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는 말
2. 체육에 관련된 학교업무
3. 초임체육교사의 일(N중학교 초임교사)
4. 예체능부 기획교사의 일 (서울 Y중학교. 유모교사. 교직 10년)
5. 부장 체육교사의 일 (서울 D중학교 B교사)
6. 나가면서
참고문헌
2. 체육에 관련된 학교업무
3. 초임체육교사의 일(N중학교 초임교사)
4. 예체능부 기획교사의 일 (서울 Y중학교. 유모교사. 교직 10년)
5. 부장 체육교사의 일 (서울 D중학교 B교사)
6. 나가면서
참고문헌
본문내용
따른 각각의 어려움에 대한 기술이다. 연구자의 능력과 이해의 부족으로 학교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분석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체육교사의 일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에 기초하여 체육교사의 정체성, 직업적 전망, 삶에 대한 태도 등을 교사발달 순환모형(Burke,1984)과 복합주기 모형(Huberman,1989)에 맞추어 각각의 단계에 따른 질적연구가 진행되어야 하겠다. 이러한 측면에서 류태호(2000)의 연구는 체육교사의 심층적이고 맥락적 이해를 위한 질적연구에 많은 시사점을 준다..
체육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라 체육교사 일의 성격을 규명하고 그 속에서 체육교사는 어떤 판단을 내리고 있는지를 기술하고 해석하며 의미를 찾는 연구는 체육교사가 어떠한 방식으로 교사로서의 삶에 대한 직업적 자기 판단을 내리고 자신을 표현하고 있는 것인가에 대해 밝히는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는 체육교사의 성장 단계에 따른 일을 깊이 있게 규명하고 체육교사의 삶을 이해하는데 무척 중요하다.
참고문헌
강신복·오학수(편)(1990). 체육교육과정. 서울: 보경 문화사.
강신복·최희진(2000). 중학교 초임교사의 초기 곤란에 관한 연구: 한 체육교사의 사례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제7권 제 2호, 1-13.
류태호(2000). 체육교사의 직업정체성 형성에 관한 생애사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문호준·이재정(1996). 체육교사 사회화 연구: 패러다임적 이해.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제3권, 제2호, 13-27.
박명기(1994). 체육교사의 역할수행현황과 직업만족도.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창간호, 63-79.
박흥규(1983). 체육주임교사의 리이더쉽 행동모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안창선·남경현·이욱범(1999). 교사론. 서울: 교육과학사.
이승복(1998). 신임교사의 교직 적응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효진(1996). 초등학교 초임 체육지도교사의 직업사회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윤명희(편)(1997). 체육과 교육론. 서울: 태근 문화사.
최상근(1992). 한국 초·중등 교사의 교직사회화 과정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최의창(1996). 교사연구와 체육교사교육.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제3권, 제1호, 1-20.
Burke, P, J. (1984). Teacher Career Stages: Implications for Staff Development(Fastback No 214). Bloomington, In: Phi Delta Kappa Educational Foundation.
Huberman, M. (1989). " The Professional Life Cycle of Teachers". Teachers College Record. Vol 91. No. 1. Fall.
Lawson, H. A.(1989). From rookie to veteran: Workplace conditions in physical education and the profession. In T. Templine& P. Schempp (Eds.), Socialization into physical education: Learning to teach(pp.145-164). Indianapolis: Benchmak Press.
Lortie, D. C. (1975). Schoolteacher: a sociological study.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진동 섭 역(1993) 교직사회: 교직과 교사의 삶. 서울: 양서원).
체육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라 체육교사 일의 성격을 규명하고 그 속에서 체육교사는 어떤 판단을 내리고 있는지를 기술하고 해석하며 의미를 찾는 연구는 체육교사가 어떠한 방식으로 교사로서의 삶에 대한 직업적 자기 판단을 내리고 자신을 표현하고 있는 것인가에 대해 밝히는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는 체육교사의 성장 단계에 따른 일을 깊이 있게 규명하고 체육교사의 삶을 이해하는데 무척 중요하다.
참고문헌
강신복·오학수(편)(1990). 체육교육과정. 서울: 보경 문화사.
강신복·최희진(2000). 중학교 초임교사의 초기 곤란에 관한 연구: 한 체육교사의 사례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제7권 제 2호, 1-13.
류태호(2000). 체육교사의 직업정체성 형성에 관한 생애사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문호준·이재정(1996). 체육교사 사회화 연구: 패러다임적 이해.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제3권, 제2호, 13-27.
박명기(1994). 체육교사의 역할수행현황과 직업만족도.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창간호, 63-79.
박흥규(1983). 체육주임교사의 리이더쉽 행동모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안창선·남경현·이욱범(1999). 교사론. 서울: 교육과학사.
이승복(1998). 신임교사의 교직 적응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효진(1996). 초등학교 초임 체육지도교사의 직업사회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윤명희(편)(1997). 체육과 교육론. 서울: 태근 문화사.
최상근(1992). 한국 초·중등 교사의 교직사회화 과정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최의창(1996). 교사연구와 체육교사교육.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제3권, 제1호, 1-20.
Burke, P, J. (1984). Teacher Career Stages: Implications for Staff Development(Fastback No 214). Bloomington, In: Phi Delta Kappa Educational Foundation.
Huberman, M. (1989). " The Professional Life Cycle of Teachers". Teachers College Record. Vol 91. No. 1. Fall.
Lawson, H. A.(1989). From rookie to veteran: Workplace conditions in physical education and the profession. In T. Templine& P. Schempp (Eds.), Socialization into physical education: Learning to teach(pp.145-164). Indianapolis: Benchmak Press.
Lortie, D. C. (1975). Schoolteacher: a sociological study.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진동 섭 역(1993) 교직사회: 교직과 교사의 삶. 서울: 양서원).
추천자료
학교붕괴(교실붕괴, 학급붕괴)의 원인, 인식, 현황, 학교붕괴(교실붕괴, 학급붕괴)와 교육공...
[교육학A+] 고등학교 기간제 교사 정의와 증가원인 및 기간제교사와 조직구조,정규직 교사와...
[학부모참여][학교참여]학부모학교참여(학부모참여)의 개념과 형태, 학부모학교참여(학부모참...
초등학교 실과교과(실과교육)의 성격, 초등학교 실과교과(실과교육)의 학년별목표와 학년별내...
[체벌][교사체벌][학생인권][교권][교육권][학교문화][체벌문화]교사 체벌의 목적, 교사 체벌...
초등학교(초등교육)의 교육특성과 교육목표, 초등학교(초등교육)의 시간배당, 초등학교(초등...
교사평가(교원평가제도) 의의와 필요성, 교사평가(교원평가제도) 기준, 교사평가(교원평가제...
초등학교 도덕과(도덕교육)의 내용, 초등학교 도덕과(도덕교육)의 기본학습, 초등학교 도덕과...
초등학교 통일교육의 목표, 초등학교 통일교육의 변천, 초등학교 통일교육의 기본 방향, 초등...
고등학교 공통과학의 교수학습전개, 고등학교 공통과학의 심화보충학습, 고등학교 공통과학의...
[인권][학교인권교육][학교인권지도]인권의 개념, 인권의 특성, 인권의 내용, 인권의 의식수...
[체벌]학생체벌(교사체벌, 학교체벌)의 개념, 분류, 학생체벌(교사체벌, 학교체벌)의 원인, ...
[학교체벌]학교체벌(교사체벌, 학생체벌)의 의미, 연혁, 학교체벌(교사체벌, 학생체벌)의 요...
[학생체벌]학생체벌(교사체벌, 학교체벌)의 개념, 성격, 학생체벌(교사체벌, 학교체벌)의 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