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지식 기반 사회가 요구하는 인간상
Ⅱ. 지식 기반 사회의 교육의 방향
1. 변화에 적응하고 변화를 이끌어가야 한다.
2. 선택의 능력을 길러 주어야 한다.
Ⅲ. 맺으며
Ⅱ. 지식 기반 사회의 교육의 방향
1. 변화에 적응하고 변화를 이끌어가야 한다.
2. 선택의 능력을 길러 주어야 한다.
Ⅲ. 맺으며
본문내용
지 않는가?
나. 창조적 선택의 능력을 길러 주어야 한다.
미래 사회는 천재가 필요한 시대이다. 우리에게는 고시를 합격한 만 명의 두뇌보다 빌 게이츠 같은 한명이 더욱 희망적이다.
새로운 지식을 창조해야 살아남는 시대가 되었다. 더 이상 지식 습득만으로 살아갈 수 있는 고시 시대도 아니고, 자본으로 결정하는 자본 시대도 아니다. 오직 신지식을 창조할 수 있는 두뇌가 사회를 지배하는 사회이다.
신기술을 창조할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자본투자의 타당성을 검토하러 한국을 방문했던 어느 외국 자본가가 한국 투자 계획을 취소하는 이유로 "미국의 스탠퍼드대학이나 버클리대학 주변에는 고도의 반도체와 전자 산업이 밀집된 실리콘 벨리(Silicon Valley)가 자리하고 있는데 비해 서울대학교 주변에는 고시촌만 즐비하기 때문"이라는 코멘트를 남긴 일이 있다.
세계 패션의 도시로 과거의 프랑스 파리에서 지금은 이태리 북부의 밀라노가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이 레지오 에밀리아라는 유아 학교에서부터 시작된 창의력과 상상력 교육의 결과라는 것을 우리는 익히 알고 있지 않은가? 또한 빅토르 위고가 "미래를 창조하는 꿈보다 소중한 것은 없다"고 한 말도 우리는 기억해야 할 것이다.
다. 도덕적 선택의 능력을 길러 주어야 한다.
지식기반 사회와 국제화·세계화 시대를 맞아 우리는 남과 더불어 함께 살아가는 공동체 의식을 가지고 서로 협동하고 양보하고 이해하며, 질서의식이 체질화된, 더불어 살아가는 지혜를 갖춘 인간으로서의 능력을 길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초등학교 때부터 질서의식이 생활화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우리는 도덕적 선택의 능력에서 지식이나 기능보다는 태도를 더욱 중시하고 체험을 중시해야 하며, 모든 교육은 실시로 끝이 아니고 확인 점검하고 계속적인 반복 지도가 필요하며, 학생들의 실천의지를 북돋워 주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Ⅲ. 맺으며
새로운 지식 기반 사회를 맞아 존경하는 교직사회, 사명감을 발휘할 수 있는 교직사회로 탈바꿈하기 위해 우리 교육자들은 지식 정보화 교육에 필요한 신지식 습득에 게으르지 말아야 하고 지식의 공유에 힘쓰고 학생을 사랑하는 것이 최선의 교육이며, 학생의 장래를 끝까지 책임지려는 자세외 학생들에게 다양한 개성을 길러 주고, 창조적 지성을 계발하며, 덕성을 함양하려는 교육자 본연의 모습을 보여 주는 교육사상을 정립해 나갈 때 지식기반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교육이 이루어지리라 생각된다.
나. 창조적 선택의 능력을 길러 주어야 한다.
미래 사회는 천재가 필요한 시대이다. 우리에게는 고시를 합격한 만 명의 두뇌보다 빌 게이츠 같은 한명이 더욱 희망적이다.
새로운 지식을 창조해야 살아남는 시대가 되었다. 더 이상 지식 습득만으로 살아갈 수 있는 고시 시대도 아니고, 자본으로 결정하는 자본 시대도 아니다. 오직 신지식을 창조할 수 있는 두뇌가 사회를 지배하는 사회이다.
신기술을 창조할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자본투자의 타당성을 검토하러 한국을 방문했던 어느 외국 자본가가 한국 투자 계획을 취소하는 이유로 "미국의 스탠퍼드대학이나 버클리대학 주변에는 고도의 반도체와 전자 산업이 밀집된 실리콘 벨리(Silicon Valley)가 자리하고 있는데 비해 서울대학교 주변에는 고시촌만 즐비하기 때문"이라는 코멘트를 남긴 일이 있다.
세계 패션의 도시로 과거의 프랑스 파리에서 지금은 이태리 북부의 밀라노가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이 레지오 에밀리아라는 유아 학교에서부터 시작된 창의력과 상상력 교육의 결과라는 것을 우리는 익히 알고 있지 않은가? 또한 빅토르 위고가 "미래를 창조하는 꿈보다 소중한 것은 없다"고 한 말도 우리는 기억해야 할 것이다.
다. 도덕적 선택의 능력을 길러 주어야 한다.
지식기반 사회와 국제화·세계화 시대를 맞아 우리는 남과 더불어 함께 살아가는 공동체 의식을 가지고 서로 협동하고 양보하고 이해하며, 질서의식이 체질화된, 더불어 살아가는 지혜를 갖춘 인간으로서의 능력을 길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초등학교 때부터 질서의식이 생활화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우리는 도덕적 선택의 능력에서 지식이나 기능보다는 태도를 더욱 중시하고 체험을 중시해야 하며, 모든 교육은 실시로 끝이 아니고 확인 점검하고 계속적인 반복 지도가 필요하며, 학생들의 실천의지를 북돋워 주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Ⅲ. 맺으며
새로운 지식 기반 사회를 맞아 존경하는 교직사회, 사명감을 발휘할 수 있는 교직사회로 탈바꿈하기 위해 우리 교육자들은 지식 정보화 교육에 필요한 신지식 습득에 게으르지 말아야 하고 지식의 공유에 힘쓰고 학생을 사랑하는 것이 최선의 교육이며, 학생의 장래를 끝까지 책임지려는 자세외 학생들에게 다양한 개성을 길러 주고, 창조적 지성을 계발하며, 덕성을 함양하려는 교육자 본연의 모습을 보여 주는 교육사상을 정립해 나갈 때 지식기반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교육이 이루어지리라 생각된다.
키워드
추천자료
학교교육과 성인교육의 차이점과 성인교육이 나아갈 방향
학교교육과 성인교육의 차이점과 성인교육이 나아갈 방향
[통일교육][학교통일교육][남북통일][남북관계][독일통일][독일][통일]통일교육의 원리, 통일...
[통일교육][학교통일교육]통일교육의 기본목표, 통일교육의 필요성, 통일교육의 지도 원칙과 ...
[통일교육][학교통일교육][남북통일][한반도통일][통일][북한]통일교육의 목표, 통일교육의 ...
[초등학교교육]초등학교의 학급부서활동, 초등학교의 학급어린이회활동, 초등학교의 전교어린...
[학교][학교교육][학교문화]학교의 역할, 학교의 사회적 구조, 학교의 붕괴, 학교의 안전관리...
[학교평가][학교평가 방법][외국 학교평가 사례][학교교육]학교평가의 배경, 학교평가의 필요...
[좋은 수업][수업][공교육][학교교육][교육과정][교사역할][교육]좋은수업의 개념, 좋은수업...
[교육과정][학교교육과정][교육정책][교육제도]교육과정의 의의,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 교육...
[교육과정][학교교육과정][학교교육]교육과정의 개념, 교육과정의 성격, 교육과정의 편제, 교...
한국교육(한국의 교육)의 발전, 한국교육(한국의 교육)의 지배이념, 한국교육(한국의 교육)의...
[성교육][학교성교육][성교육 교사역할][미국 성교육 사례][성교육 개선방안]성교육의 목적, ...
학교는 자본주의 경제구조의 재생산도구,평등한 교육기회,학교교육에 대한 비판,학교교육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