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0. 환자사례보고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
5. 진단적 검사
6.치료
7. 합병증 및 예후
8. 간호중재
9. 간호진단 : 급성통증, 가스교환장애
10. 참고문헌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
5. 진단적 검사
6.치료
7. 합병증 및 예후
8. 간호중재
9. 간호진단 : 급성통증, 가스교환장애
10. 참고문헌
본문내용
폐색을 야기할 수 있다.
(심근경색연구회.
http://ksmi.re.kr/learn/info04.php)
3. 대상자는 2일 이내에 어지러움이나 정신상태의 갑작스러운 변화의 발생이 사라졌다고 이야기한다.
[진단적]
1. 혼돈, 혼미와 같은 정신상태의 갑작스러운 변화나 지속되는 변화를 사정한다.
-뇌관류는 심박출량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고 전해질, 산-염기 변화, 저산소증, 전신 경색에 의해 영향을 받아 정신상태의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윤은자 외(2019). 성인간호학 I. 수문사. p.778)
2. EKG 확인한다.
-심전도는 심근경색 진단에 신뢰성이 높으며 허혈과 경색의 시간 경과에 따라 QRS군, ST분절, T파의 현저한 변화가 나타난다.
(윤은자 외(2019). 성인간호학 I. 수문사. p.764)
3. Cardiac enzyme 수치 측정한다.
-심근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효소들이 시간 경과에 따라 괴사부위의 심근으로부터 혈중에 유리되어 나온다. CK는 심근에 장 많이 존재하므로 5%가 넘으면 심근경색으로 진단하고, 트로포닌 T와 I는 심근에 존재하는 특수 단백효소로서 심근이 손상되면 순활혈류로 유리되어 나온다. (윤은자 외(2019). 성인간호학 I. 수문사. p.764-5)
[치료적]
1. 처방에 따라 항혈전제, 혈관확장제를 투여한다.
-Asprin과 같은 항혈소판제는 혈소판의 응집과 혈전 형성을 예방하여 관상동맥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 사용되며 질산염제제는 혈관 평활근을 이완시키고 동맥과 정맥을 확장시켜 혈관저항과 혈압을 하강시킴으로써 심부담을 줄이고 관상순환 혈량을 증가시킨다.
(윤은자 외(2019). 성인간호학 I. 수문사. p.755)
2. 처방에 따라 비강캐뉼라 통해 O를 공급한다.
-심근경색에서는 혈액 내 산소분압이 감소되므로 산소를 공급하여 호흡곤란, 흉통, 쇼크, 창백증, 폐수종을 경감시킨다.
(윤은자 외(2019). 성인간호학 I. 수문사. p.772)
[교육적]
1. 어지러움, 정신상태 변화 발생 시 즉시 알리도록 교육한다.
-뇌관류는 심박출량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고 전해질, 산-염기 변화, 저산소증, 전신 경색에 의해 영향을 받아 정신상태의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윤은자 외(2019). 성인간호학 I. 수문사. p.778)
2. 조용한 환경을 제공하고 활동 수준을 낮추어 환자가 안정을 취하도록 교육한다.
-외부자극은 과도한 불안과 심근의 긴장을 유도하여 환자의 대처능력을 감소시킨다.
(윤은자 외(2019). 성인간호학 I. 수문사. p.777)
4.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혼자서 활동하는데 어려움이 없다고 표현한다.
[진단적]
1.V/S, SaO 특히 활동 전,중,후의 변화를 사정한다.
-환자의 활동에 대한 반응은 심근의 산소부족을 의미하며 활동량을 감소시키고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거나 보조적인 산소 사용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윤은자 외(2019). 성인간호학 I. 수문사. p.779)
2. 통증의 양상(통증의 세기, 지속, 부위, 호흡이나 활동이 미치는 영향)을 사정한다.
-통증을 정확히 사정하는 것은 치료결정(긴급 정도, 진통제의 종류, 투여방법, 용량조절, 약물주입 속도)에 매우 중요하다.
(윤은자 외(2019). 성인간호학 I. 수문사. p.42)
3. EKG monitor 한다.
-심전도는 심근경색 진단에 신뢰성이 높으며 허혈과 경색의 시간 경과에 따라 QRS군, ST분절, T파의 현저한 변화가 나타난다.
(윤은자 외(2019). 성인간호학 I. 수문사. p.764)
[치료적]
1. 환자가 통증을 호소할 시 처방에 따라 진통제를 투여한다.
-효과적인 통증관리는 최적의 치유를 증진시키고 환자로 하여금 필요한 활동에 참여하게끔 한다.
(윤은자 외(2019). 성인간호학 I. 수문사. p.377)
[교육적]
1. 환자 상태에 따라 점진적으로 활동량 늘려 운동하도록 한다.
-과도한 운동은 심장의 부담감을 증진시키므로 점진적인 활동량 증가를 통해 심장의 산소요구도를 조절할 수 있다.
(윤은자 외(2019). 성인간호학 I. 수문사. p.779)
2. 혈액의 산소포화도 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오기 전까지는 침상안정 격려한다.
-안정은 손상된 심장에 산소화를 돕고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므로 활동 수준을 낮추어 심근의 부담감과 산소 소모량을 경감시킨다.
(윤은자 외(2019). 성인간호학 I. 수문사. p.777)
10. 참고문헌
윤은자 외(2019), 성인간호학II, 수문사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서 통증 유무가 환자의 임상적 특징과 예후에 미치는 영향, 대한응급의학회지 제 16 권 제 5 호,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교실 김훈ㆍ이석우
http://210.101.116.28/W_files/kiss8/18401591_pv.pdf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의 병원내원시간 지연에 관련된 요인
https://pdfs.semanticscholar.org/1490/b062976fcbc34c3d0e1eb0de9724514bfc64.pdf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2850
삼성서울병원 관상동맥질환팀 “니트로글리세린”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ain/index.do?DP_CODE=cardio&MENU_ID=001003007
동아대학교병원 심혈관센터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https://cvc.damc.or.kr/05/0106.php
국가건강정보포털 “협심증:치료”
https://health.cdc.go.kr/health/Resource/Module/Content/Printok.do?idx=2530&subIdx=6
서울대학교 병원 “심근경색증”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335
서울아산병원 “급성심근경색증”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111
(심근경색연구회.
http://ksmi.re.kr/learn/info04.php)
3. 대상자는 2일 이내에 어지러움이나 정신상태의 갑작스러운 변화의 발생이 사라졌다고 이야기한다.
[진단적]
1. 혼돈, 혼미와 같은 정신상태의 갑작스러운 변화나 지속되는 변화를 사정한다.
-뇌관류는 심박출량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고 전해질, 산-염기 변화, 저산소증, 전신 경색에 의해 영향을 받아 정신상태의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윤은자 외(2019). 성인간호학 I. 수문사. p.778)
2. EKG 확인한다.
-심전도는 심근경색 진단에 신뢰성이 높으며 허혈과 경색의 시간 경과에 따라 QRS군, ST분절, T파의 현저한 변화가 나타난다.
(윤은자 외(2019). 성인간호학 I. 수문사. p.764)
3. Cardiac enzyme 수치 측정한다.
-심근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효소들이 시간 경과에 따라 괴사부위의 심근으로부터 혈중에 유리되어 나온다. CK는 심근에 장 많이 존재하므로 5%가 넘으면 심근경색으로 진단하고, 트로포닌 T와 I는 심근에 존재하는 특수 단백효소로서 심근이 손상되면 순활혈류로 유리되어 나온다. (윤은자 외(2019). 성인간호학 I. 수문사. p.764-5)
[치료적]
1. 처방에 따라 항혈전제, 혈관확장제를 투여한다.
-Asprin과 같은 항혈소판제는 혈소판의 응집과 혈전 형성을 예방하여 관상동맥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 사용되며 질산염제제는 혈관 평활근을 이완시키고 동맥과 정맥을 확장시켜 혈관저항과 혈압을 하강시킴으로써 심부담을 줄이고 관상순환 혈량을 증가시킨다.
(윤은자 외(2019). 성인간호학 I. 수문사. p.755)
2. 처방에 따라 비강캐뉼라 통해 O를 공급한다.
-심근경색에서는 혈액 내 산소분압이 감소되므로 산소를 공급하여 호흡곤란, 흉통, 쇼크, 창백증, 폐수종을 경감시킨다.
(윤은자 외(2019). 성인간호학 I. 수문사. p.772)
[교육적]
1. 어지러움, 정신상태 변화 발생 시 즉시 알리도록 교육한다.
-뇌관류는 심박출량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고 전해질, 산-염기 변화, 저산소증, 전신 경색에 의해 영향을 받아 정신상태의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윤은자 외(2019). 성인간호학 I. 수문사. p.778)
2. 조용한 환경을 제공하고 활동 수준을 낮추어 환자가 안정을 취하도록 교육한다.
-외부자극은 과도한 불안과 심근의 긴장을 유도하여 환자의 대처능력을 감소시킨다.
(윤은자 외(2019). 성인간호학 I. 수문사. p.777)
4.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혼자서 활동하는데 어려움이 없다고 표현한다.
[진단적]
1.V/S, SaO 특히 활동 전,중,후의 변화를 사정한다.
-환자의 활동에 대한 반응은 심근의 산소부족을 의미하며 활동량을 감소시키고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거나 보조적인 산소 사용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윤은자 외(2019). 성인간호학 I. 수문사. p.779)
2. 통증의 양상(통증의 세기, 지속, 부위, 호흡이나 활동이 미치는 영향)을 사정한다.
-통증을 정확히 사정하는 것은 치료결정(긴급 정도, 진통제의 종류, 투여방법, 용량조절, 약물주입 속도)에 매우 중요하다.
(윤은자 외(2019). 성인간호학 I. 수문사. p.42)
3. EKG monitor 한다.
-심전도는 심근경색 진단에 신뢰성이 높으며 허혈과 경색의 시간 경과에 따라 QRS군, ST분절, T파의 현저한 변화가 나타난다.
(윤은자 외(2019). 성인간호학 I. 수문사. p.764)
[치료적]
1. 환자가 통증을 호소할 시 처방에 따라 진통제를 투여한다.
-효과적인 통증관리는 최적의 치유를 증진시키고 환자로 하여금 필요한 활동에 참여하게끔 한다.
(윤은자 외(2019). 성인간호학 I. 수문사. p.377)
[교육적]
1. 환자 상태에 따라 점진적으로 활동량 늘려 운동하도록 한다.
-과도한 운동은 심장의 부담감을 증진시키므로 점진적인 활동량 증가를 통해 심장의 산소요구도를 조절할 수 있다.
(윤은자 외(2019). 성인간호학 I. 수문사. p.779)
2. 혈액의 산소포화도 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오기 전까지는 침상안정 격려한다.
-안정은 손상된 심장에 산소화를 돕고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므로 활동 수준을 낮추어 심근의 부담감과 산소 소모량을 경감시킨다.
(윤은자 외(2019). 성인간호학 I. 수문사. p.777)
10. 참고문헌
윤은자 외(2019), 성인간호학II, 수문사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서 통증 유무가 환자의 임상적 특징과 예후에 미치는 영향, 대한응급의학회지 제 16 권 제 5 호,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교실 김훈ㆍ이석우
http://210.101.116.28/W_files/kiss8/18401591_pv.pdf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의 병원내원시간 지연에 관련된 요인
https://pdfs.semanticscholar.org/1490/b062976fcbc34c3d0e1eb0de9724514bfc64.pdf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2850
삼성서울병원 관상동맥질환팀 “니트로글리세린”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ain/index.do?DP_CODE=cardio&MENU_ID=001003007
동아대학교병원 심혈관센터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https://cvc.damc.or.kr/05/0106.php
국가건강정보포털 “협심증:치료”
https://health.cdc.go.kr/health/Resource/Module/Content/Printok.do?idx=2530&subIdx=6
서울대학교 병원 “심근경색증”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335
서울아산병원 “급성심근경색증”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11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