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삼국시대
1) 원광(542∼640)
2) 원효(617∼686)해동 화엄종의 창시자
3) 설총
2. 고려의 교육사상가
(1) 최충(崔沖 ? ∼1068)
(2) 안향(安珦, 1243∼1306)
(3) 이색(李穡, 목은, 1328∼1369)
(4) 정몽주(鄭蒙周, 1337∼1397)
3. 조선의 교육사상가
(1) 권근(權近,호는 양촌, 1352∼1409)
(2) 이 황(李滉:퇴계, 1501∼1572)
(3) 이이(李珥: 栗谷, 1536∼1548)
4. 조선의 실학 사상가
1) 유형원(柳馨遠, 1622∼1673 , 호는 반계)
2) 정약용(丁若鏞, 1762∼1836. 호는 다산 또는 여유당)
3) 이덕무(李德懋 1741∼1793, 호는 아정(雅亭))
4) 박지원(朴趾源, 1737∼1805, 호는 연암)
5) 홍대용
6) 이 익(李翼, 1681∼1763. 호는 성호)
5. 조선의 근대 교육사상가
1) 낭궁억
2) 이승훈
3) 안창호
1) 원광(542∼640)
2) 원효(617∼686)해동 화엄종의 창시자
3) 설총
2. 고려의 교육사상가
(1) 최충(崔沖 ? ∼1068)
(2) 안향(安珦, 1243∼1306)
(3) 이색(李穡, 목은, 1328∼1369)
(4) 정몽주(鄭蒙周, 1337∼1397)
3. 조선의 교육사상가
(1) 권근(權近,호는 양촌, 1352∼1409)
(2) 이 황(李滉:퇴계, 1501∼1572)
(3) 이이(李珥: 栗谷, 1536∼1548)
4. 조선의 실학 사상가
1) 유형원(柳馨遠, 1622∼1673 , 호는 반계)
2) 정약용(丁若鏞, 1762∼1836. 호는 다산 또는 여유당)
3) 이덕무(李德懋 1741∼1793, 호는 아정(雅亭))
4) 박지원(朴趾源, 1737∼1805, 호는 연암)
5) 홍대용
6) 이 익(李翼, 1681∼1763. 호는 성호)
5. 조선의 근대 교육사상가
1) 낭궁억
2) 이승훈
3) 안창호
본문내용
방법에 혁신을 가져오자고 했다.
③ 저서 : 열하일기, 양반전, 허생전
5) 홍대용
① 사상 : 교육을 통해 기술문화의 혁신을 가져옴으로써 부국강병을 추구하고자 하였다.
② 교육적 공헌
㉠ 봉건신분제도의 폐지를 주장하였다.
㉡ 성리학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노력하였다.
③ 저서 : 의산문답, 임하경륜
6) 이 익(李翼, 1681∼1763. 호는 성호)
① 사상 : 숭례(崇禮: 효경)와 근검사상에 두고 있다.
② 교육목적 : 인간 평등관과 능력제일중의을 강조
③ 교육적 공헌
㉠ 한국학을 본 궤도에 올려 놓는데 주도적 역할을 하였다.
㉡ 유교경전과 중국역사를 주로 다루던 당시의 교육과정에 한국적 요소를 가미하였다.
㉢ 교육방법은 내적 충실을 전제로 형상주의 이며, 발견적 태도와 적극적 질의 존중하는 탐구적이다.
㉣ 자기계발의 요소이며 자기 수양에 있어 일신(日新 : 매일새롭게), 득사(得師:스승을 구하고), 호문(好問:호기심을 가지고 질문하는 것) 이 살아 있는 교육이라 하였다.
㉤ 가정교육을 중요시하였다.
㉥ 도시교육의 폐해를 지적하였다.
㉦ 실용성 없는 교육배척을 주장하였다.
㉧ 사도의 존경을 강조하였다.
㉨ 학문의 자유 및 교육의 평등과 기회균등을 강조하였다.
㉩ 과거제의 폐단을 비판하였다.
④ 저서 : 성호사설, 곽우록
5. 조선의 근대 교육사상가
1) 낭궁억
① 교육사상 : 무궁화 묘목을 재배하여 각지에 나누어주면서 민족 정신을 고취하였다.
② 교육목적 : 현산학교와 모곡학교라는 중등교육기관을 설립하여 중등교육을 목적으로 하였다.
③ 교육적공헌
㉠ 1908년 학교에 다니지 못하는 청소년을 위해 강의록과 같은 「교육월보」를 순한글로 발간하여 사회교육에 힘썼다.(통신교육)
㉡ 실천교육, 노작교육, 민족교육을 강조하였다.
㉢ 교사의 솔선수범과 개성있는 교육을 강조하였다.
2) 이승훈
① 교육사상 : 안창호의 사상에 영향을 받아 민족의 힘을 배양하기 위한 민족교육을 전개
② 교육목적 : 애국인 양성을 목적
③ 교육적 공헌
㉠ 강명의숙(강명의숙)을 열어 신식교육을 시작하였다.
㉡ 1907년 오산학교를 설립하여 많은 민족의 지도자를 양성하였다.
㉢ '민족의 힘'을 기르는 민족교육을 강조하였다.
㉣ 오산에 이상촌을 계획하였다.
3) 안창호
① 교육사상
㉠ 「힘」의 철학
㉡ 자아혁신, 무실역행, 점진공부에 둠
㉢ 건전한 인격의 핵심인 덕성을 기르기 위한 무실, 역행, 충의, 용감 등 4대 정신을 역설
② 교육목적
㉠ 건전한 인격의 실현
㉡ 무실역행하는 성실인을 육성
③ 교육적 공헌
㉠ 교육방법은 점진공부였다.
㉡ 민족의 3대자본으로 지식(정신자본), 신용(도덕 자본), 금전(경제적 자본)육성을 강조하였다.
㉢ 덕육, 체육, 지육을 강조하여 전인교육을 강조하였다.
㉣ 교육실천은 흥사단운동, 학교건설, 일인일기교육(一人日技敎育)을 강조하였다.
㉤ 대성학교, 점진학교, 동명학원을 설립하여 개화기 민족교육의 발전에 크게 영향을 주었다.
㉥ 노작교육을 강조하고 이상촌의 건설을 통해 지역사회의 학교의 발전을 가져왔다.
③ 저서 : 열하일기, 양반전, 허생전
5) 홍대용
① 사상 : 교육을 통해 기술문화의 혁신을 가져옴으로써 부국강병을 추구하고자 하였다.
② 교육적 공헌
㉠ 봉건신분제도의 폐지를 주장하였다.
㉡ 성리학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노력하였다.
③ 저서 : 의산문답, 임하경륜
6) 이 익(李翼, 1681∼1763. 호는 성호)
① 사상 : 숭례(崇禮: 효경)와 근검사상에 두고 있다.
② 교육목적 : 인간 평등관과 능력제일중의을 강조
③ 교육적 공헌
㉠ 한국학을 본 궤도에 올려 놓는데 주도적 역할을 하였다.
㉡ 유교경전과 중국역사를 주로 다루던 당시의 교육과정에 한국적 요소를 가미하였다.
㉢ 교육방법은 내적 충실을 전제로 형상주의 이며, 발견적 태도와 적극적 질의 존중하는 탐구적이다.
㉣ 자기계발의 요소이며 자기 수양에 있어 일신(日新 : 매일새롭게), 득사(得師:스승을 구하고), 호문(好問:호기심을 가지고 질문하는 것) 이 살아 있는 교육이라 하였다.
㉤ 가정교육을 중요시하였다.
㉥ 도시교육의 폐해를 지적하였다.
㉦ 실용성 없는 교육배척을 주장하였다.
㉧ 사도의 존경을 강조하였다.
㉨ 학문의 자유 및 교육의 평등과 기회균등을 강조하였다.
㉩ 과거제의 폐단을 비판하였다.
④ 저서 : 성호사설, 곽우록
5. 조선의 근대 교육사상가
1) 낭궁억
① 교육사상 : 무궁화 묘목을 재배하여 각지에 나누어주면서 민족 정신을 고취하였다.
② 교육목적 : 현산학교와 모곡학교라는 중등교육기관을 설립하여 중등교육을 목적으로 하였다.
③ 교육적공헌
㉠ 1908년 학교에 다니지 못하는 청소년을 위해 강의록과 같은 「교육월보」를 순한글로 발간하여 사회교육에 힘썼다.(통신교육)
㉡ 실천교육, 노작교육, 민족교육을 강조하였다.
㉢ 교사의 솔선수범과 개성있는 교육을 강조하였다.
2) 이승훈
① 교육사상 : 안창호의 사상에 영향을 받아 민족의 힘을 배양하기 위한 민족교육을 전개
② 교육목적 : 애국인 양성을 목적
③ 교육적 공헌
㉠ 강명의숙(강명의숙)을 열어 신식교육을 시작하였다.
㉡ 1907년 오산학교를 설립하여 많은 민족의 지도자를 양성하였다.
㉢ '민족의 힘'을 기르는 민족교육을 강조하였다.
㉣ 오산에 이상촌을 계획하였다.
3) 안창호
① 교육사상
㉠ 「힘」의 철학
㉡ 자아혁신, 무실역행, 점진공부에 둠
㉢ 건전한 인격의 핵심인 덕성을 기르기 위한 무실, 역행, 충의, 용감 등 4대 정신을 역설
② 교육목적
㉠ 건전한 인격의 실현
㉡ 무실역행하는 성실인을 육성
③ 교육적 공헌
㉠ 교육방법은 점진공부였다.
㉡ 민족의 3대자본으로 지식(정신자본), 신용(도덕 자본), 금전(경제적 자본)육성을 강조하였다.
㉢ 덕육, 체육, 지육을 강조하여 전인교육을 강조하였다.
㉣ 교육실천은 흥사단운동, 학교건설, 일인일기교육(一人日技敎育)을 강조하였다.
㉤ 대성학교, 점진학교, 동명학원을 설립하여 개화기 민족교육의 발전에 크게 영향을 주었다.
㉥ 노작교육을 강조하고 이상촌의 건설을 통해 지역사회의 학교의 발전을 가져왔다.
추천자료
단군 신화의 윤리적 성격,삼국시대의 유교사상,의천과 지눌의 비교,벽불론,천인심성합일지도
고대 그리스 교육사상가 이소크라테스
중세 전기의 사회 교육사상가
[관념론][관념론 기원][관념론 내용][기독교][교육][교육사상가][실재론][관념론 평가]관념론...
[독일교육]독일 종교개혁기 교육사상가 루터와 멜란히톤, 독일 근대중기 교육사상가 코메니우...
현대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엘렌케이, 현대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듀이, 현대 교육사상가...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그리스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프로타고라스, 그리스 교육사상가(...
독일 교육철학자(교육사상가) 루터, 독일 교육철학자(교육사상가) 코메니우스, 독일 교육철학...
불상의 시대별특징(삼국시대,통일신라시대,조선시대)
[한국의 관광입지와 관광산업] 우리나라의 관광입지조건과 관광산업 (삼국시대 관광, 고려시...
집의 역사 - 구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움집의 시대), 청동기 시대, 삼국시대(고구려의 주택,...
[건축역사]집의 역사 - 원시시대, 삼국시대,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 집의 역사
[의복의 역사] 의복의 기원, 원시시대, 삼국시대 복식_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복식, 통일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