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장 치과학 개론
제 2장 구강해부학, 치아조직학
제 3장 구강병리학
제 4장 구강내과학
제 5장 치과보존학
제 6장 치주병학
제 7장 치과교정학
제 8장 구강감염학
제 9장 구강-악안면외상학
제10장 구강 종양학
제11장 악안면기형학
제12장 악관절질환
제 2장 구강해부학, 치아조직학
제 3장 구강병리학
제 4장 구강내과학
제 5장 치과보존학
제 6장 치주병학
제 7장 치과교정학
제 8장 구강감염학
제 9장 구강-악안면외상학
제10장 구강 종양학
제11장 악안면기형학
제12장 악관절질환
본문내용
적 원칙을 이해한다.
학
습
목
표
1. 구개열 봉합술의 원칙을 설명한다.(B) (A→B)
2. 잔유성 구개열(residual alveolar cleft)의 일관적 치료를 설명한다.(A)
3. 구개범인두부전증의 진단에 사용되는 방법들을 열거한다.(B)
4. 구순-구개열의 team approach에 공조하는 전문분야들을 열거한다.(B) (A→B)
5. 두부계측학에 사용되는 계측점(landmark)들을 열거한다.(B)
6. 교정-외과적 복합치료의 필요성을 설명한다.(A) (B⇒A)
7. 수술전 교정치료의 효과를 설명한다.(B) (A→B)
8. 하악전돌중의 악교정에 이용되는 하악골절단성형술을 열거한다.(B) (A→B)
9. 구강연조직 결손의 재건에 사용되는 근피판 이식술을 열거한다.(B)
10. 하악골의 재건에 사용되는 골이식의 종류를 열거한다.(A)
11. 근-골 유리피판이식술의 장점과 단점을 비교한다.(B)
12. 악안면의 발육성 기형의 진단에 사용되는 방법들을 열거한다.(A) (신설)
제 12 장 악관절 질환 (1시간)
학
습
목
적
측두하악관절 질환을 분류하고 발생원인과 경과를 설명하며, 근골격성 안면부동통을 감별하고, 보존적 물리 및 교합치료의 원리를 기술하고, 외과적치료의 적응증과 치료한계를 판단한다.
학
습
목
표
1. 악관절(TMJ)질환을 분류한다.(A)
2. 하악과두와 관절원판의 위치관계를 설명한다.(B)
3. 악관절 내장증(internal derangement)을 식별한다.(A)
4. 악관절 질환의 보존적 치료개념을 설명한다.(B) (A→B)
5. 악관절 질환의 진단에 사용되는 X-선촬영을 열거한다.(A)
6. 악관절 질환의 수술적 치료법을 열거한다.(B)
7. 악관절 강직증(TMJ ankylosis)의 발생을 설명한다.(A)
8. 악관절증(TMJ arthrosis)의 치료에 대하여 설명한다.(B)
9. 악관절의 기능적 재건술의 종류를 열거한다.(B) (A→B)
10. 악관절내장증과 근막동통증후군, 및 비특이성 안면통을 감별한다.(B) (신설)
11. 악관절 자기공명영상 및 전산화단층촬영상을 판독한다.(B) (신설)
제 13 장 치과보철학-임프란트학 (1시간)
학
습
목
적
치아결손을 회복하는 의의, 기본 원칙, 보철수복의 종류와 과정, 임프란트 인공치를 이용한 결손치의 회복술을 인지하여 치아 및 악골의 기능회복과 안면부 심미적 회복을 설명한다.
학
습
목
표
1. 결손치의 수복을 통한 기능회복 방법을 열거한다.(A)
2. 교합학(gnathology)의 정의를 내린다.(A)
3. Crown & bridge에 사용되는 재료들을 열거한다.(B) (A→B)
4. 국부의치에서 지대치의 역할을 설명한다.(B) (A→B)
5. 총의치(full denture)의 유지에 관계하는 요소들을 기술한다.(B) (A→B)
6. 악안면 보철의 적응증과 기본 재료를 열거한다.(A) (B⇒A)
7. 안면결손의 보철수복에 있어 유지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을 말한다.(B) (A→B)
8. 보철방법에 따른 기능회복의 정도를 논평한다.(B)
9. 골내에 식립되는 인공치의 요건들을 설명한다.(B) (A→B)
10. Osseointegrated Dental Implant를 정의한다.(A)
11. 인공치의 합병증에 대하여 토의한다.(B) (A→B)
제 14 장 구강보건학 (1시간)
학
습
목
적
치아 질환, 치주 질환, 부정교합, 구강암 및 악관절 질환의 예방책과 집단구강보건의 원칙을 이해하여 지역사회의 구강보건 관리에 응용한다.
학
습
목
표
1. 치아우식증의 예방법을 열거한다.(A)
2. 음료수의 불소화가 치아경조직에 미치는 항우식효과를 설명한다.(B) (A→B)
3. 치태(dental plaque)를 예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A)
4. 부정교합의 예방법을 열거한다.(A)
5. 구강암의 예방법을 열거한다.(A)
6. 악관절질환의 예방법을 설명한다.(B) (A→B)
7. 구강의 건강도를 나타내는 지표를 열거한다.(B) (A→B)
8. 치아우식경험율(DMF와 DMFT index)를 정의한다.(B)
9. 구강위생지수(OHI)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열거한다.(B)
10. 학교구강보건 계획에 고려되는 사항을 열거한다.(B)
치과학 학습목표 (1993년판) 분석표
교 과 요 목
교 육 시 간
학습목표 문항수
강의
실습
계
A
B
계
1. 치과학 개론
1
1
5
3
8
2. 구강해부학, 치아조직학
1
1
8
3
11
3. 구강병리학
1
1
6
7
13
4. 구강내과학
1
1
8
8
16
5. 치과보존학
1
1
6
2
8
6. 치주병학
1
1
6
3
9
7. 치주교정학
1
1
6
3
9
8. 구강감염학
1
1
6
4
10
9. 구강-악안면외상학
1
1
7
10
17
10. 구강종양학
1
1
9
9
18
11. 악안면기형학
1
1
7
5
12
12. 악관절질환
1
1
6
3
9
13. 치과보철학-임프란트학
1
1
9
3
12
14. 구강보건학
1
1
7
3
10
평 가
2
2
계
16
16
96
66
162
치과학 학습목표 (2000년판) 분석표
교 과 요 목
교육시간
개정후 문항수
강의
실습
계
A
B
합계
기존
B
⇒
신설
계
기존
A
→
신설
계
1. 치과학 개론
1
1
2
1
3
1
4
5
8
2. 구강해부학, 치아조직학
1
1
3
1
4
3
4
7
11
3. 구강병리학
1
1
3
1
4
3
2
2
7
11
4. 구강내과학
1
1
3
2
5
6
5
1
12
17
5. 치과보존학
1
1
2
2
4
1
3
4
8
6. 치루병학
1
1
3
1
4
1
3
2
6
10
7. 치과교정학
1
1
4
4
3
2
2
7
11
8. 구강감염학
1
1
3
1
4
2
3
2
7
11
9. 구강 - 악안면 외상학
1
1
5
5
9
2
11
16
10. 구강 종양학
1
1
4
1
5
6
3
2
11
16
11. 악안면 기형학
1
1
2
1
1
4
4
4
8
12
12. 악관절 질환
1
1
4
4
3
2
2
7
11
13. 치과보철학 - 임프란트학
1
1
3
1
4
1
6
7
11
14. 구강보건학
1
1
4
4
3
3
6
10
계
14
14
45
2
11
58
46
46
13
105
163
학
습
목
표
1. 구개열 봉합술의 원칙을 설명한다.(B) (A→B)
2. 잔유성 구개열(residual alveolar cleft)의 일관적 치료를 설명한다.(A)
3. 구개범인두부전증의 진단에 사용되는 방법들을 열거한다.(B)
4. 구순-구개열의 team approach에 공조하는 전문분야들을 열거한다.(B) (A→B)
5. 두부계측학에 사용되는 계측점(landmark)들을 열거한다.(B)
6. 교정-외과적 복합치료의 필요성을 설명한다.(A) (B⇒A)
7. 수술전 교정치료의 효과를 설명한다.(B) (A→B)
8. 하악전돌중의 악교정에 이용되는 하악골절단성형술을 열거한다.(B) (A→B)
9. 구강연조직 결손의 재건에 사용되는 근피판 이식술을 열거한다.(B)
10. 하악골의 재건에 사용되는 골이식의 종류를 열거한다.(A)
11. 근-골 유리피판이식술의 장점과 단점을 비교한다.(B)
12. 악안면의 발육성 기형의 진단에 사용되는 방법들을 열거한다.(A) (신설)
제 12 장 악관절 질환 (1시간)
학
습
목
적
측두하악관절 질환을 분류하고 발생원인과 경과를 설명하며, 근골격성 안면부동통을 감별하고, 보존적 물리 및 교합치료의 원리를 기술하고, 외과적치료의 적응증과 치료한계를 판단한다.
학
습
목
표
1. 악관절(TMJ)질환을 분류한다.(A)
2. 하악과두와 관절원판의 위치관계를 설명한다.(B)
3. 악관절 내장증(internal derangement)을 식별한다.(A)
4. 악관절 질환의 보존적 치료개념을 설명한다.(B) (A→B)
5. 악관절 질환의 진단에 사용되는 X-선촬영을 열거한다.(A)
6. 악관절 질환의 수술적 치료법을 열거한다.(B)
7. 악관절 강직증(TMJ ankylosis)의 발생을 설명한다.(A)
8. 악관절증(TMJ arthrosis)의 치료에 대하여 설명한다.(B)
9. 악관절의 기능적 재건술의 종류를 열거한다.(B) (A→B)
10. 악관절내장증과 근막동통증후군, 및 비특이성 안면통을 감별한다.(B) (신설)
11. 악관절 자기공명영상 및 전산화단층촬영상을 판독한다.(B) (신설)
제 13 장 치과보철학-임프란트학 (1시간)
학
습
목
적
치아결손을 회복하는 의의, 기본 원칙, 보철수복의 종류와 과정, 임프란트 인공치를 이용한 결손치의 회복술을 인지하여 치아 및 악골의 기능회복과 안면부 심미적 회복을 설명한다.
학
습
목
표
1. 결손치의 수복을 통한 기능회복 방법을 열거한다.(A)
2. 교합학(gnathology)의 정의를 내린다.(A)
3. Crown & bridge에 사용되는 재료들을 열거한다.(B) (A→B)
4. 국부의치에서 지대치의 역할을 설명한다.(B) (A→B)
5. 총의치(full denture)의 유지에 관계하는 요소들을 기술한다.(B) (A→B)
6. 악안면 보철의 적응증과 기본 재료를 열거한다.(A) (B⇒A)
7. 안면결손의 보철수복에 있어 유지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을 말한다.(B) (A→B)
8. 보철방법에 따른 기능회복의 정도를 논평한다.(B)
9. 골내에 식립되는 인공치의 요건들을 설명한다.(B) (A→B)
10. Osseointegrated Dental Implant를 정의한다.(A)
11. 인공치의 합병증에 대하여 토의한다.(B) (A→B)
제 14 장 구강보건학 (1시간)
학
습
목
적
치아 질환, 치주 질환, 부정교합, 구강암 및 악관절 질환의 예방책과 집단구강보건의 원칙을 이해하여 지역사회의 구강보건 관리에 응용한다.
학
습
목
표
1. 치아우식증의 예방법을 열거한다.(A)
2. 음료수의 불소화가 치아경조직에 미치는 항우식효과를 설명한다.(B) (A→B)
3. 치태(dental plaque)를 예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A)
4. 부정교합의 예방법을 열거한다.(A)
5. 구강암의 예방법을 열거한다.(A)
6. 악관절질환의 예방법을 설명한다.(B) (A→B)
7. 구강의 건강도를 나타내는 지표를 열거한다.(B) (A→B)
8. 치아우식경험율(DMF와 DMFT index)를 정의한다.(B)
9. 구강위생지수(OHI)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열거한다.(B)
10. 학교구강보건 계획에 고려되는 사항을 열거한다.(B)
치과학 학습목표 (1993년판) 분석표
교 과 요 목
교 육 시 간
학습목표 문항수
강의
실습
계
A
B
계
1. 치과학 개론
1
1
5
3
8
2. 구강해부학, 치아조직학
1
1
8
3
11
3. 구강병리학
1
1
6
7
13
4. 구강내과학
1
1
8
8
16
5. 치과보존학
1
1
6
2
8
6. 치주병학
1
1
6
3
9
7. 치주교정학
1
1
6
3
9
8. 구강감염학
1
1
6
4
10
9. 구강-악안면외상학
1
1
7
10
17
10. 구강종양학
1
1
9
9
18
11. 악안면기형학
1
1
7
5
12
12. 악관절질환
1
1
6
3
9
13. 치과보철학-임프란트학
1
1
9
3
12
14. 구강보건학
1
1
7
3
10
평 가
2
2
계
16
16
96
66
162
치과학 학습목표 (2000년판) 분석표
교 과 요 목
교육시간
개정후 문항수
강의
실습
계
A
B
합계
기존
B
⇒
신설
계
기존
A
→
신설
계
1. 치과학 개론
1
1
2
1
3
1
4
5
8
2. 구강해부학, 치아조직학
1
1
3
1
4
3
4
7
11
3. 구강병리학
1
1
3
1
4
3
2
2
7
11
4. 구강내과학
1
1
3
2
5
6
5
1
12
17
5. 치과보존학
1
1
2
2
4
1
3
4
8
6. 치루병학
1
1
3
1
4
1
3
2
6
10
7. 치과교정학
1
1
4
4
3
2
2
7
11
8. 구강감염학
1
1
3
1
4
2
3
2
7
11
9. 구강 - 악안면 외상학
1
1
5
5
9
2
11
16
10. 구강 종양학
1
1
4
1
5
6
3
2
11
16
11. 악안면 기형학
1
1
2
1
1
4
4
4
8
12
12. 악관절 질환
1
1
4
4
3
2
2
7
11
13. 치과보철학 - 임프란트학
1
1
3
1
4
1
6
7
11
14. 구강보건학
1
1
4
4
3
3
6
10
계
14
14
45
2
11
58
46
46
13
105
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