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목차
Ⅰ. 과거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Ⅱ. 동양적 삶의 양식과 교육
1. 세간과 출세간의 경계로서의 농경적 삶
Ⅲ. 조선조 촌락의 구성형태와 교육
Ⅳ. 촌락사회의 문화공동체적 삶과 교육
Ⅴ. 결어
Ⅱ. 동양적 삶의 양식과 교육
1. 세간과 출세간의 경계로서의 농경적 삶
Ⅲ. 조선조 촌락의 구성형태와 교육
Ⅳ. 촌락사회의 문화공동체적 삶과 교육
Ⅴ. 결어
본문내용
병행해서 선비문화와 명상문화를 새롭게 가다듬어 보급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매우 자존심이 상할지도 모르겠으나, 몇 년전에 태국은 과학과 기술의 교육진흥을 국가적인 차원에서 추진하기로 결정하면서 이 과학과 기술의 교육을 진흥하면 할 수록 이와 병행하여 인간교육을 위한 명상을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고 한다. 한국의 교육학계가 이만한 교육철학을 과연 발휘해 본 적이 과연 있었던가. 한국의 교육계는 그 동안 아귀가 잘 맞지 않는 대증요법의 임기응변적인 처방에만 몰두하다 보니, 남이 잘못되어야 내가 살 수 있다는 사고방식을 부추기는 대학입시에서의 내신등급제를 채택하면서, 이와 동시에 어휘조차 적절치 않은 "인성교육"을 외치고 있는 넌센스를 범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교육의 앞날을 위해서는 생활방식으로서의 한국문화에 대해 깊은 성찰과 천착이 있어야 할 것이다.
- 참 고 문 헌 -
김원동(1997). 정보사회와 종교교육 - 다니엘 벨의 현대사회론을 중심으로 - . 한국종교교육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정보사회와 종교교육」 자료집.
金仁會·丁淳睦(1974). 韓國 文化와 敎育. 서울: 梨花女子大學校 出版部.
金仁會(1979). 韓國人의 價値觀 -巫俗과 敎育哲學- . 서울: 文音社.
金泰坤(1971A). 韓國巫歌集 1. 서울: 集文堂.
金泰坤(1971B). 韓國巫歌集 2. 서울: 集文堂.
金泰坤(1978). 韓國巫歌集 3. 서울: 集文堂.
金泰坤(1980). 韓國巫歌集 4. 서울: 集文堂.
金泰坤(1981). 韓國巫俗硏究. 서울: 集文堂.
노치준(1998). 한국 개신교사회학. 서울: 한울.
朴先榮(1978). 韓國敎育史에 있어서 佛敎思想. 「韓國敎育史學」, 2. 서울: 韓國敎育學會 韓國 敎育史硏究會.
朴先榮(1981). 佛敎의 敎育思想. 서울: 同和出版公社.
朴先榮(1992). 初期佛敎敎團의 倫理的 性格과 그 敎育的 意義. 「伽山 李智冠스님 華甲紀念論叢 韓國佛敎 文化思想史」, 下. 서울: 伽山佛敎文化振興院.
朴先榮(1994). 韓國 家庭敎育의 問題狀況과 그 佛敎的 克服原理. 「佛敎學報」, 3. 서울: 東國 大學校 佛敎文化硏究院.
박선영(1995A). 불교와 평화교육. 서울평화교육센터 편. 「평화·평화교육의 종교적 이해」. 서울: 내일을 여는책.
박선영(1995B). 불교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宗敎敎育學硏究,」1. 서울: 韓國宗敎敎育學硏究會.
박선영(1996). 한국종교들의 가간관과 인격교육의 가치요소 - 전통종교를 중심으로 - . 「종교 교육학연구」,4. 서울: 한국종교교육학회.
박선영(1997A). 정보사회와 청소년 문제. 「계간 과학사상, 23. 서울: 범양사.
박선영(1997B). 한국종교들의 가간관과 인격교육의 가치요소 - 천도교와 대순진리회 및 원불교 등 근대를 전후한 자생종교들을 중심으로 - . 「종교교육학연구」, 4. 서울: 한국종교 교육학회.
송병순(1997). 정보사회와 종교교육. 한국종교교육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정보사회와 종교 교육」 자료집.
이동한(1997). 정보화 사회의 종교적 성찰. 한국종교교육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정보사회 와 종교교육」 자료집.
임돈희(1997). 무교에 있어서 여성에 대한 사회교육적 기능. 「종교교육학연구」, 4. 서울: 한국 종교교육학회.
임희섭(1996). 정보화사회의 사회구조. 최정호 외. 「정보화사회와 우리」. 서울: 소화.
趙芝薰(1964). 韓國文化史序說. 서울: 探求堂.
진교훈(1996). 정보화 사회의 윤리문제. 「계간 과학사상」, 18. 서울: 범양사.
한국종교교육학회(1998). 한국의 종교와 인격교육. 서울: 아름다운 세상.
한내창(1997). 정보화 사회에 있어서 종교의 역할. 한국종교교육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정보사회와 종교교육」 자료집.
中村元(昭和53年 第3刷). 原始佛敎の生活倫理, 東京: 春秋社.
朴先榮(昭和60). 佛敎の敎育思想. 東京: 國書刊行會.
宮田加久子(1994). 電子メディア社會 - 新しいコミュニケション環境の社會心理 - 東京: 誠信 書房.
論語. 大學.
孟子. 三國遺事.
性理大全. 小學.
栗谷全書. 朱子大全.
朱子語類. 中庸.
退溪集.
※ 아래와 같이 大正新修大藏經의 문헌은 "T.번호 'vol.번호' 文獻名"으로 표기하기로 한다. 여기에서 "T.번호"는 大正新修大藏經에 수록된 문헌의 번호이고, 'vol.번호'는 이 大藏經의 製冊 순서에 따른 "冊(volume) 번호"이다.
T.26 'vol.1' 中阿含經. T.99 'vol.2' 雜阿含經.
T.223 'Vol.8' 摩訶般若波羅蜜經. T360 'vol.12' 佛說無量壽經.
T.366 'vol.12' 佛說阿彌陀經. T.1484(vol.24) 梵網經.
T.1853 'vol.45' 大乘玄論.
Erikson, Erik H.(1968). Identity: Youth and Crisis.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Inc..
Erikson, Erik H.(1980). Identity and the Life Cycle. New York·London: W. W. Norton & Company, Inc..
Huntington, Samuel P.(1996). The Clash of Civilization and the Remaking of World Order. New York: Simon & Schuster.
Linton, R.(1945). The Cultural Background of Personality. New York: Appleton-Century.
Kluckhohn, Florence Rockwood & Stredbeck, Fred L.(1976). Variations in Value Orientations.
Westport: Greenwood Press, Inc..
Toffler, Alvin(1971). Future Shock. New York: Bantam Books.
Toffler, Alvin(1991). Power Shift. New York: Bantam Books.
Webster, Frank. 조동기 역(1977). 정보사회이론. 서울: 사회비평사.
- 참 고 문 헌 -
김원동(1997). 정보사회와 종교교육 - 다니엘 벨의 현대사회론을 중심으로 - . 한국종교교육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정보사회와 종교교육」 자료집.
金仁會·丁淳睦(1974). 韓國 文化와 敎育. 서울: 梨花女子大學校 出版部.
金仁會(1979). 韓國人의 價値觀 -巫俗과 敎育哲學- . 서울: 文音社.
金泰坤(1971A). 韓國巫歌集 1. 서울: 集文堂.
金泰坤(1971B). 韓國巫歌集 2. 서울: 集文堂.
金泰坤(1978). 韓國巫歌集 3. 서울: 集文堂.
金泰坤(1980). 韓國巫歌集 4. 서울: 集文堂.
金泰坤(1981). 韓國巫俗硏究. 서울: 集文堂.
노치준(1998). 한국 개신교사회학. 서울: 한울.
朴先榮(1978). 韓國敎育史에 있어서 佛敎思想. 「韓國敎育史學」, 2. 서울: 韓國敎育學會 韓國 敎育史硏究會.
朴先榮(1981). 佛敎의 敎育思想. 서울: 同和出版公社.
朴先榮(1992). 初期佛敎敎團의 倫理的 性格과 그 敎育的 意義. 「伽山 李智冠스님 華甲紀念論叢 韓國佛敎 文化思想史」, 下. 서울: 伽山佛敎文化振興院.
朴先榮(1994). 韓國 家庭敎育의 問題狀況과 그 佛敎的 克服原理. 「佛敎學報」, 3. 서울: 東國 大學校 佛敎文化硏究院.
박선영(1995A). 불교와 평화교육. 서울평화교육센터 편. 「평화·평화교육의 종교적 이해」. 서울: 내일을 여는책.
박선영(1995B). 불교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宗敎敎育學硏究,」1. 서울: 韓國宗敎敎育學硏究會.
박선영(1996). 한국종교들의 가간관과 인격교육의 가치요소 - 전통종교를 중심으로 - . 「종교 교육학연구」,4. 서울: 한국종교교육학회.
박선영(1997A). 정보사회와 청소년 문제. 「계간 과학사상, 23. 서울: 범양사.
박선영(1997B). 한국종교들의 가간관과 인격교육의 가치요소 - 천도교와 대순진리회 및 원불교 등 근대를 전후한 자생종교들을 중심으로 - . 「종교교육학연구」, 4. 서울: 한국종교 교육학회.
송병순(1997). 정보사회와 종교교육. 한국종교교육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정보사회와 종교 교육」 자료집.
이동한(1997). 정보화 사회의 종교적 성찰. 한국종교교육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정보사회 와 종교교육」 자료집.
임돈희(1997). 무교에 있어서 여성에 대한 사회교육적 기능. 「종교교육학연구」, 4. 서울: 한국 종교교육학회.
임희섭(1996). 정보화사회의 사회구조. 최정호 외. 「정보화사회와 우리」. 서울: 소화.
趙芝薰(1964). 韓國文化史序說. 서울: 探求堂.
진교훈(1996). 정보화 사회의 윤리문제. 「계간 과학사상」, 18. 서울: 범양사.
한국종교교육학회(1998). 한국의 종교와 인격교육. 서울: 아름다운 세상.
한내창(1997). 정보화 사회에 있어서 종교의 역할. 한국종교교육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정보사회와 종교교육」 자료집.
中村元(昭和53年 第3刷). 原始佛敎の生活倫理, 東京: 春秋社.
朴先榮(昭和60). 佛敎の敎育思想. 東京: 國書刊行會.
宮田加久子(1994). 電子メディア社會 - 新しいコミュニケション環境の社會心理 - 東京: 誠信 書房.
論語. 大學.
孟子. 三國遺事.
性理大全. 小學.
栗谷全書. 朱子大全.
朱子語類. 中庸.
退溪集.
※ 아래와 같이 大正新修大藏經의 문헌은 "T.번호 'vol.번호' 文獻名"으로 표기하기로 한다. 여기에서 "T.번호"는 大正新修大藏經에 수록된 문헌의 번호이고, 'vol.번호'는 이 大藏經의 製冊 순서에 따른 "冊(volume) 번호"이다.
T.26 'vol.1' 中阿含經. T.99 'vol.2' 雜阿含經.
T.223 'Vol.8' 摩訶般若波羅蜜經. T360 'vol.12' 佛說無量壽經.
T.366 'vol.12' 佛說阿彌陀經. T.1484(vol.24) 梵網經.
T.1853 'vol.45' 大乘玄論.
Erikson, Erik H.(1968). Identity: Youth and Crisis.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Inc..
Erikson, Erik H.(1980). Identity and the Life Cycle. New York·London: W. W. Norton & Company, Inc..
Huntington, Samuel P.(1996). The Clash of Civilization and the Remaking of World Order. New York: Simon & Schuster.
Linton, R.(1945). The Cultural Background of Personality. New York: Appleton-Century.
Kluckhohn, Florence Rockwood & Stredbeck, Fred L.(1976). Variations in Value Orientations.
Westport: Greenwood Press, Inc..
Toffler, Alvin(1971). Future Shock. New York: Bantam Books.
Toffler, Alvin(1991). Power Shift. New York: Bantam Books.
Webster, Frank. 조동기 역(1977). 정보사회이론. 서울: 사회비평사.
추천자료
한국 현대 초등교육의 전통교육적 의미
[불교][불교사상][불교문화][연기론][한국문화][불교 기원][불교 목적][불교 내용][불교 전개...
<한국건축과 전통문화> 경복궁의 역사와 전통 구조 고찰
한국민속과 전통문화
전통사회에서의 소비문화적 배경) 한국의 가족문화와 소비, 가족생활에서 소비문화의 차이 및...
(한국의 사회문화) 우리나라의 전통적 사회문화와 가치관
자국문화및 전통을 지키기위한 일본인의 노력그리고 한국인의 본받을점에
전통집,집구조,한국사회문화,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
한국 전통문화 콘텐츠 헌화가 설화와 관련하여 콘텐츠 만들기
한국의 전통문화 2
[한국 전통 술문화] 한국의 막걸리에 대한 이해와 세계화 방안
[답사문, 관람문] 한국 전통미술과 21세기 문화아이콘 - 양산 유물 전시관 관람 후기
[행정문화 (行政文化)] 한국의 행정문화 - 전통적 행정문화, 행정문화의 변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