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관련 논문 구합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백가공안}의 체제에 관한 시론적 고찰
1. <국사본전>
2. <포대제출신원류>
1) <포대제출신원류>의 성격
2) <포대제출신원류>의 서사양식
3. {백가공안} 본문의 편집에 관한 시론적 고찰
1) 장회소설적 편집의 양상 : 연환식 구성방법과 장회소설의 회말 상용어구
2) 장회소설적 구성방식의 실제
3) {백가공안}의 실제 작품수에 대한 시론적 검토
4. 맺음말

`서원아집`의 역사적 실재성과 그 의미
1. 들어가며
2. `서원아집`의 역사적 실재성
2-1. [서원아집도기]의 전말
2-2. `서원아집`을 둘러싼 논쟁
(1) 부정설-Ellen Johnston Laing
(2) 긍정설-이건융
(3) 절충설-양종기와 의약분
3. `서원아집`의 역사.문화적 의미
3-1. 송대 사대부의 심미생활
3-2. 사대부의 정신적 귀은처-원림
3-3. 북송 당쟁사의 한 단면
4. 맺으며
5. 참고문헌
도판. 청 원제의 <서원아집도>

사전문학과 신선설화
1. 들어가며
2. 신선전기문학과 신선설화
① 신선전기문학의 성립
② 신선설화의 허와 실
3. 신선설화의 전기적 특성
① 서사구조
② 서사기교
4. 나가며
참고문헌

본문내용

조롭고 公이나 昆, 鉤운의 입성으로 읽으면 순조롭지 못하다는 뜻이니 당시 입성 운미가 후색음 운미이거나 없어지는 과정에 있었음을 나타낸다고 하겠다.
3. 성조체계
『운법횡도』에는 표면상 평·상·거·입의 네 성조가 존재하지만, 평성은 실제로 陰陽으로 양분되어 있다. 이는 다음의 주를 통해 알 수 있다.
荀陰平 君운 평성 心모
荀에 '음평'이란 주가 달려 있는 것으로 보아 당시 성조가 이미 現音에 가깝게 변한 것 같다. 따라서 『횡도』에도 음평, 양평, 상성, 거성, 입성의 5개 성조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 이밖에도 개별 글자에 관해 성조에 변화가 생겼음을 나타내는 주들도 보인다. '頌松去聲' 즉, 頌은 松의 거성자이다. '統去聲'이란 주도 보이는데, 거성운데도 이미 현 성조로 읽혔음을 알 수 있다. '荷讀如賀音'이란 주도 보인다. 荷는 匣모 상성자이고 賀는 匣모 거성자인데, 荷가 賀처럼 읽힌다는 말은 탁음 상성자의 거성자로의 변화가 이미 완성되었음을 나타낸다.
Ⅳ. 맺음말
『직도』에는 44개의 舒聲운이 있지만 『횡도』에는 42개 운목밖에 없다. 『횡도』에만 있는 운은 狂운으로 『직도』에는 대응되는 운이 없다. 『횡도』의 狂운에 실린 匡, 狂, 王등의 글자는 『직도』에는 光운에 실려 있다. 『직도』에만 있는 운으로는 세 개의 개구호 운인 拏[a], 簪[ m], [ ]이다. 拏운은 『횡도』의 加운에서 갈라져 나왔다. 『횡도』의 加운에서 순음과 설치음자는 변화되지 않고 후아음자에만 [i] 개음이 생겼다. 『횡도』의 저자는 2등운인 加운의 후아음자에 [i] 개음이 생긴 것은 인정하여 제치라 분류했지만 순음과 설치음자는 따로 구분하지 않고 그대로 加운에 넣어 실제의 음과 맞지 않게 되었다. 『직도』의 저자는 加운을 嘉운과 拏운으로 분리하여 嘉운에는 후아음자를, 拏운에는 순음 및 설치음자를 배열했다.
『직도』의 簪[ m]운은 전술한 대로 『횡도』의 金운에서 갈라져 나온 莊계 3등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직도』는 『횡도』의 金운자들 중에서 유독 莊계 3등자들만 추려 내어 한 운도에 실었다. 나머지 章계 3등자를 포함한 다른 자모의 글자들은 그대로 金운에 남겨 두었다. 『횡도』의 金운에는 먼저 章계 3등자를 적고 바로 옆에 莊계 3등자를 나란히 기록하는 방식으로 莊章계자 모두를 함께 수록했다. 이 같은 사실은 두 계열의 성모자들이 당시 완전히 동일한 음으로는 읽히지 않았음을 시사하므로 『횡도』의 金운은 다른 운들이 대체로 하나의 운모를 내포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두 개의 운모를 포함하기 때문에, 이 점을 놓고 보면 『직도』가 『횡도』보다는 발전된 모습을 보여 준다. 『직도』의 簪운은 章계 3등자보다 莊계 3등자에서 먼저 [i] 개음이 탈락했음을 보여 준다. 따라서 『직도』의 저자가 [ m]운을 세운 것은 객관적 관찰에 근거한 것이라고 본다.
운에는 치음자들과 來, 日모에만 글자가 있다. 운의 글자들은 『횡도』의 基운에 보인다. 치두음자 가운데 止攝 개구 3등 글자들은 를 제외하고 모두 운에 수록되어 있고 蟹섭 개구 4등자들은 徙를 제외하고 모두 基운에 수록되어 있다. 현 북경음으로 읽으면 基운에 포함된 글자들은 徙까지 포함해서 모두 [i]로, 운으로 들어간 글자들은 모두 [ ]로 읽히는 것으로 보아 [ ]운이 새로운 운모로 자리잡은 지 꽤 오래 되었음을 알 수 있다. 『횡도』는 金운처럼 蟹섭자들과 止섭자들을 나란히 수록했다. 그러나 운에 수록된 정치음자들의 경우 치두음 글자들과는 달리 분리해서 싣게 된 원칙을 알아낼 수 없다. 현 북경음으로 읽으면 운에 수록된 글자나 基운에 남아있는 글자나 모두 모음이 설첨후음이고, 氏나 示는 兩 운도에 동시에 수록되어 있다. 또 來모의 글자들도 상거성에 里, 利가 중복 출현한다. 이 같은 사실로 미루어 『직도』가 『횡도』에 없는 [ ]운을 세운 것은 보다 실제 음에 접근된 기술이지만 基운의 정치음과 운의 來母는 공백으로 남겨두었어야 했다. 日모의 글자는 基운에 입성자 日만 있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운 평상거성에 兒, 耳, 二가 수록되어 있다. 『직도』나 『횡도』와 거의 같은 시기에 나온 徐孝의 『等韻圖經』(1606년)에는 이 글자들 가운데 二가 而, 爾등과 함께 影母에 분류되어 있어 이미 원래의 성모를 잃고 [ r]이 된 것으로 보인다(陸志韋:58). 그러나 『직도』에는 운에 분류된 것으로 보아 현 권설음에 가까운 성모였을 것 같다.
이밖에 두 운도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차이가 나는 것은 莊章系 3등자의 처리이다. 전술한 대로 莊계 3등자는 章계자보다 훨씬 먼저 [i]개음을 잃고 홍음이 되었다. 『직도』의 저자는 이 같은 변화를 적극 수용하여 莊계 3등자와 章계 3등자를 각각 다른 운에 넣었지만, 『횡도』의 저자는 한 운에 나란히 배열하는 방식으로 변화를 기록했다.
그러나 두 운도에서 볼 수 있는 이 같은 차이는 단지 각 글자들을 각 운에 귀속시킬 때 보다 엄격한 기준을 적용했는가 그렇지 않았는가의 차이일 뿐이며, 두 운도가 반영하는 음운체계는 아주 흡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선 두 운도가 반영하는 음운체계에서 유성 성모가 무성음화하였고, 입성 운미가 적어도 하나로 통합되었다. 또 성조도 평성이 음양조로 나뉘고 입성이 소실되는 과정에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끝으로 본고는 다른 운서나 漢語 방언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직도』와 『횡도』가 반영하는 음운체계가 어떤 지역의 방언을 근거로 한 것인지에 관해서는 훗날의 연구로 미루기로 하고 두 운도에 나타난 음운 현상만을 간단히 소개하는 데 본고의 의의를 두려고 한다.
〈 參 考 文 獻 〉
陸志韋, 1988. 「記徐孝『重訂司馬溫公等韻圖經』」『近代漢語音韻論集』, 北京:商務印書館
邵榮芬, 1998. 「『韻法橫圖』與明末南京方音」『漢字文化』, 3:25-37.
寶奎, 2001. 『明淸官話音系』, 厦門大學出版社.
최영애, 2000. 『중국어음운학』, 서울:통나무.
Hsueh, F. S., 1975. Phonology of Old Mandarin, The Hague.
郭錫良, 1986. 『漢字古音手冊』, 北京大學出版社.
『等韻名著五種』 1992, 臺北:泰順書局.
장삼식, 1964. 『大漢韓辭典』, 성문사.
  • 가격3,300
  • 페이지수110페이지
  • 등록일2002.09.05
  • 저작시기20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26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