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건축과 전통문화> 경복궁의 역사와 전통 구조 고찰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건축과 전통문화> 경복궁의 역사와 전통 구조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끝에 수도는 백악산으로 결정됐다. 백악산을 주산으로 동쪽에 낙타 서쪽에 인왕, 남쪽에 목면을 이은 것이 수도 한양이다. 경복궁 창건은 조선왕조의 최대 사업으로 각별한 신경을 쓴 흔적이 보이는데, 농번기에는 백성들을 괴롭히지 않기 위해 승려를 동원했다. 경복궁이 창건된 것은 태조4년인 1395년 ,이것은 조선왕조가 새 왕조의 기틀을 잡기위한 작업이 일단락되었음을 의미한다. 창덕궁을 세운 이는 태종 이방원이다. 경복궁에서 왕자의 난을 일으킨 이방원은 그 때문인지 주로 창덕궁에서 생활했다. 임진왜란 이전까지 법궁은 경복궁, 이궁은 창덕궁이었다, 임란이후에는 법궁이 창덕궁, 이궁이 덕수궁이 되고. 고종시대에 경복궁은 다시 법궁의 지위를 찾는다. 임진왜란으로 거의 폐허가 되어버린 경복궁은 그로부터 270년 동안 역사 속에 묻혀버렸다. 경복궁 대신 창덕궁이 복원되면서 법궁의 지위도 잃었다. 그렇게 잊혀진 궁궐 경복궁을 다시 복원한 이는 고종의 아버지 흥선대원군이었다. 일제시대 경복궁은 또 한번 커다란 수난을 겪었다. 조선총독부가 들어서고 궁궐 대부분의 건물이 해체됐던 것이다. 그러나 지난 1995년 조선총독부가 철거되면서 무너지고 줌아웃 12 경복궁은 다시 옛 모습을 되찾기 시작했다. 조선왕조의 법궁, 경복궁 복원은 잃어버린 역사를 되찾는 일이다.
※참고문헌
1.KBS 역사 스페셜, "영상복원, 경복궁은 지금과 달랐다"
2.李起雄, 『한국의 고궁건축』, (悅話堂, 1993)
3.강경선 외, 『(이야기가 있는) 경복궁 나들이』, (역사넷, 2000)
4.신영훈, 『(조선의 정궁) 경복궁』, (조선일보사, 2003)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07.23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21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