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학의 자연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술사상을 전개하였다.[註24] 그는 유기철학(唯氣哲學)과 이용후생론(利用厚生論)을 토대로 하여 자연을 순수한 객관적인 기(氣)로 파악하고 그 기(氣)는 기(器)로서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서양의 전기 · 증기기관 등도 자연의 기(氣)를 기술로써 이용하는 데 불과하다고 보았다. 더구나 그는 기(氣)를 조화적인 유기체적 존재로만 파악하지 않고 기계적인 입자적 존재로도 파악해 나가고 있다. 이것은 니이담(Needham) 박사가 지적한 동양의 과학기술사상의 한계를 이미 극복하고 나온 주목할 만한 사상이다. 여기에서 그의 기(氣)는 수(數)와 통하게 되고 기는 수론(數論)으로 환언될 수 있었다. 그에 의하면 수는 기에 의하여 만들어지고 수가 아니면 그 기를 쓸 수가 없다는 것이다.
「기(氣)에는 반드시 이(理)가 있고 이에는 반드시 상(象)이 있고 상에는 반드시 수(數)가 있는 것이다. 수에 의하여 상에 통하고 상에 의하여 이를 통하며 이에 의하여 기를 통한다. '기는 수의 체(體)요 수는 기의 용(用)이다'[註25]」
이와 아울러 최한기는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실험(實驗)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대저 종래의 '격물치지(格物致知)'론이나 '개물성무(開物成務)'론이 동양적 합리사상으로 발전하였지만 거기에는 치명적으로 실험이라는 개념이 결여되어 있었다. 서양의 경우에는 바로 이 실험을 통하여 비로소 생물체를 형성하는 세포가 발견되고 나아가 화학과 물리학의 실험과정에서 분자와 원자나 같은 소립자(素粒子)의 세계가 개척되었던 것이다. 이런 점에서 최한기가 실험을 중시한 것은 매우 높이 평가할만한 하다고 하겠다.

키워드

실학,   자연관,   오행,   음과양,   자연법칙,   전통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2.08.06
  • 저작시기2002.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06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