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본론
3.결론
2.본론
3.결론
본문내용
이 되어야 한다. 그것은 마치 회초리를 맞을 준비를 하는 아이의 심정과 같은 것이어야 할 것이다. 역사적 교훈은 단순히 아름답고 찬란한 역사만으로 얻을 수 있은 것이 아니다. 아프고 숨기고 싶은 것들을 진실하게 드러내어 보여 줌으로써 현재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그러한 우를 다시는 범하지 않도록 하는 것 또한 역사적 가치로서 더욱 중요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바라볼 때, 실학이 우리에게 주는 역사적 진실은 현재의 우리가 잃어버린 당대의 문화체에 대한 자긍심의 회복이며, 그 열망에 대한 아쉬움이다. 아름답고 풍성한 역동성을 현재의 우리가 살리지 못하고 서구의 지배 담론 속에서 永滅하게 된 <단절>에 대한 속죄가 필요함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총체적 문화코드에 있어서 조선후기의 당대와 함께 숨쉴 수 없음을 어떻게 그들의 은덕이라고 말 할 수 있겠는가? 어떻게 이러한 현실을 그들 정신의 본질이라고 말 할 수 있겠는가? 우리가 사는 현재는 풍요와 안전의 시대이기도 하지만 결별과 분단의 시대이기도 하다. 그것은 단순히 현상적 분단과 결별의 문제이기 보다는 역사와 전통과의 문제인 것이다. 바로 이러한 시각에서 실학은 다시 읽혀져야 하는 것이다.
추천자료
한국전통사상의 문화교육적 의의
조선시대 상공업 발달이 이루어 질 수 없었던 이유와 실학의 발생에 대해
한국인의 정체성과 전통사상
[실학자]조선시대 실학자들의 개혁안
조선후기 행정개혁에 관하여 (실학 기타 행정개혁)
[한국사상] 이율곡의 핵심사상은 무엇인가
한국윤리사상 과목 필기본
신라 원효, 설총, 최치원의 교육사상, 고려 최충과 안향의 교육사상, 고려 이색과 정몽주의 ...
한국 정치 사상의 흐름 정리
한국 정치 사상의 흐름 정리
[유아교육사와 보육] 근대사회의 유아교육 - 중세의 교육, 르네상스, 종교개혁기, 실학주의, ...
조선의 종교와 사상을 설명하고 이동사적 의의를 설명 : 조선의 종교
한국의 문학사상 -『정과 개성의 문학』- 교산 허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