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교육법에서의 목적
-총칙
-교육방침
2. 교육의 종말을 읽고
-책소개 및 저자소개
-본서 내용 요약 및 비평
3. 마치며
- 교육의 목적에 대한 고찰
- 현실 속에서의 교육
-교육법에서의 목적
-총칙
-교육방침
2. 교육의 종말을 읽고
-책소개 및 저자소개
-본서 내용 요약 및 비평
3. 마치며
- 교육의 목적에 대한 고찰
- 현실 속에서의 교육
본문내용
을 형이상학만을 담은 일개 학문으로 전락시켰다. 교육적 이상형의 변화를 살펴보면 가까이 우리나라의 경우만 보더라도 확연하다. 지금으로부터 150여년전 교육적 이상형은 성리학적 이상형인 성인, 군자, 선비였다면 오늘날 이상형은 신지식인, 경쟁력있는 인재 양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변화무상한 교육을 목도하고도 변하지 않는 것은 분명히 있다고 말할 사람이 있다면 바로 플라톤이나 주자처럼 눈에 보이지 않는 형이상학적인 이데아나라의 신봉자들 뿐일 것이다.
내가 보기에 새가 좌우의 날개 균형을 잃지 않을 때 멋지게 비상할 수 있듯이 교육 역시 양 날개의 균형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양 날개란 육체와 영혼, 지식과 정서, 외면과 내면, 현상과 실체,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등의 말로 표현할 수 있을 것 같다. 교육의 형이상학적 측면과 기술교육적 측면이 양날개로 본다면 저자는 니러한 측면을 잘 비판하고 조화스럽게 이야기하였다. 사실 실용주의적 기술 교육과 과학 기술 만능주의에 빠져 문명 비판적 기능을 하는 인문학이 힘을 잃고 또한 개인의 내면 심성(영혼) 교육에 소흘한 지금의 현실 속에서 균형을 회복하는 일이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된다.
< END.>
내가 보기에 새가 좌우의 날개 균형을 잃지 않을 때 멋지게 비상할 수 있듯이 교육 역시 양 날개의 균형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양 날개란 육체와 영혼, 지식과 정서, 외면과 내면, 현상과 실체,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등의 말로 표현할 수 있을 것 같다. 교육의 형이상학적 측면과 기술교육적 측면이 양날개로 본다면 저자는 니러한 측면을 잘 비판하고 조화스럽게 이야기하였다. 사실 실용주의적 기술 교육과 과학 기술 만능주의에 빠져 문명 비판적 기능을 하는 인문학이 힘을 잃고 또한 개인의 내면 심성(영혼) 교육에 소흘한 지금의 현실 속에서 균형을 회복하는 일이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된다.
<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