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시대의 교육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삼국시대 교육의 개관
(1) 불교의 전래와 교육
(2) 유교와 교육
(3) 삼국 시대 교육의 특징

2. 고구려 교육
(1) 고구려 교육의 개관
(2) 고구려의 교육기관

3. 백제 시대의 교육
(1) 백제 시대의 교육 개관
(2) 백제의 교육

4. 신라의 교육
(1) 신라 교육의 개관
(2) 화랑도 교육(통일 이전)
(3) 국학(國學: 통일이후)
(4) 독서 삼품과(원성왕 4년 788년 독서출신과: 讀書出身科)

본문내용

를 위한 인재와 관리의 양성
3) 교육내용
① 유교주의적 윤리관을 확립하는데 필요한 유교의 경전
② 유학과(儒學科) : 주역, 상서, 모시, 문선, 예기, 춘추(논어,효경 필수)
③ 기술과(기술과) : 산학, 의학, 천문학(논어, 효경 필수)
4) 입학자격
① 15세부터 30세까지의 귀족 자제와 많은 학생 가운데 뽑힌 우수한 자로서 관직이 무위자(無爲者)로부터 대사(大舍)이하의 관직을 가진 자였다.
② 국학을 졸업하면 대나마(大奈痲 : 10등급)의 관위를 얻게 됨(12등급 이상의 관위는 국학을 나와야만 비로소 가능하다.
5) 교육제도
① 수업 연한 : 9년을 원칙, 저능하면 재학 도중 퇴학, 가망은 있으나 미숙한 자는 9년을 넘어도 재학을 허용, 우수한 학생에게 장학제도, 당나라로 해외 유학의 특전
② 직제
㉠ 경(卿) : 1명 국학을 총괄하는 직위로 오늘날 대학의 총장 혹은 학장
㉡ 박사(博士): 약간명, 국학의 교수
㉢ 조교(助敎): 약간명, 박사를 도와 교육을 보조
㉣ 대사(大舍)와 사(史): 각각 2∼4명을 두어 국학의 행정을 보조
㉤ 행정 직원과 교수 직원을 따로 두어 그 일반 운영이 체계적이었다.
(4) 독서 삼품과(원성왕 4년 788년 독서출신과: 讀書出身科)
1) 성격
① 과거제도 도입의 예비 단계
② 인재등용법의 하나로 과거제도의 선구
③ 인재등용의 객관화를 도모
2) 목적 : 관리 선발을 위한 국가 시험제도
3) 특징
① 국학에서 수학한 학생들의 성적을 상, 중, 하의 특등으로 나누어 등용 서열을 결정
② 시험의 내용이 국학의 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국학의 졸업 시험과 같은 성격

키워드

  • 가격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2.08.07
  • 저작시기2002.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07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