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생애와 저술
2. 자연관(自然觀)
3. 인간관(人間觀)
2. 자연관(自然觀)
3. 인간관(人間觀)
본문내용
전환이 필수적이며 또한 사회지도층의 건강성과솔선수범이 선결과제임을 역설하였다.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홍대용의 실학사상은 현실에서 출발하여 현실적 실천에서 종결된다고 할수 있다. 그는 개인전 수양이나 이론적 탐구도 현실을 외면하거나 실천의 장으로 옮겨지지 않는다면 결국은 허위의식의 영역으로 귀착됨을 통감한 사상가였다. 홍대용은 이를 삼실론(三實論) - 실심(心)·실사(事)·실지(地) - 으로써 언명한 바 있다. 그는 '과학적이고 객관적 관점'을 갖고, 현실에 대한 명확한 통찰과 사물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하여, 실천적 의지로써 현실에서 실용할 것을 요구하였다. 실학자로서 그는 인간과 사회 그리고 자연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시도하는 사상적 변용(실학)이 도래하는 출발점에 실지로 서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홍대용의 실학사상은 현실에서 출발하여 현실적 실천에서 종결된다고 할수 있다. 그는 개인전 수양이나 이론적 탐구도 현실을 외면하거나 실천의 장으로 옮겨지지 않는다면 결국은 허위의식의 영역으로 귀착됨을 통감한 사상가였다. 홍대용은 이를 삼실론(三實論) - 실심(心)·실사(事)·실지(地) - 으로써 언명한 바 있다. 그는 '과학적이고 객관적 관점'을 갖고, 현실에 대한 명확한 통찰과 사물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하여, 실천적 의지로써 현실에서 실용할 것을 요구하였다. 실학자로서 그는 인간과 사회 그리고 자연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시도하는 사상적 변용(실학)이 도래하는 출발점에 실지로 서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