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통사상의 문화교육적 의의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과거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Ⅱ. 동양적 삶의 양식과 교육

1. 세간과 출세간의 경계로서의 농경적 삶

Ⅲ. 조선조 촌락의 구성형태와 교육

Ⅳ. 촌락사회의 문화공동체적 삶과 교육

Ⅴ. 결어

본문내용

병행해서 선비문화와 명상문화를 새롭게 가다듬어 보급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매우 자존심이 상할지도 모르겠으나, 몇 년전에 태국은 과학과 기술의 교육진흥을 국가적인 차원에서 추진하기로 결정하면서 이 과학과 기술의 교육을 진흥하면 할 수록 이와 병행하여 인간교육을 위한 명상을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고 한다. 한국의 교육학계가 이만한 교육철학을 과연 발휘해 본 적이 과연 있었던가. 한국의 교육계는 그 동안 아귀가 잘 맞지 않는 대증요법의 임기응변적인 처방에만 몰두하다 보니, 남이 잘못되어야 내가 살 수 있다는 사고방식을 부추기는 대학입시에서의 내신등급제를 채택하면서, 이와 동시에 어휘조차 적절치 않은 "인성교육"을 외치고 있는 넌센스를 범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교육의 앞날을 위해서는 생활방식으로서의 한국문화에 대해 깊은 성찰과 천착이 있어야 할 것이다.
- 참 고 문 헌 -
김원동(1997). 정보사회와 종교교육 - 다니엘 벨의 현대사회론을 중심으로 - . 한국종교교육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정보사회와 종교교육」 자료집.
金仁會·丁淳睦(1974). 韓國 文化와 敎育. 서울: 梨花女子大學校 出版部.
金仁會(1979). 韓國人의 價値觀 -巫俗과 敎育哲學- . 서울: 文音社.
金泰坤(1971A). 韓國巫歌集 1. 서울: 集文堂.
金泰坤(1971B). 韓國巫歌集 2. 서울: 集文堂.
金泰坤(1978). 韓國巫歌集 3. 서울: 集文堂.
金泰坤(1980). 韓國巫歌集 4. 서울: 集文堂.
金泰坤(1981). 韓國巫俗硏究. 서울: 集文堂.
노치준(1998). 한국 개신교사회학. 서울: 한울.
朴先榮(1978). 韓國敎育史에 있어서 佛敎思想. 「韓國敎育史學」, 2. 서울: 韓國敎育學會 韓國 敎育史硏究會.
朴先榮(1981). 佛敎의 敎育思想. 서울: 同和出版公社.
朴先榮(1992). 初期佛敎敎團의 倫理的 性格과 그 敎育的 意義. 「伽山 李智冠스님 華甲紀念論叢 韓國佛敎 文化思想史」, 下. 서울: 伽山佛敎文化振興院.
朴先榮(1994). 韓國 家庭敎育의 問題狀況과 그 佛敎的 克服原理. 「佛敎學報」, 3. 서울: 東國 大學校 佛敎文化硏究院.
박선영(1995A). 불교와 평화교육. 서울평화교육센터 편. 「평화·평화교육의 종교적 이해」. 서울: 내일을 여는책.
박선영(1995B). 불교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宗敎敎育學硏究,」1. 서울: 韓國宗敎敎育學硏究會.
박선영(1996). 한국종교들의 가간관과 인격교육의 가치요소 - 전통종교를 중심으로 - . 「종교 교육학연구」,4. 서울: 한국종교교육학회.
박선영(1997A). 정보사회와 청소년 문제. 「계간 과학사상, 23. 서울: 범양사.
박선영(1997B). 한국종교들의 가간관과 인격교육의 가치요소 - 천도교와 대순진리회 및 원불교 등 근대를 전후한 자생종교들을 중심으로 - . 「종교교육학연구」, 4. 서울: 한국종교 교육학회.
송병순(1997). 정보사회와 종교교육. 한국종교교육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정보사회와 종교 교육」 자료집.
이동한(1997). 정보화 사회의 종교적 성찰. 한국종교교육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정보사회 와 종교교육」 자료집.
임돈희(1997). 무교에 있어서 여성에 대한 사회교육적 기능. 「종교교육학연구」, 4. 서울: 한국 종교교육학회.
임희섭(1996). 정보화사회의 사회구조. 최정호 외. 「정보화사회와 우리」. 서울: 소화.
趙芝薰(1964). 韓國文化史序說. 서울: 探求堂.
진교훈(1996). 정보화 사회의 윤리문제. 「계간 과학사상」, 18. 서울: 범양사.
한국종교교육학회(1998). 한국의 종교와 인격교육. 서울: 아름다운 세상.
한내창(1997). 정보화 사회에 있어서 종교의 역할. 한국종교교육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정보사회와 종교교육」 자료집.
中村元(昭和53年 第3刷). 原始佛敎の生活倫理, 東京: 春秋社.
朴先榮(昭和60). 佛敎の敎育思想. 東京: 國書刊行會.
宮田加久子(1994). 電子メディア社會 - 新しいコミュニケション環境の社會心理 - 東京: 誠信 書房.
論語. 大學.
孟子. 三國遺事.
性理大全. 小學.
栗谷全書. 朱子大全.
朱子語類. 中庸.
退溪集.
※ 아래와 같이 大正新修大藏經의 문헌은 "T.번호 'vol.번호' 文獻名"으로 표기하기로 한다. 여기에서 "T.번호"는 大正新修大藏經에 수록된 문헌의 번호이고, 'vol.번호'는 이 大藏經의 製冊 순서에 따른 "冊(volume) 번호"이다.
T.26 'vol.1' 中阿含經. T.99 'vol.2' 雜阿含經.
T.223 'Vol.8' 摩訶般若波羅蜜經. T360 'vol.12' 佛說無量壽經.
T.366 'vol.12' 佛說阿彌陀經. T.1484(vol.24) 梵網經.
T.1853 'vol.45' 大乘玄論.
Erikson, Erik H.(1968). Identity: Youth and Crisis.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Inc..
Erikson, Erik H.(1980). Identity and the Life Cycle. New York·London: W. W. Norton & Company, Inc..
Huntington, Samuel P.(1996). The Clash of Civilization and the Remaking of World Order. New York: Simon & Schuster.
Linton, R.(1945). The Cultural Background of Personality. New York: Appleton-Century.
Kluckhohn, Florence Rockwood & Stredbeck, Fred L.(1976). Variations in Value Orientations.
Westport: Greenwood Press, Inc..
Toffler, Alvin(1971). Future Shock. New York: Bantam Books.
Toffler, Alvin(1991). Power Shift. New York: Bantam Books.
Webster, Frank. 조동기 역(1977). 정보사회이론. 서울: 사회비평사.
  • 가격3,300
  • 페이지수42페이지
  • 등록일2002.04.08
  • 저작시기2002.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27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