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1.상대주의적 자연관
2.상대주의적 우주관
3.상대주의적 세계관
결론
본론
1.상대주의적 자연관
2.상대주의적 우주관
3.상대주의적 세계관
결론
본문내용
새로운 세계에 대한 자각과 우리에게도 우리의 역사가 있다는 각성이었다. 이러한 화이관의 변용은 우리 역사에 대한 주체적 인식과 함께 모든 국가를 대등하게 인식하도록 하는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 청은 단순한 배척의 대상이 아니라 배울 것이 있으면 배워야 하는 북학의 대상이 된 것이다.
또한 학문에 있어서도 각각의 학문이 모두 장단점이 있기에 그는 도가 불교 양명학 등 이른바 이단에 대해서도 그 장점을 수용하자는 개방적인 자세를 취하였다.
結 論
홍대용은 주관적 가치의 절대성을 부정하고 가치평가의 객관화를 강조한다. 귀하고 천한 것은 기준에 따라 상대적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여기서 그는 당시 성리학파의 인간중심적인 도덕원리를 부정하고, 인간과 사물을 균등하게 보았다. 이것이 ‘이천시물(以天視物)’의 관점이다.
홍대용은 이러한 이천시물의 관점에서 새로운 세계관을 구축하려 하였다.「의산문답」의 결론은 이른바 화이론의 절대성을 비판하고 재해석한 역외춘추론이었다. 역회춘추론은 각국의 고유성을 존중하여 상대적 자기중심성을 인정하는 것이므로, 그것은 조선의 자주성을 확립하자는 자주의식으로 연결되었다. 물론 여기에는 지구설 지전설 무한우주설이라는 과학적 세계관이 기반이 되었다.
<참고 문헌>
이진표,[한국사상사] (학문사, 2003)
홍원식, [실학사상과 근대성] (예문서원, 1998)
경기문화재단출판부, [경기실학 - 한국실학의 원류] (경기문화재단, 2000)
한국철학사연구회, [한국 실학 사상사] (다운샘, 2000)
오가와 하루히사, 황용성 역 [실사구시의 눈으로 시대를 밝힌다] (강, 1999)
또한 학문에 있어서도 각각의 학문이 모두 장단점이 있기에 그는 도가 불교 양명학 등 이른바 이단에 대해서도 그 장점을 수용하자는 개방적인 자세를 취하였다.
結 論
홍대용은 주관적 가치의 절대성을 부정하고 가치평가의 객관화를 강조한다. 귀하고 천한 것은 기준에 따라 상대적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여기서 그는 당시 성리학파의 인간중심적인 도덕원리를 부정하고, 인간과 사물을 균등하게 보았다. 이것이 ‘이천시물(以天視物)’의 관점이다.
홍대용은 이러한 이천시물의 관점에서 새로운 세계관을 구축하려 하였다.「의산문답」의 결론은 이른바 화이론의 절대성을 비판하고 재해석한 역외춘추론이었다. 역회춘추론은 각국의 고유성을 존중하여 상대적 자기중심성을 인정하는 것이므로, 그것은 조선의 자주성을 확립하자는 자주의식으로 연결되었다. 물론 여기에는 지구설 지전설 무한우주설이라는 과학적 세계관이 기반이 되었다.
<참고 문헌>
이진표,[한국사상사] (학문사, 2003)
홍원식, [실학사상과 근대성] (예문서원, 1998)
경기문화재단출판부, [경기실학 - 한국실학의 원류] (경기문화재단, 2000)
한국철학사연구회, [한국 실학 사상사] (다운샘, 2000)
오가와 하루히사, 황용성 역 [실사구시의 눈으로 시대를 밝힌다] (강, 199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