분리과세 소득이 없는 소득은?
① 이자소득 ② 사업소득 ③ 근로소득 ④ 기타소득 ⑤ 배당소득
답. ② (소법제 14조)
19. 다음은 종합소득공제 중 특별공제에 대한 것이다. 틀린 것은?
① 교육비공제 ② 보험료공제 ③ 소수공제자 추가공제 ④ 의료비공제 ⑤ 주택자금공제
답. ③ (소법 제 52조)
20. 다음 자료에 의하여 종합소득 과세표준을 계산하면 얼마인가?
1. 근로자의 근로소득금액 : 10,000,000원
2. 가족현황 : 모친(66세, 장애자, 소득없음)
3. 표준공제 : 600,000원
① 540만원 ② 590만원 ③ 640만원 ④ 480만원 ⑤ 620만원
답. ② (소법제 14조)
21. 자산소득 과세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자산소득이란 이자소득, 배당소득, 부동산임대소득을 말한다.
② 자산소득이란 생계를 같이하는 가족 중 주된 소득자의 종합소득에 합산하여 과세한다.
③ 주된 소득자는 자산소득이 가장 많은 자로 한다.
④ 주된 소득자와 자산합산대상 가족은 연대하여 납세의무를 진다.
⑤ 자산소득 합산과세는 소득세를 중과하기 위한 규정이다.
답. ③ (소법제 61조)
22. 양도소득금액 계산시 장기보유특별공제를 적용 받을 수 있는 자산은?
① 10년 보유한 미등기 토지 ② 5년 보유한 비상장주식
③ 8년 보유한 부동산에 관한 권리 ④ 3년 보유한 상가
⑤ 2년 보유한 토지
답. ④ (소법제 95조 제2항)
23. 다음중 양도소득세 과세대상 자산이 아닌 것은?
① 토 지 ② 건 물 ③ 부동산에 관한 권리
④ 차량운반구 ⑤ 비상장 주식
답.④ (소법제 94조)
24. 소득세법상 결손금이 발생하는 소득은?
① 이자소득 ② 사업소득 ③ 배당소득 ④ 기타소득 ⑤ 근로소득
답. ② (소법제 45조)
25. 다음중 종합소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연금소득 ② 근로소득 ③ 일시재산소득 ④ 산림소득 ⑤ 기타소득
답. ④ (소법제 14조)
④ 주택을 건설하여 판매하는 사업에서 발생하는 소득
⑤ 광업권자·조광권자 또는 덕대가 채굴에 관한 권리 대여에 따른 소득
답. ④ (소법제 18조)
6. 다음의 사업소득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대표자의 급여는 사업소득의 필요경비에 산입 된다.
② 주택신축판매업은 사업소득 중 건설업에 해당한다.
③ 농가부업규모의 축산에서 발생하는 소득은 비과세소득이다.
④ 부동산매매업도 사업소득에 해당된다.
⑤ 법인세법에 의하여 상여로 처분된 소득은 근로소득이다.
답. ① (소법령제 55조제 1항 6)
7. 사업소득금액 계산시 총수입금액에 산입하는 것은?
① 제조업을 경영하는 거주자가 생산한 제품을 자기가 생산하는 타제품 등의 원재료로 소비한 금액
② 자산임의평가차익 ③ 사업과 관련된 자산수증이익·채무면제이익
④ 부가가치세의 매출세액 ⑤ 국세등의 과오납금 환급이자
답. ③ (소법제 24조 및 제26조)
8. 다음 자료를 이용하여 퇴직급여충당금의 필요경비 산입한도액을 계산하면 얼마인가?
1. 1년간 계속하여 근로한 종업원에게 지급한 총급여액
2. 퇴직금 추계액
3. 퇴직급여충당금 누적액
10,000,000원
50,000,000원
15,000,000원
① 2,000,000원 ② 5,000,000원 ③ 1,500,000원 ④ 1,000,000원
⑤ 3,500,000원
답. ④ (소법령 제 57조)
9. 다음 중 근로소득이 아닌 것은?
① 여비의 명목으로 받은 연액 또는 월액의 급여
② 종업원이 받는 공로금·위로금 등 이와 유사한 성질의 급여
③ 연, 월차 수당
④ 종업원이 주택자금을 저리 또는 무상으로 대여 받음으로써 얻는 이익
⑤ 사업자가 종업원에게 지급한 경조금 중 사회통념상 타당하다고 인정되는 금액
답. ⑤ (소법령 제 38조)
10. 다음 중 근로소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퇴직급여 ② 봉 급 ③ 상여금 ④ 가족수당 ⑤ 급 료
답. ① (소법령 제 20조)
11. 다음 중 종합소득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사업소득 ② 근로소득 ③ 기타소득 ④ 부동산임대소득 ⑤ 산림소득
답. ⑤ (소법제 23조)
12. 다음은 기타소득을 열거한 것이다. 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상금, 사례금 ② 복권당첨금 ③ 국민연금법에 의한 연금소득
④ 법인세법에 의하여 처분된 기타소득 ⑤ 재산권에 대한 알선 수수료
답. ③ (소법제 21조)
13. 기타소득은 분리과세에 의한 방법과 종합과세에 의한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하여 과세된다. 그러나 연간 ( )만원을 초과하는 기타소득에 대하여는 전액을 종합소득에 합산하여 신고하여야 한다. ( )속에 해당하는 금액은?
① 100 ② 200 ③ 300 ④ 400 ⑤ 500
답. ③ (소법 제14조제3항제 5호)
14. 다음은 사업소득만 있는 김영환의 종합소득공제자료이다. 이 자료에 의하여 종합소득공제액을 계산하면 얼마인가?
⑴ 가족현황
· 직계존속 - 72세로써 장애인
· 배 우 자 - 35세로써 소득없음
· 직계비속 - 10세로써 소득없음
① ₩4,000,000 ② ₩5,000,000 ③ ₩5,600,000 ④ ₩6,600,000 ⑤ ₩7,600,000
답. ③ (소법제 50조- 54조)
15. 자산소득 합산과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자산소득 합산과세는 세대단위로 합산한다.
② 합산대상이 되는 소득은 이자소득, 배당소득, 부동산임대소득을 말하며 분리과세소득은 포함하지 아니한다.
③ 주된 소득자라 함은 자산소득금액 이외의 종합소득금액이 가장 많은 자
④ 주된 소득자 또는 자산합산대상 배우자의 판정은 당해 과세기간 종료일 현재의 상황에 의한다.
⑤ 합산 과세하는 자산소득에 대하여는 거주자와 배우자가 연대납세의무를 진다.
답. ① (소법제 61조)
16. 다음 중 기본공제 대상이 아닌 것은?
① 거주자 본인 ② 배우자 ③ 거주자의 18세 된 아들
④ 거주자의 58세 된 아버지 ⑤ 생계를 같이하는 18세 형제자매
답. ④ (소법제 50조)
17. 소득세법상 부당행위계산부인 규정이 적용되지 않는 소득은?
① 근로소득 ② 사업소득 ③ 기타소득 ④ 산림소득 ⑤ 부동산 임대소득
답.① (소법제 41조)
18. 다음 중 소득세법상 분리과세 소득이 없는 소득은?
① 이자소득 ② 사업소득 ③ 근로소득 ④ 기타소득 ⑤ 배당소득
답. ② (소법제 14조)
19. 다음은 종합소득공제 중 특별공제에 대한 것이다. 틀린 것은?
① 교육비공제 ② 보험료공제 ③ 소수공제자 추가공제 ④ 의료비공제 ⑤ 주택자금공제
답. ③ (소법 제 52조)
20. 다음 자료에 의하여 종합소득 과세표준을 계산하면 얼마인가?
1. 근로자의 근로소득금액 : 10,000,000원
2. 가족현황 : 모친(66세, 장애자, 소득없음)
3. 표준공제 : 600,000원
① 540만원 ② 590만원 ③ 640만원 ④ 480만원 ⑤ 620만원
답. ② (소법제 14조)
21. 자산소득 과세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자산소득이란 이자소득, 배당소득, 부동산임대소득을 말한다.
② 자산소득이란 생계를 같이하는 가족 중 주된 소득자의 종합소득에 합산하여 과세한다.
③ 주된 소득자는 자산소득이 가장 많은 자로 한다.
④ 주된 소득자와 자산합산대상 가족은 연대하여 납세의무를 진다.
⑤ 자산소득 합산과세는 소득세를 중과하기 위한 규정이다.
답. ③ (소법제 61조)
22. 양도소득금액 계산시 장기보유특별공제를 적용 받을 수 있는 자산은?
① 10년 보유한 미등기 토지 ② 5년 보유한 비상장주식
③ 8년 보유한 부동산에 관한 권리 ④ 3년 보유한 상가
⑤ 2년 보유한 토지
답. ④ (소법제 95조 제2항)
23. 다음중 양도소득세 과세대상 자산이 아닌 것은?
① 토 지 ② 건 물 ③ 부동산에 관한 권리
④ 차량운반구 ⑤ 비상장 주식
답.④ (소법제 94조)
24. 소득세법상 결손금이 발생하는 소득은?
① 이자소득 ② 사업소득 ③ 배당소득 ④ 기타소득 ⑤ 근로소득
답. ② (소법제 45조)
25. 다음중 종합소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연금소득 ② 근로소득 ③ 일시재산소득 ④ 산림소득 ⑤ 기타소득
답. ④ (소법제 14조)
추천자료
해외종속법인 연결 사례 - 엔씨소프트와 NHN주식회사를 중심으로
세무조정
법인세 과세표준과 세액계산
[A+레포트] 법인세 계산구조
세무상 충당금
법인세란 무엇인가
[부가가치세][법인세][소득세][특별소비세]부가가치세, 법인세(법인세의 개념, 법인세의 신고...
우리나라 세무조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법인세법상 합병세제의 법률문제
근로소득 허위 경비 계상 수정신고, 법인세 납부불성실가산세, 과소신고가산세, 인정상여 원...
[기업회계기준][기업회계][기업][회계][기업회계기준 역사][기업회계기준 특징]기업회계기준...
세무조정과 소득처분
[기업회계][기업회계 미국 사례][기업회계 주가영향]기업회계의 의의, 기업회계의 제정, 기업...
[소득세, 양도소득세, 사업소득세, 부가가치세, 법인세, 원천징수세, 교육세]소득세, 양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