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장 신경외과학의 역사
제 2장 신경학적 검사
제 3장 보조진단법
제 4장 두개강 내압 항진
제 5장 두개강내 종양
제 6장 척수종양
제 7장 뇌혈관 질환
제 8장 척수혈관 질환
제 9장 두부외상
제10장 척수 및 척추 손상
제11장 양성 척추 질환
제12장 말초신경 손상 및 질환
제13장 감 염
제14장 수두증
제15장 중추신경계의 기형
제16장 정위 및 기능 신경외과학
제17장 신경외과 영역에서의 방사선 치료
제18장 혈관내 수술
학습목표 (1994년 판) 분석표
학습목표 (2000년 판) 분석표
제 2장 신경학적 검사
제 3장 보조진단법
제 4장 두개강 내압 항진
제 5장 두개강내 종양
제 6장 척수종양
제 7장 뇌혈관 질환
제 8장 척수혈관 질환
제 9장 두부외상
제10장 척수 및 척추 손상
제11장 양성 척추 질환
제12장 말초신경 손상 및 질환
제13장 감 염
제14장 수두증
제15장 중추신경계의 기형
제16장 정위 및 기능 신경외과학
제17장 신경외과 영역에서의 방사선 치료
제18장 혈관내 수술
학습목표 (1994년 판) 분석표
학습목표 (2000년 판) 분석표
본문내용
n의 정의와 동반질환을 설명한다.(B)
5. 수막척수류(meningomyelocele)의 호발부위, 증상을 기술한다.(A)
6. 선천성 피부동(congenital dermal sinus) 및 척수 이열증(diastematomyelia)의 정의를 기술한다.(B)
7. Tethered cord syndrome의 원인과 증상을 기술한다.(B)
8. 두개 유합증(craniosynostosis)의 정의와 호발부위를 설명하고 각 종류별 임상적 특징을 설명한다.(A)
9. 두개저 함입증에 대하여 설명한다.(B) (신설)
【실 습】
1. 지주막낭종(arachnoid cyst)의 임상증상, Brain CT소견을 설명한다.(B)
2. 척수유합부전증(spinal dysraphism)을 분류하고 특징소견을 도시한다.(B)
3. 잠재성 이분척추(spina bifida occulta)의 피부 이상소견을 열거한다.(A)
4. 수막류, 수막척수류, 요천추부지방종, Tethered cord syndrome의 감별진단을 설명한다.(B)
5. 두개유합증(craniosynostosis)의 종류별 임상특징 및 두개골 단순 X선 소견을 설명한다.(A)
제 16 장 정위 및 기능 신경외과학
제 1 절 정위수술
학
습
목
적
정위수술의 기본개념과 적용분야를 이해한다.
학
습
목
표
정위수술의 기본 원리 및 적응증을 설명한다.(A)
【실 습】
1. 정위수술 준비에 참여한다.(A) (B⇒A)
2. 비기능 정위수술(조직생검, 뇌내혈종제거 등)에 참여한다.(A) (B⇒A)
제 2 절 기능수술
학
습
목
적
신경계 기능성 질환의 수술적 치료를 이해한다.
학
습
목
표
1. 통증의 기전에 따른 분류를 설명한다.(A)
2. 각 통증(침해수용성, 신경병성, 암성)별 수술방법을 열거한다.(B) (신설)
3. 삼차신경통의 진단 및 치료를 설명한다.(A) (신설)
4. 파킨슨씨병의 기전 및 증상, 치료를 설명한다.(A)
5. 간질수술의 방법(진단적, 치료적)을 설명한다.(B)
6. 안면경련의 치료를 설명한다.(A) (신설)
【실 습】
1. 통증치료의 주사요법 및 수술에 참여한다.(A) (신설)
2. 삼차신경통 및 안면경련의 수술에 참여한다.(A) (신설)
3. 파킨슨씨병 환자의 진단, 치료에 참여한다.(A) (신설)
4. 간질수술에 참여한다.(B) (신설)
제 17 장 신경외과 영역에서의 방사선 치료 (신설)
학
습
목
적
중추신경계 질환에 대한 방사선치료를 이해할 수 있다.
학
습
목
표
1. 신경외과 영역에서의 방사선치료 종류를 열거한다.(A) (신설)
2. 통상적 방사선치료의 적응증을 설명한다.(A) (신설)
3. 방사선치료의 합병증을 설명한다.(B) (신설)
4. 뇌정위 방사선 수술의 개념 및 적응증을 설명한다.(A) (신설)
【실 습】
1. 방사선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의 임상결과를 관찰한다.(A) (신설)
2. 뇌정위 방사선수술의 시술과정에 참여한다.(B) (신설)
제 18 장 신경외과 질환의 혈관내 수술 (신설)
학
습
목
적
혈관내 치료법에 대한 적응증과 방법을 이해하도록 한다.
학
습
목
표
1. 혈관내 수술의 목적을 설명한다.(B) (신설)
2. 혈관내 수술의 적응질환을 열거한다.(A) (신설)
3. 혈관내 수술을 시행할 때 쓸 수 있는 재료를 열거한다.(B) (신설)
【실 습】
1. 뇌동맥류와 혈관 연축의 혈관내 수술 방법을 설명한다.(A) (신설)
2. 뇌동정맥기형에서의 혈관내 수술에 대하여 설명한다.(B) (신설)
3. 혈전용해요법과 혈관확장술에 대해 설명한다.(B) (신설)
신경외과학 학습목표 (1994년판) 분석표
교 과 요 목
교 육 시 간
학습목표 문항수
강의
실습
계
A
B
계
1. 총론 및 신경학적 검사
2
2
4
13
12
25
2. 보조 진단법
3
4
7
19
17
36
3. 두개강내압 항진
2
2
4
10
7
17
4. 신경외과 환자관리
2
3
5
11
10
21
5. 두개강내 종양
6
7
13
28
29
57
6. 척수종양
2
2
4
9
6
15
7. 뇌혈관 질환
5
6
11
18
20
38
8. 두부 외상
4
4
8
18
13
31
9. 척수손상
2
3
5
9
7
16
10. 척추간판 탈출증
1
2
3
7
6
13
11. 말초신경 손상
1
2
3
7
6
13
12. 중추신경계 감염
2
2
4
12
5
17
13. 중추신경계 선천성 기형 및 후천성 기형
2
4
6
10
10
20
14. 동통 외과
1
1
2
5
4
9
15. 기능적 및 뇌정위적 신경외과학
2
2
4
8
9
17
계
37
46
83
184
161
345
신경외과학 학습목표 (2000년판) 분석표
교 과 요 목
교육시간
개정후 문항수
강의
실습
계
A
B
합계
기존
B
⇒
신설
계
기존
A
→
신설
계
1. 신경외과학의 역사
1
1
2
2
2
2. 신경외과학의 검사
2
2
4
11
1
12
10
10
22
3. 보조진단법
3
4
7
13
4
17
9
1
6
16
33
4. 두개강내압 항진과 뇌혈류
2
1
3
3
2
2
7
2
2
4
11
5. 구개강내 종양
6
2
8
17
6
4
27
13
2
15
43
6. 척수종양
2
1
3
5
5
3
2
5
10
7. 뇌혈관 질환
6
2
8
16
4
20
18
1
1
20
40
8. 척수혈관 질환 (신설)
1
1
2
4
4
2
2
6
9. 두부외상
4
1
5
7
11
18
2
3
5
23
10. 척수 및 척수 손상
2
1
3
5
1
4
10
1
1
11
11. 양성 척수질환
2
1
3
4
2
1
7
2
2
3
7
14
12. 말초신경 손상 및 질환
1
1
2
4
2
6
1
2
3
9
13. 감 염
1
1
2
5
1
6
3
3
9
14. 수두증
1
1
2
6
6
2
1
3
9
15. 중추신경계의 선천성 및 후천성 기형
2
1
3
4
1
1
6
6
1
1
8
14
16. 정위 및 기능 신경외과학
2
1
3
3
2
5
10
1
2
3
13
17. 신경외과 영역에서의 방사선치료 (신설)
1
1
2
4
4
2
2
6
18. 신경외과 질환의 혈관내 수술 (신설)
1
1
2
2
2
4
4
6
계
40
23
63
103
14
52
169
70
6
35
111
281
5. 수막척수류(meningomyelocele)의 호발부위, 증상을 기술한다.(A)
6. 선천성 피부동(congenital dermal sinus) 및 척수 이열증(diastematomyelia)의 정의를 기술한다.(B)
7. Tethered cord syndrome의 원인과 증상을 기술한다.(B)
8. 두개 유합증(craniosynostosis)의 정의와 호발부위를 설명하고 각 종류별 임상적 특징을 설명한다.(A)
9. 두개저 함입증에 대하여 설명한다.(B) (신설)
【실 습】
1. 지주막낭종(arachnoid cyst)의 임상증상, Brain CT소견을 설명한다.(B)
2. 척수유합부전증(spinal dysraphism)을 분류하고 특징소견을 도시한다.(B)
3. 잠재성 이분척추(spina bifida occulta)의 피부 이상소견을 열거한다.(A)
4. 수막류, 수막척수류, 요천추부지방종, Tethered cord syndrome의 감별진단을 설명한다.(B)
5. 두개유합증(craniosynostosis)의 종류별 임상특징 및 두개골 단순 X선 소견을 설명한다.(A)
제 16 장 정위 및 기능 신경외과학
제 1 절 정위수술
학
습
목
적
정위수술의 기본개념과 적용분야를 이해한다.
학
습
목
표
정위수술의 기본 원리 및 적응증을 설명한다.(A)
【실 습】
1. 정위수술 준비에 참여한다.(A) (B⇒A)
2. 비기능 정위수술(조직생검, 뇌내혈종제거 등)에 참여한다.(A) (B⇒A)
제 2 절 기능수술
학
습
목
적
신경계 기능성 질환의 수술적 치료를 이해한다.
학
습
목
표
1. 통증의 기전에 따른 분류를 설명한다.(A)
2. 각 통증(침해수용성, 신경병성, 암성)별 수술방법을 열거한다.(B) (신설)
3. 삼차신경통의 진단 및 치료를 설명한다.(A) (신설)
4. 파킨슨씨병의 기전 및 증상, 치료를 설명한다.(A)
5. 간질수술의 방법(진단적, 치료적)을 설명한다.(B)
6. 안면경련의 치료를 설명한다.(A) (신설)
【실 습】
1. 통증치료의 주사요법 및 수술에 참여한다.(A) (신설)
2. 삼차신경통 및 안면경련의 수술에 참여한다.(A) (신설)
3. 파킨슨씨병 환자의 진단, 치료에 참여한다.(A) (신설)
4. 간질수술에 참여한다.(B) (신설)
제 17 장 신경외과 영역에서의 방사선 치료 (신설)
학
습
목
적
중추신경계 질환에 대한 방사선치료를 이해할 수 있다.
학
습
목
표
1. 신경외과 영역에서의 방사선치료 종류를 열거한다.(A) (신설)
2. 통상적 방사선치료의 적응증을 설명한다.(A) (신설)
3. 방사선치료의 합병증을 설명한다.(B) (신설)
4. 뇌정위 방사선 수술의 개념 및 적응증을 설명한다.(A) (신설)
【실 습】
1. 방사선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의 임상결과를 관찰한다.(A) (신설)
2. 뇌정위 방사선수술의 시술과정에 참여한다.(B) (신설)
제 18 장 신경외과 질환의 혈관내 수술 (신설)
학
습
목
적
혈관내 치료법에 대한 적응증과 방법을 이해하도록 한다.
학
습
목
표
1. 혈관내 수술의 목적을 설명한다.(B) (신설)
2. 혈관내 수술의 적응질환을 열거한다.(A) (신설)
3. 혈관내 수술을 시행할 때 쓸 수 있는 재료를 열거한다.(B) (신설)
【실 습】
1. 뇌동맥류와 혈관 연축의 혈관내 수술 방법을 설명한다.(A) (신설)
2. 뇌동정맥기형에서의 혈관내 수술에 대하여 설명한다.(B) (신설)
3. 혈전용해요법과 혈관확장술에 대해 설명한다.(B) (신설)
신경외과학 학습목표 (1994년판) 분석표
교 과 요 목
교 육 시 간
학습목표 문항수
강의
실습
계
A
B
계
1. 총론 및 신경학적 검사
2
2
4
13
12
25
2. 보조 진단법
3
4
7
19
17
36
3. 두개강내압 항진
2
2
4
10
7
17
4. 신경외과 환자관리
2
3
5
11
10
21
5. 두개강내 종양
6
7
13
28
29
57
6. 척수종양
2
2
4
9
6
15
7. 뇌혈관 질환
5
6
11
18
20
38
8. 두부 외상
4
4
8
18
13
31
9. 척수손상
2
3
5
9
7
16
10. 척추간판 탈출증
1
2
3
7
6
13
11. 말초신경 손상
1
2
3
7
6
13
12. 중추신경계 감염
2
2
4
12
5
17
13. 중추신경계 선천성 기형 및 후천성 기형
2
4
6
10
10
20
14. 동통 외과
1
1
2
5
4
9
15. 기능적 및 뇌정위적 신경외과학
2
2
4
8
9
17
계
37
46
83
184
161
345
신경외과학 학습목표 (2000년판) 분석표
교 과 요 목
교육시간
개정후 문항수
강의
실습
계
A
B
합계
기존
B
⇒
신설
계
기존
A
→
신설
계
1. 신경외과학의 역사
1
1
2
2
2
2. 신경외과학의 검사
2
2
4
11
1
12
10
10
22
3. 보조진단법
3
4
7
13
4
17
9
1
6
16
33
4. 두개강내압 항진과 뇌혈류
2
1
3
3
2
2
7
2
2
4
11
5. 구개강내 종양
6
2
8
17
6
4
27
13
2
15
43
6. 척수종양
2
1
3
5
5
3
2
5
10
7. 뇌혈관 질환
6
2
8
16
4
20
18
1
1
20
40
8. 척수혈관 질환 (신설)
1
1
2
4
4
2
2
6
9. 두부외상
4
1
5
7
11
18
2
3
5
23
10. 척수 및 척수 손상
2
1
3
5
1
4
10
1
1
11
11. 양성 척수질환
2
1
3
4
2
1
7
2
2
3
7
14
12. 말초신경 손상 및 질환
1
1
2
4
2
6
1
2
3
9
13. 감 염
1
1
2
5
1
6
3
3
9
14. 수두증
1
1
2
6
6
2
1
3
9
15. 중추신경계의 선천성 및 후천성 기형
2
1
3
4
1
1
6
6
1
1
8
14
16. 정위 및 기능 신경외과학
2
1
3
3
2
5
10
1
2
3
13
17. 신경외과 영역에서의 방사선치료 (신설)
1
1
2
4
4
2
2
6
18. 신경외과 질환의 혈관내 수술 (신설)
1
1
2
2
2
4
4
6
계
40
23
63
103
14
52
169
70
6
35
111
281
추천자료
영어학습(영어교육) 게임(놀이)활용의 이론적 배경과 교육적 목표, 영어학습(영어교육) 게임(...
무용학습(무용교육, 무용지도)의 특성, 무용학습(무용교육, 무용지도)의 목표, 무용학습(무용...
[가네 교수학습이론][목표별수업이론]가네의 약력, 가네교수학습이론(목표별수업이론)의 기본...
학생중심교육(학습자중심교육) 이론, 학생중심교육(학습자중심교육) 목표, 학생중심교육(학습...
자신을 소개하고, 아동복지를 학습하게 된 동기, 학습 후의 목표에 대해서 서술하십시오
도덕과교육(수업, 학습) 성격과 원리, 도덕과교육(수업, 학습) 목표, 도덕과교육(수업, 학습)...
사회과학습(수업, 교육)의 특성, 사회과학습(수업, 교육) 목표, 사회과학습(수업, 교육) 발문...
현장체험학습(현장학습)의 의의와 목표, 현장체험학습(현장학습)의 형태, 현장체험학습(현장...
과학과학습(수업, 교육)의 성격, 과학과학습(수업, 교육) 목표, 과학과학습(수업, 교육) 창의...
수학교육(지도, 수학학습) 원리, 수학교육(지도, 수학학습) 목표, 수학교육(지도, 수학학습)...
체육과학습(교육, 수업) 특성, 체육과학습(교육, 수업) 목표, 체육과학습(교육, 수업) 연구, ...
평생교육(평생학습) 의미, 평생교육(평생학습) 목표, 평생교육(평생학습) 주창자, 평생교육(...
평생교육 (UNES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