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신(新) 타이포그라피
2.타이포그라피 원리
2.타이포그라피 원리
본문내용
화적 실험은 기존의 언어에 대해 불만을 품었던 시인들에게 영향을 주었고, 시인들은 시각시적 실험에서 매체 수단으로서의 활자를 재인식하면서 기존 조판 체제에 대한 해체적인 태도와 함께 새로운 표현을 개발했다.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당시의 예술적 현상은 서로 연대 감각을 공유한 상태에서 영향을 주고 받았다고 본다. 결국 현대 타이포그라피의 실천적 개념이었던 '기능'은 외형적으로는 자유를 지향하는 전위성과 배치(背馳)되는 듯 하나, 그 뿌리는 언어 해방과 원근법적 관점의 파괴에 기초했다고 볼 수 있다. 기존의 것에 대한 다른 관점이 본질에 대한 다른 접근을 불러온 것은 당연한 소치이다. 따라서, 그것은 '기능'으로 발화(發火)되었다. 이것은 동(同)시대 문화와의 공조, 즉 시대정신의 결과로 나타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