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생애와저서
2. 철학사상
3. 문학사상
4. 사회경제사상
2. 철학사상
3. 문학사상
4. 사회경제사상
본문내용
정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는 중국의 벽돌과 기와가 간편하고 견고하다는 등 누차에 걸쳐 발달한 중국인의 기술을 찬탄해 마지않았다. 반면에 우리나라의 기술은 그릇 굽는 법에 이르기까지 낙후했다는 점을 지적하고 저들의 기술을 배워올 것을 주장하였다. 이는 수공업의 발전을 촉구하는 언급들이다. 그리고 그는 "우리나라는 배가 외국과 토하지 못하고 수래가 나라안을 다니지 못한다"고 하여 국내의 통상부진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그리고 "사방이 겨우 몇 천리밖에 안되는 나라에 백성의 살림살이가 이다지 가난함은 한 말로 표현하여 수레가 나라안을 다니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단언하기도 하였는데, 이 말은 직접으로는 생산물이 산지와 소비지 사이에 유통되지 않음을 지적한 것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수레의 사용으로 표현되는 상업의 발달이 생산을 촉진시킬수 있다는 의미로 적극적으로 해석될 여지도 갖는다.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박지원의 사상에는 18세기 후반기 조선의 사회상이 잘 반영되어 있다. 당시는 오랫동안 유지되어오던 조선의 중세체제가 해체되고 새로운 체제로의 전환을 준비하던 시기였다. 그는 그 과정에서 나타난 사리모순을 예리하게 비판하고 풍자하기도 하면서 자신의 사상을 확립하였다. 결국 박지원은 조선시대 사상사에 있어서 주자주의적 사상풍토의 극복과정에 기여한 사상가라 할 수 있다. 그가 홍대용·박제가 등과 더불어 확립한 북학론은 이 점을 상징적으로 드러내준다. 그것은 다음세대에 순조롭게 계승·발전되지는 못했지만, 19세기 중엽에 이르러 개화사상가들에게 영향을 끼침으로써 우리 근대사상 형성의 단초와도 같은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는 중국의 벽돌과 기와가 간편하고 견고하다는 등 누차에 걸쳐 발달한 중국인의 기술을 찬탄해 마지않았다. 반면에 우리나라의 기술은 그릇 굽는 법에 이르기까지 낙후했다는 점을 지적하고 저들의 기술을 배워올 것을 주장하였다. 이는 수공업의 발전을 촉구하는 언급들이다. 그리고 그는 "우리나라는 배가 외국과 토하지 못하고 수래가 나라안을 다니지 못한다"고 하여 국내의 통상부진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그리고 "사방이 겨우 몇 천리밖에 안되는 나라에 백성의 살림살이가 이다지 가난함은 한 말로 표현하여 수레가 나라안을 다니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단언하기도 하였는데, 이 말은 직접으로는 생산물이 산지와 소비지 사이에 유통되지 않음을 지적한 것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수레의 사용으로 표현되는 상업의 발달이 생산을 촉진시킬수 있다는 의미로 적극적으로 해석될 여지도 갖는다.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박지원의 사상에는 18세기 후반기 조선의 사회상이 잘 반영되어 있다. 당시는 오랫동안 유지되어오던 조선의 중세체제가 해체되고 새로운 체제로의 전환을 준비하던 시기였다. 그는 그 과정에서 나타난 사리모순을 예리하게 비판하고 풍자하기도 하면서 자신의 사상을 확립하였다. 결국 박지원은 조선시대 사상사에 있어서 주자주의적 사상풍토의 극복과정에 기여한 사상가라 할 수 있다. 그가 홍대용·박제가 등과 더불어 확립한 북학론은 이 점을 상징적으로 드러내준다. 그것은 다음세대에 순조롭게 계승·발전되지는 못했지만, 19세기 중엽에 이르러 개화사상가들에게 영향을 끼침으로써 우리 근대사상 형성의 단초와도 같은 역할을 수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