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학사(文學史)
2. 문학적 특징
3. 문학의 양상
4. 주요 발표지
2. 문학적 특징
3. 문학의 양상
4. 주요 발표지
본문내용
, 일제 강점기의 삶과 항일 투쟁을 재구성하는 데 주력했다. 유치진의 '조국', '원술랑', 오영진의 '살아 있는 이중생 각하', 김동식의 '유민가', 김영수의 '혈맥', 함세덕의 '고목', 이광래의 '독립군', 시나리오로 윤봉춘의 '유관순' 등이 있다. 한편, 좌익 극작가들에 의해 과거 친일파의 행적을 비판한 희곡들도 양산되었다
4. 주요 발표지
이 무렵에 발간된 문예지로는 <문학>, <예술 부락>, <문예> 등이 있으며, 종합지로 <상아탑>, <백민>, <민성> 등이, 동인지로 <백맥(白脈)>, <시탑(時塔)> 등이 있었다.
(1) 백민(白民) : 김송이 주간하고, 유주현, 박연희 등이 편집했던 종합지로, 1犯5년 12월에 창간되어 6·25 전쟁 직전까지 발간되었다. 채만식의 '맹 순사(孟巡査)', 김동리의 '혈거 부족(穴居部族)' 등이 발표되었다. 좌익에 대항하여 중도의 민족주의적 경향을 띤 잡지이다.
(2) 문예(文藝) : 1947년 8월에 창간, 6·25 전쟁 때에도 전시판을 내었으며 <현대 문학>으로 이어진 문예지. 모윤숙이 발행하고, 김동리, 조연현이 편집을 맡았다. 추천제를 실시하여 이동주, 송욱, 전봉건, 이형기 등 신인을 발굴했다
4. 주요 발표지
이 무렵에 발간된 문예지로는 <문학>, <예술 부락>, <문예> 등이 있으며, 종합지로 <상아탑>, <백민>, <민성> 등이, 동인지로 <백맥(白脈)>, <시탑(時塔)> 등이 있었다.
(1) 백민(白民) : 김송이 주간하고, 유주현, 박연희 등이 편집했던 종합지로, 1犯5년 12월에 창간되어 6·25 전쟁 직전까지 발간되었다. 채만식의 '맹 순사(孟巡査)', 김동리의 '혈거 부족(穴居部族)' 등이 발표되었다. 좌익에 대항하여 중도의 민족주의적 경향을 띤 잡지이다.
(2) 문예(文藝) : 1947년 8월에 창간, 6·25 전쟁 때에도 전시판을 내었으며 <현대 문학>으로 이어진 문예지. 모윤숙이 발행하고, 김동리, 조연현이 편집을 맡았다. 추천제를 실시하여 이동주, 송욱, 전봉건, 이형기 등 신인을 발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