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열린 교육의 의의
2. 열린교육의 방법
3.열린 학습 형태 고찰
2. 열린교육의 방법
3.열린 학습 형태 고찰
본문내용
선하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에 몬테소리 교육방법을 우리 교육과정에 도입하여 '보다 좋은 수업'을 만드는 노력이 서울양재초등학교(www.yangjae-e.ed.seoul.kr)를 비롯한 일부 학교에서 행해지고 있다. 몬테소리 교실에서는 세 종류의 선생님(교구, 친구, 교사)이 존재하며, 아동들이 다양한 방법으로 교구를 다루고, 저마다의 학습스타일에 따라 개별화 학습이 이루어지며, 창의성을 기르고 주도적 학습 능력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몬테소리 교육방법의 도입은 '보다 좋은 수업'이 되는 또 하나의 접근이 될 것이다.
좋은 수업이 무엇인가에 대하여 정해진 왕도(王道)가 없다. 새롭고 다양한 정보를 얻는 일은 바로 교원의 전문성을 신장시키고 교육의 질을 높이는 길이 되며, 이에 따라 좋은 수업도 가능한 일이 된다. 그러므로 학교 현장에서는 수업방법 개선이 끊임없이 계속되어야 하며, 이는 또한 교단교사의 영원한 과제이기도 하다.
3.열린 학습 형태 고찰
1). 학습 목적으로 본 형태 ; 槪念形成學習, (原理)發見學習, 問題解決學習, 練習學習(技能熟練學習), 構案(Project)學習, 鑑賞學習
2). 교재 구성으로 본 형태; 교과 분리형, 교과 연합형, 교과 초월형
3). 학습 조직으로 본 형태; 개별 조직(개인, 개별), 소집단 조직(분단, 공동), 대집단조직(일제, Team teaching)
4). 학습 활동으로 본 형태; 독서, 청취, 문답, 극화, 역할놀이, 조사, 토의, 토론, 보고, 관찰, 실험, 실습, 측정, 사고, 문제 풀기, 조작, 연습, 확인, 비판, 구성, 창작, 수집, 노작, 전시, 견학, 발표, 감상
5). 자료 활용으로 본 형태; 신문 활용 학습(NIE), 컴퓨터 활용 학습(CAI), 멀티미디어 활용 학습
6). 장소 활용으로 본 형태; 도서실 학습, 운동장 학습, 과학실 학습, 현장학습(학교 이외의 장소)
7). 학습 문제 유형으로 본 형태; Topic문제, Drill문제
앞에서도 말했지만 위에 제시한 학습 형태에서 학생이 자기 주도적 학습력을 가지게 하려면 학습 모형이란 단계별 길의 순서가 있는 것은 학습 목적으로 본 형태이다.
학습할 과제가 6가지 학습 목적 가운데 어디에 해당하는지를 알아서 그 학습 모형에 따라 공부해 나가는 힘이 길러지면 자기 주도적 학습력이 될 것이다.
"무엇을 알아야 하는 것"은 지식이고, "무엇을 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은 기능이고, "무엇을 할 수 있는 마음을 가지는 것"은 태도이다. 지식을 얻는 것을 위주로 하는 학습, 기능을 얻는 것을 위주로 하는 학습, 태도를 얻는 것을 위주로 하는 학습 등 각각의 목표에 따른 학습 방법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知識의 학습 ; 槪念에 관한 지식 →槪念形成學習
事實, 現象, 原理, 法則에 관한 지식 →(原理)發見學習
技能의 학습; 知的技能 〔지식의 적용 기능 〕 →問題解決學習
心動的技能 〔신체의 활용 기능〕 →練習(技能熟練)學習 態度의 학습; 價値의 創造 태도 →構案學習
價値의 變化 태도 →鑑賞學習
최근에 몬테소리 교육방법을 우리 교육과정에 도입하여 '보다 좋은 수업'을 만드는 노력이 서울양재초등학교(www.yangjae-e.ed.seoul.kr)를 비롯한 일부 학교에서 행해지고 있다. 몬테소리 교실에서는 세 종류의 선생님(교구, 친구, 교사)이 존재하며, 아동들이 다양한 방법으로 교구를 다루고, 저마다의 학습스타일에 따라 개별화 학습이 이루어지며, 창의성을 기르고 주도적 학습 능력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몬테소리 교육방법의 도입은 '보다 좋은 수업'이 되는 또 하나의 접근이 될 것이다.
좋은 수업이 무엇인가에 대하여 정해진 왕도(王道)가 없다. 새롭고 다양한 정보를 얻는 일은 바로 교원의 전문성을 신장시키고 교육의 질을 높이는 길이 되며, 이에 따라 좋은 수업도 가능한 일이 된다. 그러므로 학교 현장에서는 수업방법 개선이 끊임없이 계속되어야 하며, 이는 또한 교단교사의 영원한 과제이기도 하다.
3.열린 학습 형태 고찰
1). 학습 목적으로 본 형태 ; 槪念形成學習, (原理)發見學習, 問題解決學習, 練習學習(技能熟練學習), 構案(Project)學習, 鑑賞學習
2). 교재 구성으로 본 형태; 교과 분리형, 교과 연합형, 교과 초월형
3). 학습 조직으로 본 형태; 개별 조직(개인, 개별), 소집단 조직(분단, 공동
4). 학습 활동으로 본 형태; 독서, 청취, 문답, 극화, 역할놀이, 조사, 토의, 토론, 보고, 관찰, 실험, 실습, 측정, 사고, 문제 풀기, 조작, 연습, 확인, 비판, 구성, 창작, 수집, 노작, 전시, 견학, 발표, 감상
5). 자료 활용으로 본 형태; 신문 활용 학습(NIE), 컴퓨터 활용 학습(CAI), 멀티미디어 활용 학습
6). 장소 활용으로 본 형태; 도서실 학습, 운동장 학습, 과학실 학습, 현장학습(학교 이외의 장소)
7). 학습 문제 유형으로 본 형태; Topic문제, Drill문제
앞에서도 말했지만 위에 제시한 학습 형태에서 학생이 자기 주도적 학습력을 가지게 하려면 학습 모형이란 단계별 길의 순서가 있는 것은 학습 목적으로 본 형태이다.
학습할 과제가 6가지 학습 목적 가운데 어디에 해당하는지를 알아서 그 학습 모형에 따라 공부해 나가는 힘이 길러지면 자기 주도적 학습력이 될 것이다.
"무엇을 알아야 하는 것"은 지식이고, "무엇을 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은 기능이고, "무엇을 할 수 있는 마음을 가지는 것"은 태도이다. 지식을 얻는 것을 위주로 하는 학습, 기능을 얻는 것을 위주로 하는 학습, 태도를 얻는 것을 위주로 하는 학습 등 각각의 목표에 따른 학습 방법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知識의 학습 ; 槪念에 관한 지식 →槪念形成學習
事實, 現象, 原理, 法則에 관한 지식 →(原理)發見學習
技能의 학습; 知的技能 〔지식의 적용 기능 〕 →問題解決學習
心動的技能 〔신체의 활용 기능〕 →練習(技能熟練)學習 態度의 학습; 價値의 創造 태도 →構案學習
價値의 變化 태도 →鑑賞學習
추천자료
영어과 수준별교육과정(수업, 학습) 도입, 종류, 지침, 영어과 수준별교육과정(수업, 학습) ...
수준별교육과정평가(학습평가, 수업평가) 종류와 지침, 수준별교육과정평가(학습평가, 수업평...
사회과 수준별학습(수업, 교육과정)의 구성과 운영, 사회과 수준별학습(수업, 교육과정) 교수...
강의식수업(강의법, 일제식교육) 개념, 강의식수업(강의법, 일제식교육) 기본방향, 강의식수...
사회과 수준별학습(교육과정, 수업)의 정의와 특징, 사회과 수준별학습(교육과정, 수업)의 선...
수준별학습(수준별교육과정, 수업) 유형과 도입취지, 수준별학습(수준별교육과정, 수업) 연구...
동시창작지도(동시창작교육, 동시창작수업학습) 실제, 동시창작지도(동시창작교육, 동시창작...
신문활용교육(신문활용수업, NIE) 목적과 전제조건, 신문활용교육(신문활용수업, NIE) 지도방...
지리교육(지리수업) 정의, 지리교육(지리수업) 필요성, 지리교육(지리수업) 내용, 지리교육(...
과학과(과학교육, 과학수업)의 본질과 목표, 과학과(과학교육, 과학수업)의 학습유형과 탐구...
수준별교육과정(수업, 수준별학습)의 개념, 의의, 종류, 수준별교육과정(수업, 수준별학습) ...
과학과학습(교육, 수업) 목적과 성격, 과학과학습(교육, 수업) 영재교육, 과학과학습(교육, ...
국어과(국어교육, 국어수업)의 성격과 목적, 국어과(국어교육, 국어수업)의 교육중점과 내용...
과학과(과학교육, 과학수업) 성격, 과학과(과학교육, 과학수업) 목표, 과학과(과학교육, 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