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지나 완전히 기술적·상업적으로 뿌리내렸던 시점이다.
.......이러한 시대상황 속에서 李箱은 서양활자의 운용술, 곧 타이포그라피를 그의 타고난 시각적 감성으로 받아들였다. 곧 그는 '활자라는 현대성'을 온몸으로 수용하였다. 따라서 필자는 李箱이 당시에 받아들였던 '활자의 현대성'이란 곧 한국의 현대 타이포그라피의 잉태를 위한 씨였다고 보는 것이다.
.......이러한 시대상황 속에서 李箱은 서양활자의 운용술, 곧 타이포그라피를 그의 타고난 시각적 감성으로 받아들였다. 곧 그는 '활자라는 현대성'을 온몸으로 수용하였다. 따라서 필자는 李箱이 당시에 받아들였던 '활자의 현대성'이란 곧 한국의 현대 타이포그라피의 잉태를 위한 씨였다고 보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