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위성방송의 개념과 특징
3. 위성방송의 실시에 따른 정치적 영향과 효과
4. 위성방송 실시에 따른 경제적 영향
5. 결론
2. 위성방송의 개념과 특징
3. 위성방송의 실시에 따른 정치적 영향과 효과
4. 위성방송 실시에 따른 경제적 영향
5. 결론
본문내용
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더욱이 디지털 다채널 시대를 맞아 방송이 멀티미디어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러한 다채널의 실현에는 거액의 투자를 필요로 하고 있다. 따라서 디지털 위성방송은 거대 방송기업으로 변하고 있는데, 예를들어 1996년 7월 마이크로쇼프트사와 NBC가 공동으로 MSNBC를 설립하고 위성방송 DirecTV와 제휴하여 영상제작산업에 진출한 것이나 1998년 6월 AT&T와 미국 제2의 케이블 TV 사업자인 TCI의 합병 등이 대표적인 사례들이다. 특히 미국은 1996년 통신법을 개정 공중파 방송의 숫적 소유제한을 폐지하고 소유제한 방식을 전국 시청율로 하여 소유한계를 전국 시청 점유율 35%로 완화하였다. 이것은 결국 미디어 기업의 거대화를 부추키고 있다.
4) 해외 시장 개척에 활용
디지털 위성방송의 특징 중의 하나는 컨텐츠와 네트워크의 부가가치를 높여 여러 부문에 사용할 수 있는 "멀티유스 마케팅"(Multi-use Marketing) 기능일 것이다. 다시말해 동남아시아의 위성시장을 개발하고 동남아 지역의 상품시장 개발에 위성방송은 보다 적절히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기업위성통신망이라고 불리우는 VSAT (Very Small Aperture Terminal)를 활용, 각종 기업 홍보는 물론 체인망이나 판매망 등 폭넓은 산업활동에 활용될 것이다. 특히 다국적 기업에서 사내 TV방송의 필요성은 점차 증가되고 있으며 직원교육이나 화상회의 등과 같은 통신서비스로도 활용이 예상되고 있다.
5) 남북한 경제교류 및 협력 네트워크로 활용
남북한의 관광 및 스포츠 교류가 확대되고 있고 또 경제 교류도 조만간 가시적인 성과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서 위성방송시스템은 남북한 경제교류 및 협력 네트워크로 활용될 가능성은 무척 크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남북 스포츠 교류나 2002년 월드컵 축구대회의 남북한 동시 개최 등은 위성방송의 가능성을 더욱 높여 주고 있다.
5. 요약 및 결론
최근 우리사회는 통합방송법의 제정과 호주출신 언론재벌 머독(Murdok)의 우리나라 위성방송 참여문제 그리고 무궁화 제3호 위성의 발사와 함께 위성방송이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위성방송은 통신위성이나 방송위성을 통해 전달되는 초 다채널 방송을 의미하는데, 위성방송은 그 특성상 방송의 국제화와 세계화를 촉진하며 국경을 초월하여 정보의 교류를 가능케한다는 점에서 그리고 디지털기술과 결합하여 초다채널 방송을 가능케 하고 또 고품위방송(HDTV) 시대를 열어 준다는 점에서 최첨단 뉴미디어로 간주되고 있다.
한편 위성방송의 실시와 함께 예상되는 정치적 변화들은 우선 위성방송이 가져올 초다채널 방송시대와 함께 방송에 대한 정치적 영향력이 약화될 것이며 또 방송의 정치적 독립성도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정치에 대한 방송의 영향력은 여전히 막강한 힘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뿐만아니라 초다채널의 위성방송을 통하여 방송시청자들의 안목이 높아지고 가치관이 국제화되어감에 따라 점차 우리의 안방 정치도 국제적 안목과 관행을 따르는 정치로 바뀌어가면서 정치발전을 도모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위성방송을 통한 남북한의 치열한 정치선전 및 홍보전이 예상되고 있으며 정보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으로 야기되는 정치적 갈등문제를 해결하는데도 위성방송은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우리의 전통문화 보존이나 문화적 종속 문제를 더욱 심화시킬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서 정보제국주의에 대한 정치적 논란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어떻든 우리 사회의 방송정책에서 가장 핵심적인 문제인 방송의 정치적 독립 문제는 위성방송의 실시와 함께 나타난 방송의 다채널화 현상과 방송시장의 개방 등으로 점차 해결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특히 통합방송법에서 방송위원회의 권한 강화는 방송에 대한 정치적 영향력을 더욱 축소할 것으로 보인다.
다른 한편으로 위성방송의 실시는 경제적으로도 여러 가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데 가장 큰 논점은 위성방송이 IMF관리체제 이후 침체된 우리 경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냐는 것이다. 위성방송은 연관산업을 활성화시키고 고용을 증대시키며 실업이 감소할 것이라는 낙관론과 위성방송의 실시는 오히려 디지털 장비와 외국 프로그램에 대한 외국 수입 의존도를 높여 외화낭비와 무역의 역조를 초래할 것이라는 비관론으로 맞서고 있다. 하지만 국내 제조업체들에 의한 핵심 부품들이 어느정도 개발되었다는 점에서 그리고 내년부터 공중파 방송의 디지털 실험방송이 실시될 예정이고 이어 2001년부터는 본격적인 디지털 방송이 실시될 예정이라는 점에서 디지털 위성방송 장비와 프로그램의 외국 수입에 따른 외화낭비와 무역역조는 피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비관론적 정책은 개방되고 세계화된 경제체제에서는 맞지 않으며, 오히려 공격적인 개방과 프로그램 개발로 무한경쟁의 시대에 대비해야 한다는 낙관론의 목소리가 보다 더 설득력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뿐만아니라 위성방송은 복수국가간 또는 전국적인 방송망 구축으로 규모의 경제 효과가 있으며 또 초 다채널과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들의 동시 제공으로 위성방송은 풀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축하므로서 미디어 산업의 시너지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또 위성방송은 방송의 광역화와 초국경화 경향으로 기업들의 해외시장 개척에 활용될 것이며 특히 남북한 경제교류 및 경제협력 네트워크로 활용될 가능성은 무척 큰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결국 저렴한 가격으로 방송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들을 제공하게 될 위성방송은 정보화시대 핵심 전략 산업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또 이러한 위성방송의 도입은 우리의 경제활성화와 정치문화를 높이는데도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위성방송은 우리 정치, 경제의 전반적인 변화와 발전에 있어서 하나의 핵심적인 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기능이 강화되고 고화질의 다채널 방송을 가능케 하는 디지털 위성방송은 방송의 통합을 가져 오면서 우리사회를 더욱 개방화시키고 세계화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이것은 결국 우리 정치와 경제를 세계속에 통합시키고 발전시키는 원동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디지털 다채널 시대를 맞아 방송이 멀티미디어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러한 다채널의 실현에는 거액의 투자를 필요로 하고 있다. 따라서 디지털 위성방송은 거대 방송기업으로 변하고 있는데, 예를들어 1996년 7월 마이크로쇼프트사와 NBC가 공동으로 MSNBC를 설립하고 위성방송 DirecTV와 제휴하여 영상제작산업에 진출한 것이나 1998년 6월 AT&T와 미국 제2의 케이블 TV 사업자인 TCI의 합병 등이 대표적인 사례들이다. 특히 미국은 1996년 통신법을 개정 공중파 방송의 숫적 소유제한을 폐지하고 소유제한 방식을 전국 시청율로 하여 소유한계를 전국 시청 점유율 35%로 완화하였다. 이것은 결국 미디어 기업의 거대화를 부추키고 있다.
4) 해외 시장 개척에 활용
디지털 위성방송의 특징 중의 하나는 컨텐츠와 네트워크의 부가가치를 높여 여러 부문에 사용할 수 있는 "멀티유스 마케팅"(Multi-use Marketing) 기능일 것이다. 다시말해 동남아시아의 위성시장을 개발하고 동남아 지역의 상품시장 개발에 위성방송은 보다 적절히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기업위성통신망이라고 불리우는 VSAT (Very Small Aperture Terminal)를 활용, 각종 기업 홍보는 물론 체인망이나 판매망 등 폭넓은 산업활동에 활용될 것이다. 특히 다국적 기업에서 사내 TV방송의 필요성은 점차 증가되고 있으며 직원교육이나 화상회의 등과 같은 통신서비스로도 활용이 예상되고 있다.
5) 남북한 경제교류 및 협력 네트워크로 활용
남북한의 관광 및 스포츠 교류가 확대되고 있고 또 경제 교류도 조만간 가시적인 성과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서 위성방송시스템은 남북한 경제교류 및 협력 네트워크로 활용될 가능성은 무척 크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남북 스포츠 교류나 2002년 월드컵 축구대회의 남북한 동시 개최 등은 위성방송의 가능성을 더욱 높여 주고 있다.
5. 요약 및 결론
최근 우리사회는 통합방송법의 제정과 호주출신 언론재벌 머독(Murdok)의 우리나라 위성방송 참여문제 그리고 무궁화 제3호 위성의 발사와 함께 위성방송이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위성방송은 통신위성이나 방송위성을 통해 전달되는 초 다채널 방송을 의미하는데, 위성방송은 그 특성상 방송의 국제화와 세계화를 촉진하며 국경을 초월하여 정보의 교류를 가능케한다는 점에서 그리고 디지털기술과 결합하여 초다채널 방송을 가능케 하고 또 고품위방송(HDTV) 시대를 열어 준다는 점에서 최첨단 뉴미디어로 간주되고 있다.
한편 위성방송의 실시와 함께 예상되는 정치적 변화들은 우선 위성방송이 가져올 초다채널 방송시대와 함께 방송에 대한 정치적 영향력이 약화될 것이며 또 방송의 정치적 독립성도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정치에 대한 방송의 영향력은 여전히 막강한 힘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뿐만아니라 초다채널의 위성방송을 통하여 방송시청자들의 안목이 높아지고 가치관이 국제화되어감에 따라 점차 우리의 안방 정치도 국제적 안목과 관행을 따르는 정치로 바뀌어가면서 정치발전을 도모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위성방송을 통한 남북한의 치열한 정치선전 및 홍보전이 예상되고 있으며 정보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으로 야기되는 정치적 갈등문제를 해결하는데도 위성방송은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우리의 전통문화 보존이나 문화적 종속 문제를 더욱 심화시킬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서 정보제국주의에 대한 정치적 논란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어떻든 우리 사회의 방송정책에서 가장 핵심적인 문제인 방송의 정치적 독립 문제는 위성방송의 실시와 함께 나타난 방송의 다채널화 현상과 방송시장의 개방 등으로 점차 해결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특히 통합방송법에서 방송위원회의 권한 강화는 방송에 대한 정치적 영향력을 더욱 축소할 것으로 보인다.
다른 한편으로 위성방송의 실시는 경제적으로도 여러 가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데 가장 큰 논점은 위성방송이 IMF관리체제 이후 침체된 우리 경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냐는 것이다. 위성방송은 연관산업을 활성화시키고 고용을 증대시키며 실업이 감소할 것이라는 낙관론과 위성방송의 실시는 오히려 디지털 장비와 외국 프로그램에 대한 외국 수입 의존도를 높여 외화낭비와 무역의 역조를 초래할 것이라는 비관론으로 맞서고 있다. 하지만 국내 제조업체들에 의한 핵심 부품들이 어느정도 개발되었다는 점에서 그리고 내년부터 공중파 방송의 디지털 실험방송이 실시될 예정이고 이어 2001년부터는 본격적인 디지털 방송이 실시될 예정이라는 점에서 디지털 위성방송 장비와 프로그램의 외국 수입에 따른 외화낭비와 무역역조는 피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비관론적 정책은 개방되고 세계화된 경제체제에서는 맞지 않으며, 오히려 공격적인 개방과 프로그램 개발로 무한경쟁의 시대에 대비해야 한다는 낙관론의 목소리가 보다 더 설득력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뿐만아니라 위성방송은 복수국가간 또는 전국적인 방송망 구축으로 규모의 경제 효과가 있으며 또 초 다채널과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들의 동시 제공으로 위성방송은 풀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축하므로서 미디어 산업의 시너지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또 위성방송은 방송의 광역화와 초국경화 경향으로 기업들의 해외시장 개척에 활용될 것이며 특히 남북한 경제교류 및 경제협력 네트워크로 활용될 가능성은 무척 큰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결국 저렴한 가격으로 방송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들을 제공하게 될 위성방송은 정보화시대 핵심 전략 산업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또 이러한 위성방송의 도입은 우리의 경제활성화와 정치문화를 높이는데도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위성방송은 우리 정치, 경제의 전반적인 변화와 발전에 있어서 하나의 핵심적인 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기능이 강화되고 고화질의 다채널 방송을 가능케 하는 디지털 위성방송은 방송의 통합을 가져 오면서 우리사회를 더욱 개방화시키고 세계화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이것은 결국 우리 정치와 경제를 세계속에 통합시키고 발전시키는 원동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추천자료
[지역방송]지역방송(지역방송정책)의 현황, 지역방송(지역방송정책)의 쟁점과 지역방송(지역...
[방송환경][방송이념][방송체제][방송정책][방송산업]방송환경 변화에 따른 방송이념, 방송체...
[지역방송][지역방송편성][지역방송프로그램][지역방송 경쟁력 강화 방안]지역방송의 시장구...
[방송정책][방송프로그램][방송환경][방송]방송환경의 변화에 따른 방송정책, 방송프로그램의...
[방송][방송이념][방송환경][방송산업][방송프로그램][방송정책]방송이념과 방송환경의 변화...
[지역방송][지역방송정책][지역방송프로그램][지역방송편성][방송환경][방송]지역방송의 환경...
[지역방송][방송환경][지역방송프로그램][지역방송정책][방송][방송환경변화][방송프로그램]...
[지역방송][지역방송프로그램][지역방송환경][지역방송정책]지역방송의 시장구조변화, 지역방...
[방송][통신][다매체][다채널][유료방송][PPV][방송환경]방송과 통신의 융합, 다매체간 상호...
[방송][방송 역사적 전개][공영방송 KBS의 개혁][교육방송 EBS의 개혁][지역방송 ITV의 개혁]...
[공영방송][KBS][MBC][EBS][공익성][공영방송개혁]공영방송(KBS, MBC, EBS) 구조, 공영방송(K...
[방송환경][방송제도][프랑스][독일][일본][중국][북한]프랑스방송환경(프랑스방송제도), 독...
[북한방송보도][북한방송보도와 남한 대북방송보도]북한방송보도의 특징, 북한방송보도의 철...
[EBS교육방송][EBS][교육방송] EBS교육방송의 정의, EBS교육방송의 효율성, EBS교육방송의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