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목차
Ⅰ. 연구의 목적 및 범위
1. 연구목적
2. 연구방법
3. 연구범위 및 구성
Ⅱ. 건설근로자의 고용동향
1. 건설업이 국내총생산 및 노동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
2. 최근의 고용동향
Ⅲ. 건설일용근로자의 취업 및 고용구조 개선
1. 건설업 고용구조의 특수성
2. 현황 및 문제점
3. 취업 및 고용구조의 단기적 개선방안
4. 취업 및 고용구조의 중장기적 개선방안
Ⅳ. 건설일용근로자에 대한 직업훈련
1. 직업훈련 실시 및 참여의 어려움
2. 직업훈련의 단기적 개선방안
3. 직업훈련의 중장기적 개선방안
V. 건설일용근로자의 복지증진
1. 사회보험제도 적용의 어려움
2. 복지증진을 위한 단기적 개선방안
3. 복지증진을 위한 장기적 개선방안
Ⅵ. 건설근로자 고용개선방안의 주요 사항
1. 단기적 대책의 주요 사항
2. 중장기적 대책의 주요 사항
참고문헌
1. 연구목적
2. 연구방법
3. 연구범위 및 구성
Ⅱ. 건설근로자의 고용동향
1. 건설업이 국내총생산 및 노동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
2. 최근의 고용동향
Ⅲ. 건설일용근로자의 취업 및 고용구조 개선
1. 건설업 고용구조의 특수성
2. 현황 및 문제점
3. 취업 및 고용구조의 단기적 개선방안
4. 취업 및 고용구조의 중장기적 개선방안
Ⅳ. 건설일용근로자에 대한 직업훈련
1. 직업훈련 실시 및 참여의 어려움
2. 직업훈련의 단기적 개선방안
3. 직업훈련의 중장기적 개선방안
V. 건설일용근로자의 복지증진
1. 사회보험제도 적용의 어려움
2. 복지증진을 위한 단기적 개선방안
3. 복지증진을 위한 장기적 개선방안
Ⅵ. 건설근로자 고용개선방안의 주요 사항
1. 단기적 대책의 주요 사항
2. 중장기적 대책의 주요 사항
참고문헌
본문내용
. 장기적으로는 퇴직공제제도를 비롯한 4대 사회보험의 적용 및 징수체계를 일원화함으로써 제도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나. 합리적인 적용방안 연구
현재 공제제도는 수첩과 증지를 활용하여 보험료를 징수하는 체계인데 아직 전산화 수준이 낮아 사업주의 업무(수첩신청 및 발급, 공제증지 첨부 등)가 복잡하다. 더욱이 건설업의 경우 이 체계가 중층적 하도급 구조하에서 작동한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제도의 적용 및 운용에 많은 어려움이 따를 것은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피보험자 관리체계 및 보험료 징수체계를 전산화를 통해 간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또한 각 사회보험의 보험료 수준 및 결정방식, 급여의 수급요건 및 수준 등 제도의 합리적인 적용방안에 대한 연구가 조속히 이루어져야 한다.
建設勤勞者 雇傭改善方案의 主要 事項
Ⅵ. 建設勤勞者 雇傭改善方案의 主要 事項
앞서 논의되었던 단기 및 중장기적 대책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이러한 내용을 고려하여 건설근로자 고용개선기본계획이 입안되어야 할 것이다.
1. 단기적 대책의 주요 사항
단기적 대책은 현행 제도의 시행상 나타나는 문제점을 극복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가급적 빠른 시일 내에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 시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33> 단기적 대책의 개요 및 당사자의 역할
개별근로자 및
근로자단체
개별사업주 및
사업주단체
노동사무소 및 정부
고용 및
취업구조
개선방안
취업알선 전담창구 개설
- 실업 또는 구직사실을 노동사무소
등에 통지
- 노동사무소를 통한 구인
- 구인·구직정보를 매개
'고용관리책임자' 규정의 실효성 확보
- 고용관리책임자와 노동법상의 관계
유지
- 현장에 고용관
리책임자 배치
- 관련규정 신설 및 개정
직업훈련
개선방안
실업자 재취직훈련 및 기타 직업훈련 참여
- 근로자는 기존의
직업훈련에 참여
- 노조는 일상훈련
실시
- 사업주단체에서 주로 양성훈련
담당
- 실업자재취직훈련 참여자격 입증방법 개선 등
- 노조 및 사업주단체에 대한 지원
- 훈련참여 안내
복지증진
방안
퇴직공제제도 및
사회보험 적용
- 보험료 납부
- 보험료 납부
- 증지의 부착 및 증지대장의 보고
- 홍보 강화
- 보험료 및 퇴직공제
금 징수
- 적용상황의 감독강화
- 관련법규 개정
2. 중장기적 대책의 주요 사항
중장기적 대책은 현행 제도와 건설노동의 특성이 서로 조화되지 않음으로써 야기되는 문제점을 극복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건설노동의 특성을 고려하여 문제에 대한 개선방안들을 제시하기는 하였으나 현실적합성을 검증받지 못한 상태이므로 특히 관련외국제도에 관한 심층연구를 통해 보완될 필요가 있다.
<표 34> 중장기적 대책의 개요 및 당사자의 역할
개별근로자 및
근로자 단체
개별사업주 및
사업주단체
노동사무소 및 정부
고용 및
취업구조
개선방안
근로자경력관리시스템 시행
- 개별근로자의 수
첩소지
- 수첩소지자 고용
- 수첩의 발급 및 정보의 관리
수첩정보를 활용한 취업알선망 운영
- 실업 또는 구직사실을 노동사무소
등에 통지
- 노동사무소를 통한 구인
- 구인·구직정보를 매개
직업훈련
개선방안
직업훈련 및
기능검정
- 노조에서 주로 일상훈련 담당
- 주로 동절기에 기능검정 참여
- 근로자는 직업훈
련 및 기능검정에 참여
- 사업주단체에서 주로 양성훈련
및 동계훈련
담당
- 각 훈련지원
- 훈련참여 안내
- 주로 동절기에 기능검정 실시하여 수첩에 기능사항 경신
복지증진
방안
경력관리와 연계된 사회보험 및 공제제도 적용
- 갑근세 납부
- 보험료 납부
- 보험료 납부
- 증지의 부착 및 증지대장의 보고
- 갑근세 징수
- 보험료 및 퇴직공제금 징수
- 보험료 납부상황의
관리
參考文獻
參 考 文 獻
김 훈(1996), 「일본의 건설근로자 고용개선 및 복지증진 시책(Ⅰ)(Ⅱ)」, KLI 노동연구속보, 제58호, 제59호.
방하남·정연택·심규범(1998), 『건설일용근로자의 고용구조 및 근로복지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윤영선.안정화(1992), 『건설인력난의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국토개발연구원 92-18.
통계청(1992), 『고용구조특별조사테이프』.
___(1997), 『건설업 통계조사보고서』.
___(각년도 각월), 『경제활동인구조사테이프』.
___(1998), 『1997년 경제활동인구연보』.
___(1998. 7), 『한국통계월보』.
한국노동연구원(1996a), 「건설근로자의 고용실태 및 의식조사」 원자료.
___(1996b), 「건설일용근로자의 고용, 직업훈련, 근로복지에 관한 기업의 의견조사」 원자료.
___(1998), 『KLI 노동통계』.
한국노동연구원·한국보건사회연구원(1998), 「실업실태 및 복지욕구 조사」 원자료.
社會·勞 保險實務硏究會(1995), 『社會保險·勞 保險の 事務百科』, 淸文社 野淸(1990), 『社會保險·勞 保險の 實務』, 日本實業出版社.
EFBWW(1995), Conditions of Employment in the European Construction Industry.
Villa Paola(1986), The Structuring of Labor Markets: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teel and Construction Industries in Italy, Clarendon Press.
● 金 勳
- 연세대 사회학과 졸업
- 일본 게이오대 사회학 박사
- 現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
● 沈揆範
- 명지대 경제학과 졸업
- 고려대 경제학과 박사과정 수료
- 現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원
건설근로자 고용개선에 관한 연구
1999년 3월 15일 인쇄
1999년 3월 20일 발행
발 행 인 朴 求
발 행 처
주 소 15 - 1 서울特別市 永登浦區
汝矣島洞 16-2 中小企業會館 9層
(代) (02) 782-0141
인 쇄 成紋印刷社
(代) (02) 2272-7553
등록일자 1988년 9월 14일
등록번호 제13-155호
한국노동연구원 정가 4,000 원
97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98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취
업
자
수
실
업
자
수
나. 합리적인 적용방안 연구
현재 공제제도는 수첩과 증지를 활용하여 보험료를 징수하는 체계인데 아직 전산화 수준이 낮아 사업주의 업무(수첩신청 및 발급, 공제증지 첨부 등)가 복잡하다. 더욱이 건설업의 경우 이 체계가 중층적 하도급 구조하에서 작동한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제도의 적용 및 운용에 많은 어려움이 따를 것은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피보험자 관리체계 및 보험료 징수체계를 전산화를 통해 간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또한 각 사회보험의 보험료 수준 및 결정방식, 급여의 수급요건 및 수준 등 제도의 합리적인 적용방안에 대한 연구가 조속히 이루어져야 한다.
建設勤勞者 雇傭改善方案의 主要 事項
Ⅵ. 建設勤勞者 雇傭改善方案의 主要 事項
앞서 논의되었던 단기 및 중장기적 대책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이러한 내용을 고려하여 건설근로자 고용개선기본계획이 입안되어야 할 것이다.
1. 단기적 대책의 주요 사항
단기적 대책은 현행 제도의 시행상 나타나는 문제점을 극복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가급적 빠른 시일 내에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 시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33> 단기적 대책의 개요 및 당사자의 역할
개별근로자 및
근로자단체
개별사업주 및
사업주단체
노동사무소 및 정부
고용 및
취업구조
개선방안
취업알선 전담창구 개설
- 실업 또는 구직사실을 노동사무소
등에 통지
- 노동사무소를 통한 구인
- 구인·구직정보를 매개
'고용관리책임자' 규정의 실효성 확보
- 고용관리책임자와 노동법상의 관계
유지
- 현장에 고용관
리책임자 배치
- 관련규정 신설 및 개정
직업훈련
개선방안
실업자 재취직훈련 및 기타 직업훈련 참여
- 근로자는 기존의
직업훈련에 참여
- 노조는 일상훈련
실시
- 사업주단체에서 주로 양성훈련
담당
- 실업자재취직훈련 참여자격 입증방법 개선 등
- 노조 및 사업주단체에 대한 지원
- 훈련참여 안내
복지증진
방안
퇴직공제제도 및
사회보험 적용
- 보험료 납부
- 보험료 납부
- 증지의 부착 및 증지대장의 보고
- 홍보 강화
- 보험료 및 퇴직공제
금 징수
- 적용상황의 감독강화
- 관련법규 개정
2. 중장기적 대책의 주요 사항
중장기적 대책은 현행 제도와 건설노동의 특성이 서로 조화되지 않음으로써 야기되는 문제점을 극복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건설노동의 특성을 고려하여 문제에 대한 개선방안들을 제시하기는 하였으나 현실적합성을 검증받지 못한 상태이므로 특히 관련외국제도에 관한 심층연구를 통해 보완될 필요가 있다.
<표 34> 중장기적 대책의 개요 및 당사자의 역할
개별근로자 및
근로자 단체
개별사업주 및
사업주단체
노동사무소 및 정부
고용 및
취업구조
개선방안
근로자경력관리시스템 시행
- 개별근로자의 수
첩소지
- 수첩소지자 고용
- 수첩의 발급 및 정보의 관리
수첩정보를 활용한 취업알선망 운영
- 실업 또는 구직사실을 노동사무소
등에 통지
- 노동사무소를 통한 구인
- 구인·구직정보를 매개
직업훈련
개선방안
직업훈련 및
기능검정
- 노조에서 주로 일상훈련 담당
- 주로 동절기에 기능검정 참여
- 근로자는 직업훈
련 및 기능검정에 참여
- 사업주단체에서 주로 양성훈련
및 동계훈련
담당
- 각 훈련지원
- 훈련참여 안내
- 주로 동절기에 기능검정 실시하여 수첩에 기능사항 경신
복지증진
방안
경력관리와 연계된 사회보험 및 공제제도 적용
- 갑근세 납부
- 보험료 납부
- 보험료 납부
- 증지의 부착 및 증지대장의 보고
- 갑근세 징수
- 보험료 및 퇴직공제금 징수
- 보험료 납부상황의
관리
參考文獻
參 考 文 獻
김 훈(1996), 「일본의 건설근로자 고용개선 및 복지증진 시책(Ⅰ)(Ⅱ)」, KLI 노동연구속보, 제58호, 제59호.
방하남·정연택·심규범(1998), 『건설일용근로자의 고용구조 및 근로복지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윤영선.안정화(1992), 『건설인력난의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국토개발연구원 92-18.
통계청(1992), 『고용구조특별조사테이프』.
___(1997), 『건설업 통계조사보고서』.
___(각년도 각월), 『경제활동인구조사테이프』.
___(1998), 『1997년 경제활동인구연보』.
___(1998. 7), 『한국통계월보』.
한국노동연구원(1996a), 「건설근로자의 고용실태 및 의식조사」 원자료.
___(1996b), 「건설일용근로자의 고용, 직업훈련, 근로복지에 관한 기업의 의견조사」 원자료.
___(1998), 『KLI 노동통계』.
한국노동연구원·한국보건사회연구원(1998), 「실업실태 및 복지욕구 조사」 원자료.
社會·勞 保險實務硏究會(1995), 『社會保險·勞 保險の 事務百科』, 淸文社 野淸(1990), 『社會保險·勞 保險の 實務』, 日本實業出版社.
EFBWW(1995), Conditions of Employment in the European Construction Industry.
Villa Paola(1986), The Structuring of Labor Markets: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teel and Construction Industries in Italy, Clarendon Press.
● 金 勳
- 연세대 사회학과 졸업
- 일본 게이오대 사회학 박사
- 現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
● 沈揆範
- 명지대 경제학과 졸업
- 고려대 경제학과 박사과정 수료
- 現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원
건설근로자 고용개선에 관한 연구
1999년 3월 15일 인쇄
1999년 3월 20일 발행
발 행 인 朴 求
발 행 처
주 소 15 - 1 서울特別市 永登浦區
汝矣島洞 16-2 中小企業會館 9層
(代) (02) 782-0141
인 쇄 成紋印刷社
(代) (02) 2272-7553
등록일자 1988년 9월 14일
등록번호 제13-155호
한국노동연구원 정가 4,000 원
97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98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취
업
자
수
실
업
자
수
추천자료
장애인고용의 실태와 문제점 및 장애인 고용촉진제도의 개선 과제
[장애인고용][장애인취업]장애인고용 관련 법률, 장애인권리의 보장, 장애인고용의 필요성, ...
[장애인고용환경][장애인고용정책][장애인고용촉진정책][장애인고용제도]장애인고용환경 변화...
건설안전관리(건축안전관리)의 개념, 건설안전관리(건축안전관리)의 특성, 건설안전관리(건축...
고령화사회의 고용보장정책의 실효성과 문제점 그리고 노인고용활성화 개선방안 보고서
(노인복지론)노인고용보장정책 현황(08.09월 지역별 취업 통계) 문제점, 개선방향 보고서
건설공사의 안전관리, 건설공사의 하자보수책임기간, 건설공사 공정관리의 목적, 건설공사 공...
장애인 의무고용의 개선 및 발전 방안에 대해여 다음의 양식에 맞게 작성
장애인 의무고용의 개선 및 발전 방안
1997년(1990년대)의 한국경제, 1997년(1990년대)의 경제위기, 1997년(1990년대)의 빈부격차, ...
남녀차별(여성차별, 성차별)과 남녀차별개선위원회, 남녀차별(여성차별, 성차별)과 고용평등...
도색작업의 안전성과 물질안전보건자료(MSDS)제도에 대하여 (건설현장에서 도색작업 시 물질...
장애인 의무고용제도와 관련하여 왜 기업들이 장애인 의무고용에 소극적인지, 그리고 장애인 ...
[현대사회와 사회문제] 다문화 사회 문제점 해결방안 - 다문화 사회의 개념, 다문화의 현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