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일반적인 利의 의미
Ⅲ. 利가 된 이유
Ⅳ. 利의 전제
Ⅴ. 결 론
참 고 문 헌
Ⅱ. 일반적인 利의 의미
Ⅲ. 利가 된 이유
Ⅳ. 利의 전제
Ⅴ. 결 론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鄭)나라의 사람들이 '누가 자산(子産)을 죽일 것인가? 내가 그와 함께 하겠다'라고 노래했다. 3년이 지나 사람들이 다시 노래불러 그를 칭송했다. 대개 일의 시작에 나도 열심히 하고 남도 견디기가 어려우나, 오래도록 사리(事理)에 합당하고 인심(人心)을 따르면, 여기에 바야흐로 쉬워진다. 이것은 '이(利)는 의(義)의 조화(調和)'라고 한 것과 같다. 의(義)는 물사(物事)를 재단하는 것이니, 불화(不和)와 흡사한 것이다. 오래도록 일이 마땅함을 얻으면 바로 화(和)가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만물(萬物)이 가을에 이르면 많은 엄한 추살의 기(氣)를 두려워할 만하다. 그러나 만물(萬物)이 여기에 이르렀다 하더라도 만약 이 기(氣)가 많은 생의(生意)를 수렴(收斂)하고 응결(凝結)하지 못하면 성취할 것이 없다. 그 어렵다는 것이 곧 쉬움이 되는 까닭[所以]이다."
) 『어류』, 권76, 繫辭, p.1953, 82.
여기서 보이듯 주자
- 203 -
는 자산(子産)이 처음에 義를 강조하는 정치를 하였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의 원성을 샀지만, 최종적으로 義가 실현되는 세상이 되어 가면서 점점 調和롭게 되어 그 결과로서 利가 실현되었다고 말한다. 나라를 부유케 하고 백성을 부유하게 하는 公利에 이르는 문제에 대해서 공자도 또한 다시 수용하고자 하니, 다시 衛에 가서 그 백성이 많은 것을 보고 부유케 할 것을 주장한 것이 그 실례이다. 즉 道義를 통해서 利를 획득해야 한다고 말한다. 이것은 넓게는 國家功利主義로 연결된다. 아울러 利의 실현 즉 국가, 우주의 利도 義를 통해 가능하다
) 『주역』의 乾卦의 「문언전」에서는 "乾道가 變化하여 각각 삶[性命]을 바르게 하고 沖和의 氣를 보살피고 화합하니, 바로 바르면 이롭다[利貞]는 것을 말한다. '萬國이 각각 자리를 잡아 모두 평안하다는 것은 마치 萬物이 각각 性命 을 받아 바루고 沖和 의 기[太和]를 보살피고 화합[保合]하는 것과 같다. 이것은 聖人에 있어서의 利貞을 말했다."고 하여 利의 우주적인 실현을 말한다.
고 말한다.
결국 주자는 義利에 관한 전통적인 입장에서는 利를 부정하다가, 義利와 陰陽論과의 관계를 설명하면서는 利를 반정도 긍정하다가, 義利와 元亨利貞관의 관계를 설명하면서는 義의 극치로서의 利를 말하고 있다.
요컨대 주자는 利는 貞과 義와 같은 윤리적인 원인을 성립근거로 갖는다. 이것은 『주역』의 「계사전」에서 "대개 『역(易)』은 성인(聖人)이 덕(德)을 높이는 것을 인해서 사업[業]을 넓히게 한 것이다.[夫『易』, 聖人所以崇德而廣業也]"는 취지에 부합하는 것이다. 利는 도덕을 수양을 한 뒤에 얻어지는 것으로 파악한다.
Ⅴ. 결 론
주자는 利를 이해함으로서 그
- 204 -
의 역학을 완성한다. 주자의 『주역』에 나타난 利에 관한 이론을 다음과 같은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을 것 같다. 첫째, 주자에 따르면 利는 『주역』의 「本經」에서는 占辭로 十翼에서는 변화의 결과물로 이해되었다고 본다. 그래서 『주역』은 「本經」을 보면 점치는 책이고, 그 이유는 『주역』에 나타난 많은 利가 그 증거이며, 「十翼」을 보면 義理書이고, 이 이유는 利를 의리적으로 해석한 것이 증거라고 말한다. 둘째, 주자는 利라고 말하게 된 이유가 陰爻일 경우와 陰이 陽位에 있을 경우와 陰이 中에 자리할 경우에 주로 말해진다고 본다. 셋째, 주자는 義利에 관한 전통적인 입장에서는 利를 부정하며, 利貞을 설명하면서는 貞이 근거가 된다는 것을 밝이며, 義利와 陰陽論과의 관계를 설명하면서는 利를 부정하기도 하고 긍정하기도 하다가, 義利와 元亨利貞관의 관계를 설명하면서는 義의 극치로서의 利를 말하고 있다. 특히 주자는 利는 貞과 義와 같은 윤리적인 개념과 함께 이해되어 상호 대립적인 것이 아니고 상호 보완적인 관계에 놓인다고 본다. 즉 그 방법으로 先義後利 혹은 義利調和의 경우를 통해서 利를 극대화 할 수 있다고 보았다. 道義를 통해서 利를 획득해야 한다고 말한다. 이것은 넓게는 國家功利主義로 연결된다.
그렇다면 주자의 利에 관한 연구는 현대인의 삶에 있어서도 하나의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바로 '어떻게 사는 것이 현명하게 사는가?'에 대한 새로운 대안이 되기 때문이다. 바로 올바른 利를 추구하는 삶이 바로 義을 체인(體認)하는 것이기 때문에, 바른 利를 추구하여 義를 실천하고 사랑[仁]을 베푸는 삶으로 연결될 것이다. 아마도 올바른 『주역』의 利의 이해를 통해 보다 진보된 자본주의와 민주주의 실현에 도움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참 고 문 헌
朱熹, 『朱子大全』. (台北, 中華書局, 1985.)
朱熹, 『朱子語類』. 黎靖德. (台北, 中華書局
- 205 -
, 1986.)
朱熹, 『原本周易本義』,권12. 四庫全書, 권11. (臺灣, 商務印書館)
程 , 『二程全書』, (臺灣中華書局,1976.)
程 , 『易程傳』, (文津出版社, 1987.)
高亨, 『中國古經通說』, (台北, 華正書局股盼有限公司,1977.)
今井宇三郞, 『宋代易學의 硏究』. (東京, 明治圖書出版株式會社, 1976.)
白壽彛, 『朱子對于易學的貢獻』, (北平晨報思辨,1936.)
范壽康, 『朱熹及其哲學』, (台北, 中華書局出版, 1964.)
山根山芳, 『朱子倫理思想硏究』, (東京,東海大學出版會, 1983.)
楊天石, 『朱熹及其哲學』, (北京, 中華書局出版, 1982.)
劉述先, 『朱子哲學思想的發展與完成』, (台北, 學生書局, 1982.)
林尹等 編著, 『易經硏究論集』, 1981.
張立文, 『朱熹思想硏究』, (北京,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87.)
朱伯崑 ,『易學哲學史』, (北京大學出版社.1988.)
曾春海, 『朱子易學探微』, (台北, 輔仁大學出版社,1983.)
陳來, 『朱熹哲學硏究』, (北京,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87.)
陳榮捷, 『朱學論集』, (台北, 學生書局, 1982.)
黃壽棋.張善文編著, 『周易硏究論文集』 1집, 2집, 3집(北京師範大學出版社,1987. 1988).
Benjamin Schwartz, 『The World of Thought Ancient China』, Harvard, 1985. (나성옮김, 『중국고대사상의 세계』, 살림, 1996.)
) 『어류』, 권76, 繫辭, p.1953, 82.
여기서 보이듯 주자
- 203 -
는 자산(子産)이 처음에 義를 강조하는 정치를 하였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의 원성을 샀지만, 최종적으로 義가 실현되는 세상이 되어 가면서 점점 調和롭게 되어 그 결과로서 利가 실현되었다고 말한다. 나라를 부유케 하고 백성을 부유하게 하는 公利에 이르는 문제에 대해서 공자도 또한 다시 수용하고자 하니, 다시 衛에 가서 그 백성이 많은 것을 보고 부유케 할 것을 주장한 것이 그 실례이다. 즉 道義를 통해서 利를 획득해야 한다고 말한다. 이것은 넓게는 國家功利主義로 연결된다. 아울러 利의 실현 즉 국가, 우주의 利도 義를 통해 가능하다
) 『주역』의 乾卦의 「문언전」에서는 "乾道가 變化하여 각각 삶[性命]을 바르게 하고 沖和의 氣를 보살피고 화합하니, 바로 바르면 이롭다[利貞]는 것을 말한다. '萬國이 각각 자리를 잡아 모두 평안하다는 것은 마치 萬物이 각각 性命 을 받아 바루고 沖和 의 기[太和]를 보살피고 화합[保合]하는 것과 같다. 이것은 聖人에 있어서의 利貞을 말했다."고 하여 利의 우주적인 실현을 말한다.
고 말한다.
결국 주자는 義利에 관한 전통적인 입장에서는 利를 부정하다가, 義利와 陰陽論과의 관계를 설명하면서는 利를 반정도 긍정하다가, 義利와 元亨利貞관의 관계를 설명하면서는 義의 극치로서의 利를 말하고 있다.
요컨대 주자는 利는 貞과 義와 같은 윤리적인 원인을 성립근거로 갖는다. 이것은 『주역』의 「계사전」에서 "대개 『역(易)』은 성인(聖人)이 덕(德)을 높이는 것을 인해서 사업[業]을 넓히게 한 것이다.[夫『易』, 聖人所以崇德而廣業也]"는 취지에 부합하는 것이다. 利는 도덕을 수양을 한 뒤에 얻어지는 것으로 파악한다.
Ⅴ. 결 론
주자는 利를 이해함으로서 그
- 204 -
의 역학을 완성한다. 주자의 『주역』에 나타난 利에 관한 이론을 다음과 같은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을 것 같다. 첫째, 주자에 따르면 利는 『주역』의 「本經」에서는 占辭로 十翼에서는 변화의 결과물로 이해되었다고 본다. 그래서 『주역』은 「本經」을 보면 점치는 책이고, 그 이유는 『주역』에 나타난 많은 利가 그 증거이며, 「十翼」을 보면 義理書이고, 이 이유는 利를 의리적으로 해석한 것이 증거라고 말한다. 둘째, 주자는 利라고 말하게 된 이유가 陰爻일 경우와 陰이 陽位에 있을 경우와 陰이 中에 자리할 경우에 주로 말해진다고 본다. 셋째, 주자는 義利에 관한 전통적인 입장에서는 利를 부정하며, 利貞을 설명하면서는 貞이 근거가 된다는 것을 밝이며, 義利와 陰陽論과의 관계를 설명하면서는 利를 부정하기도 하고 긍정하기도 하다가, 義利와 元亨利貞관의 관계를 설명하면서는 義의 극치로서의 利를 말하고 있다. 특히 주자는 利는 貞과 義와 같은 윤리적인 개념과 함께 이해되어 상호 대립적인 것이 아니고 상호 보완적인 관계에 놓인다고 본다. 즉 그 방법으로 先義後利 혹은 義利調和의 경우를 통해서 利를 극대화 할 수 있다고 보았다. 道義를 통해서 利를 획득해야 한다고 말한다. 이것은 넓게는 國家功利主義로 연결된다.
그렇다면 주자의 利에 관한 연구는 현대인의 삶에 있어서도 하나의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바로 '어떻게 사는 것이 현명하게 사는가?'에 대한 새로운 대안이 되기 때문이다. 바로 올바른 利를 추구하는 삶이 바로 義을 체인(體認)하는 것이기 때문에, 바른 利를 추구하여 義를 실천하고 사랑[仁]을 베푸는 삶으로 연결될 것이다. 아마도 올바른 『주역』의 利의 이해를 통해 보다 진보된 자본주의와 민주주의 실현에 도움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참 고 문 헌
朱熹, 『朱子大全』. (台北, 中華書局, 1985.)
朱熹, 『朱子語類』. 黎靖德. (台北, 中華書局
- 205 -
, 1986.)
朱熹, 『原本周易本義』,권12. 四庫全書, 권11. (臺灣, 商務印書館)
程 , 『二程全書』, (臺灣中華書局,1976.)
程 , 『易程傳』, (文津出版社, 1987.)
高亨, 『中國古經通說』, (台北, 華正書局股盼有限公司,1977.)
今井宇三郞, 『宋代易學의 硏究』. (東京, 明治圖書出版株式會社, 1976.)
白壽彛, 『朱子對于易學的貢獻』, (北平晨報思辨,1936.)
范壽康, 『朱熹及其哲學』, (台北, 中華書局出版, 1964.)
山根山芳, 『朱子倫理思想硏究』, (東京,東海大學出版會, 1983.)
楊天石, 『朱熹及其哲學』, (北京, 中華書局出版, 1982.)
劉述先, 『朱子哲學思想的發展與完成』, (台北, 學生書局, 1982.)
林尹等 編著, 『易經硏究論集』, 1981.
張立文, 『朱熹思想硏究』, (北京,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87.)
朱伯崑 ,『易學哲學史』, (北京大學出版社.1988.)
曾春海, 『朱子易學探微』, (台北, 輔仁大學出版社,1983.)
陳來, 『朱熹哲學硏究』, (北京,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87.)
陳榮捷, 『朱學論集』, (台北, 學生書局, 1982.)
黃壽棋.張善文編著, 『周易硏究論文集』 1집, 2집, 3집(北京師範大學出版社,1987. 1988).
Benjamin Schwartz, 『The World of Thought Ancient China』, Harvard, 1985. (나성옮김, 『중국고대사상의 세계』, 살림, 1996.)
추천자료
고려시대 국자감 중심 교육체제의 형성 과정
도산서원요감
남명사상 정리
문학의 어원과 그 특질
성리학의 역사와 전개과정
유교에 대하여
소니와 도요타. 혁신력의 차이.
일로 생긴 스트레스는 일로 푼다.(SK그룹 손길승회장)
신한의 경영전략-신한은행,신한금융지주회사,경영전략,경영분석,혁신,기업문화,고객만족,리더십
현대 자동차 싼타페 사례
[광고론]참이슬 처음처럼 광고분석
[경영과의사결정)현대자동차 기업분석(경영현황 및 핵심경쟁력) 및 향후전망 (A+리포트)
교육기자재(학습기기, 학습기자재) 소프트웨어, 비디오, 오디오, 교육기자재(학습기기, 학습...
롯데 자이언츠 (Lotte Gi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