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분석단위
3. 자본주의관
4. 사회주의국가
5. 인식론
6. 이행론
7. 맺는 말
2. 분석단위
3. 자본주의관
4. 사회주의국가
5. 인식론
6. 이행론
7. 맺는 말
본문내용
되면서 '세계체제분석'이라는 거창한 학술 기획을 제출한다. 세계체제분석은 그가 적시한 바와 같이 새로운 이론이 아니다. 그것은 새로운 이론에 대한 요청이다.
하지만 그의 세계체제분석을 아무리 그가 기존의 지배적 사회과학 인식론에 대한 하나의 '저항'이자 '문제제기' 정도로 받아들여 주기를 요청한다고 해서 그 정도에 머무를 수 없다는 것이 필자의 입장이다. 물론 그의 요청은 존중되어야 하고, 그의 작업이 우리시대 사회과학의 진전에 기여한 바가 사소하지 않다는 점은 많은 논자들이 합의하는 대로다. 그러나 그것은 일종의 시작, 즉 '뒤집기'에 만족하는 태도이지, 뒤집기 이후 흐트러진 파편들을 재구축해야 하는 건설적 지성의 징표는 절대 아니다. 월러스틴의 깊은 속내도 분명 재구축을 지향하고 있을 것으로 느껴진다. 그런데 우리 모두가 인지하듯이, 이 재구축이 실로 어렵다는 데 월러스틴의 지적 고뇌가 있을 것이다. 어떻게 보면, 그는 일만 잔뜩 벌여 놓고 뒷감당을 못하고 있는 사람같이도 여겨진다.
다행스런 일은 그가 재구축 작업에 이미 뛰어 들었다는 사실이다. 그 작업의 구체적 성과를 평가하기란 아직 때도 이르고, 또 어렵기도 하다. 그 작업이 가장 선명하고 구체적인 내용과 외양을 갖추고 나타나고 있는 분야가 바로 세계체제 문화의 일환인 학문 분야다. 『사회과학의 개방』에 사회과학 재구조화에 대한 몇 가지 구체적 실험 프로그램을 제시한 이후, 그는 전세계의 학문공동체가 참여하는 '진정한' 보편과 '통일과학'을 구축하기 위한 작업을 열성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그 성과가 1998년에 일부 제출될 예정이라고 한다. 동서양의 경계도 무너지고 남북간의 경계도 무너지고, 모든 학문들의 구분도 무너지는 그런 대화와 소통의 지식세계가 건설될지는 현실적으로 다소 회의적이나, 그의 지향과 투쟁은 틀림없이 지울 수 없는 흔적을 남길 것이다.
월러스틴의 세계체제분석이 미국을 위시한 서양 사회과학계에 끼친 영향은 이미 막중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의 문제제기가 아직 포괄적 점검의 대상이 되지는 않고 있지만, 그의 가설들이 부분적으로 검증받기 시작한 지는 상당한 시간이 지났다. 예를 들자면, '자본주의 세계체제'의 삼층구조인 핵심-주변-반주변 구조의 항상적 존재에 대한 실증적 연구, '상품연쇄'에 대한 경험적 분석, 경제적 양극화에 대한 경험적 분석 등이 이 범주에 속한다. 이밖에도 질적 분석 방법에 따라 세계체제분석의 주요 가설들이 여러 학자들에 의해 심도 있는 논의의 대상이 되어 온 지도 꽤 된다. 그러나 그에 대한 점검은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고 말할 수 있을 정도다.
한국 사회과학계는 기왕에 월러스틴의 세계체제분석에 대해 냉담한 태도를 보여 왔다. 말할 것도 없이 한국적 현실을 포착하는 데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유일 테다. 그런데 정작 '한국적 현실'이라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보다 체제적이고 역사적인 차원에서 생각해 본다면 세계체제분석이 제공할 수 있는 통찰력이 결코 만만치 않다는 것이 필자의 인식이다. 이를 필자의 편향이라고 한다면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노릇이나, 적어도 월러스틴의 주장을 진지하게 들어주는 자세만은 보여줄 필요가 절실하다. '세기말'이라서 그런지 아니면 월러스틴의 주장대로 '이행기'라서 그런지의 여부는 제쳐두고라도, 이 혼탁한 시공간에 살고 있는 우리로서는 그 어느 때보다도 '열린' 사유가 필요하겠기에 그렇다.
참고문헌
김경일. 1995, 「프랑스 근대 사회과학의 성립」, 한국사회학 제29집.
김진철. 1996, 「세계체제론적 패러다임의 세계정치경제학적 함의」, 세계정치경제연구 제3호.
나종일. 1992, 「월러스틴의 자본주의 세계체제론」, 『세계사를 보는 시각과 방법』, 창작과비평사.
백낙청. 1994, 「분단시대의 최근 정세와 분단체제론」, 창작과비평 가을호.
소광희 외. 1994, 『현대의 학문체계』, 민음사.
스노우, C. P. 1996, 『두 문화』, 오영환 역, 민음사.
유재건. 1996, 「마르크스와 월러스틴」, 한국서양사회학회 편, 『근대 세계체제론의 역사적 이해』, 까치.
이수훈. 1993, 『세계체제론』, 나남.
_____. 1996, 『세계체제의 인간학』, 사회비평사.
프리고진, 스텐저스. 1994, 『혼돈 속의 질서』, 유기풍 역, 민음사.
사이드, 에드워드. 1996, 『오리엔탈리즘』, 박홍규 역, 교보문고.
월러스틴. 1993, 『역사적 자본주의/자본주의 문명』, 나종일.백영경 역, 창작과비평사.
_____. 1994, 『사회과학으로부터의 탈피』, 성백용 역, 창작과비평사.
_____. 1996, 『자유주의 이후』, 강문구 역, 당대.
_____. 1996. 11. 21, 「자유주의 이후」,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초청 세미나 발제문.
월러스틴 외. 1996, 『사회과학의 개방』, 이수훈 역, 당대.
Tilly, C. 1984, Big Structures, Large Processes, and Huge Comparisons, N.Y.: Russell Sage Foundation.
Wallerstein, I. 1974, The Modern World-System I, N.Y.: Academic Press.
_____. 1979, The Capitalist World-Econom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_____. 1983, "Crises: The World-Economy, the Movements, and the Ideol- ogies," in A. Bergesen(ed.), Crises in the World-System, Beverly Hills: Sage.
_____. 1988, "Typology of Crises in the World-System," Review, vol.11, no.4.
_____. 1990, "World-System Analysis: The Second Phase," Review, vol.13, no.2.
_____. 1992, "The Challenge of Maturity: Whither Social Science?" Review, vol.15, no.1.
하지만 그의 세계체제분석을 아무리 그가 기존의 지배적 사회과학 인식론에 대한 하나의 '저항'이자 '문제제기' 정도로 받아들여 주기를 요청한다고 해서 그 정도에 머무를 수 없다는 것이 필자의 입장이다. 물론 그의 요청은 존중되어야 하고, 그의 작업이 우리시대 사회과학의 진전에 기여한 바가 사소하지 않다는 점은 많은 논자들이 합의하는 대로다. 그러나 그것은 일종의 시작, 즉 '뒤집기'에 만족하는 태도이지, 뒤집기 이후 흐트러진 파편들을 재구축해야 하는 건설적 지성의 징표는 절대 아니다. 월러스틴의 깊은 속내도 분명 재구축을 지향하고 있을 것으로 느껴진다. 그런데 우리 모두가 인지하듯이, 이 재구축이 실로 어렵다는 데 월러스틴의 지적 고뇌가 있을 것이다. 어떻게 보면, 그는 일만 잔뜩 벌여 놓고 뒷감당을 못하고 있는 사람같이도 여겨진다.
다행스런 일은 그가 재구축 작업에 이미 뛰어 들었다는 사실이다. 그 작업의 구체적 성과를 평가하기란 아직 때도 이르고, 또 어렵기도 하다. 그 작업이 가장 선명하고 구체적인 내용과 외양을 갖추고 나타나고 있는 분야가 바로 세계체제 문화의 일환인 학문 분야다. 『사회과학의 개방』에 사회과학 재구조화에 대한 몇 가지 구체적 실험 프로그램을 제시한 이후, 그는 전세계의 학문공동체가 참여하는 '진정한' 보편과 '통일과학'을 구축하기 위한 작업을 열성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그 성과가 1998년에 일부 제출될 예정이라고 한다. 동서양의 경계도 무너지고 남북간의 경계도 무너지고, 모든 학문들의 구분도 무너지는 그런 대화와 소통의 지식세계가 건설될지는 현실적으로 다소 회의적이나, 그의 지향과 투쟁은 틀림없이 지울 수 없는 흔적을 남길 것이다.
월러스틴의 세계체제분석이 미국을 위시한 서양 사회과학계에 끼친 영향은 이미 막중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의 문제제기가 아직 포괄적 점검의 대상이 되지는 않고 있지만, 그의 가설들이 부분적으로 검증받기 시작한 지는 상당한 시간이 지났다. 예를 들자면, '자본주의 세계체제'의 삼층구조인 핵심-주변-반주변 구조의 항상적 존재에 대한 실증적 연구, '상품연쇄'에 대한 경험적 분석, 경제적 양극화에 대한 경험적 분석 등이 이 범주에 속한다. 이밖에도 질적 분석 방법에 따라 세계체제분석의 주요 가설들이 여러 학자들에 의해 심도 있는 논의의 대상이 되어 온 지도 꽤 된다. 그러나 그에 대한 점검은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고 말할 수 있을 정도다.
한국 사회과학계는 기왕에 월러스틴의 세계체제분석에 대해 냉담한 태도를 보여 왔다. 말할 것도 없이 한국적 현실을 포착하는 데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유일 테다. 그런데 정작 '한국적 현실'이라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보다 체제적이고 역사적인 차원에서 생각해 본다면 세계체제분석이 제공할 수 있는 통찰력이 결코 만만치 않다는 것이 필자의 인식이다. 이를 필자의 편향이라고 한다면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노릇이나, 적어도 월러스틴의 주장을 진지하게 들어주는 자세만은 보여줄 필요가 절실하다. '세기말'이라서 그런지 아니면 월러스틴의 주장대로 '이행기'라서 그런지의 여부는 제쳐두고라도, 이 혼탁한 시공간에 살고 있는 우리로서는 그 어느 때보다도 '열린' 사유가 필요하겠기에 그렇다.
참고문헌
김경일. 1995, 「프랑스 근대 사회과학의 성립」, 한국사회학 제29집.
김진철. 1996, 「세계체제론적 패러다임의 세계정치경제학적 함의」, 세계정치경제연구 제3호.
나종일. 1992, 「월러스틴의 자본주의 세계체제론」, 『세계사를 보는 시각과 방법』, 창작과비평사.
백낙청. 1994, 「분단시대의 최근 정세와 분단체제론」, 창작과비평 가을호.
소광희 외. 1994, 『현대의 학문체계』, 민음사.
스노우, C. P. 1996, 『두 문화』, 오영환 역, 민음사.
유재건. 1996, 「마르크스와 월러스틴」, 한국서양사회학회 편, 『근대 세계체제론의 역사적 이해』, 까치.
이수훈. 1993, 『세계체제론』, 나남.
_____. 1996, 『세계체제의 인간학』, 사회비평사.
프리고진, 스텐저스. 1994, 『혼돈 속의 질서』, 유기풍 역, 민음사.
사이드, 에드워드. 1996, 『오리엔탈리즘』, 박홍규 역, 교보문고.
월러스틴. 1993, 『역사적 자본주의/자본주의 문명』, 나종일.백영경 역, 창작과비평사.
_____. 1994, 『사회과학으로부터의 탈피』, 성백용 역, 창작과비평사.
_____. 1996, 『자유주의 이후』, 강문구 역, 당대.
_____. 1996. 11. 21, 「자유주의 이후」,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초청 세미나 발제문.
월러스틴 외. 1996, 『사회과학의 개방』, 이수훈 역, 당대.
Tilly, C. 1984, Big Structures, Large Processes, and Huge Comparisons, N.Y.: Russell Sage Foundation.
Wallerstein, I. 1974, The Modern World-System I, N.Y.: Academic Press.
_____. 1979, The Capitalist World-Econom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_____. 1983, "Crises: The World-Economy, the Movements, and the Ideol- ogies," in A. Bergesen(ed.), Crises in the World-System, Beverly Hills: Sage.
_____. 1988, "Typology of Crises in the World-System," Review, vol.11, no.4.
_____. 1990, "World-System Analysis: The Second Phase," Review, vol.13, no.2.
_____. 1992, "The Challenge of Maturity: Whither Social Science?" Review, vol.15, no.1.
추천자료
한국 자본주의 사회의 특수성
[신자유주의][민주주의]신자유주의 분석(신자유주의의 탄생, 서구 자본주의의 발전과정, 신자...
소비 중심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광고
[사회]자본주의 사회의 비판적 고찰
[외모지상주의]외모지상주의의 정의, 외모지상주의의 배경, 외모지상주의와 산업사회, 외모지...
전환기 자본주의 사회의 대안
자본주의에서 사회주의로의 이행기 사회의 사회, 경제적 구조
자본주의에서 사회주의로의 이행기의 본질 및 그 필요성
[시장실패] 시민사회의 대두, 산업혁명과 시장자본주의 및 시장실패의 원인
사회적경제와 자본주의 미래
자본주의와 정보화사회
미디어의 발달과정과 그것이 사회와 자본주의에 미친 영향
[행정학] 정치체제의 역사와 제도 및 이론 간의 상호작용 - 시대적 배경과 정치사회학적 의미...
자본주의 사회 속 리얼리티 프로그램 - 채널 On Style ‘JESSICA&KRYSTAL(제시카&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