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새 학교문화와 교육과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문화와 학교 교육의 효과

Ⅱ. 문화와 교육과정

Ⅲ. 한국 교육의 문화적 책무

Ⅳ. 문화적 상상력을 키우는 생성교육과정

Ⅴ. 맺 는 말

본문내용

동적으로 배우는 존재가 아님을 확인시켜주어야 한다.
새 학교 문화는 학교 구성원 모두가 존엄하게 대우받는 것을 훈련하는 인간 존중의 정신이 충만한 공동체를 지향하는 것이어야 한다. 학교 구성원 누구나 동반자로서 학교 문제 해결에 참여하는 문화가 고양되어야 한다. 교사는 가르치기만 하는 존재가 아니라 학생으로부터 배우기도 하는 존재로서 서로는 일방관계가 아닌 상보적 관계라는 것을 인정하는 학교 문화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새 학교 문화는 심층학습, 심층기록을 만들어 가는 것을 지향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치밀하고 깊이 있는 사고를 자극하고, 교과의 성격에 충실한 형태로 진지한 학습 경험이 계획되고 실천되는 문화를 조성하여야 한다. 선다형 시험의 남용으로 피상적인 학습을 조장하는 것은 지양되어야 한다. 만약 시험이 있다면 그것은 학생들의 지식 생성력을 잴 수 있는 충실한 방법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새 학교 문화는 세계 최고 수준의 교사들이 교육과정 전문성을 발휘하도록 하는 것이어야 한다. 교육내용 선정, 교재 선택과 재구성, 수업방법의 선택, 학생 평가와 기록에 있어서 교사들은 타인의 도전을 받지 않을 정도의 전문성을 발휘해야 한다. 그들은 수동적 지식 전달자가 아니라 새로운 지식 생성력을 키워주는 이 사회의 지도자들로 인정되어야 한다.
Ⅴ. 맺 는 말
문화적인 입장에서 볼 때, 학교 교과의 으뜸가는 교과는 바로 학교 그 자체이다
) 블르너, 앞의 책 28쪽.
. 교육과정과 학교 문화는 기성 문화의 가치를 반영하는 것이지만 만약 기성 문화가 단위 공동체의 자주적 생존을 유지시키는데 크게 기여하지 못하는 것이라면, 학교는 문화의 벽을 뛰어넘는 변화를 시도하여야 한다. 우리에게 새 학교 문화는 이러한 입장에서 조명되고 의미를 부여해야 한다. 바로 이러한 점에서 새 학교 문화의 대안은 바로 문화적 상상력을 키울 수 있는 생성 교육으로 나아가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Abstract
Kwak, Byong-Sun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 a cultural perspective, the most powerful subject of school is school itself. The school curriculum and school culture inevitably reflects the existing cultures of whole society. However, if they do not contribute to the self-directed and sustainable survival of the society, school may attempt to come over the wall of the existing cultures. In many ways, our schools need to be reinvented to provide a new school culture so that our students are motivated to express their imagination in a full fledged way and to create a new knowledge.
곽병선(1984). 소련의 교육개혁 동향, 敎育學硏究 (한국교육학회 22권 3호) 59-72.
곽병선(1991). 한국 교육혁신을 위한 한 상상력(한국교육혁신연구회 발제논문 1991. 8. 23. 서울교육문화회관)
곽병선(1998), 교육과정과 평가의 연계방안. 교육과정연구 16권 2호.
곽병선. 토론(한국교육개발원. 정부수립 50주년 기념 제 1차 대 토론회, 국난극복과 21세기 재도약을 위한 교육전략. 교육체제의 구조 조정 방안), pp.87-94.
교육부(1998). 새로운 대학입학제도와 교육비젼2002: 새학교문화 창조. 서울: 사회교육문화사.
허경철, 김영화, 김정래, 성기선(1998). 학교교육 효과 분석 연구, 민주 시민 사회에서 요구되는 태도 및 가치관 형성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98-11.
Egan, K., & Nadaner, D. eds(1988). Imagination and Education. (Milton Keynes; Open University Press),
McCLEARY, D (1993). The Logic of Imaginative Education; Reaching Understanding. New York: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Warnock, M(1980). Imagination. (London: Faber and Faber).
Hyman, H. H., Wright, C. T., & Reed, J. S(1975). The Enduring Effect of Educati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yman, H. H., & Wright, C. T(1979). Education's Lasting Influence on Value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Bruner, J(1996), The Culture of Education. Cambridge,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Byong-Sun Kwak(1994), Educational Reformation toward the 21st century; Direction and Task. Pacific Asian Education V 6. N 2. pp.7-14.
Claydon, L., Knight, T., & Rodo, M(1979), Curriculum and Culture; Schooling in Plural Society. (London: George Allen & Unwin).
Wuthonow, R et al(1984). Cultural Analysis; The Work of Peter, Berger, Mary Douglas, Michel Foucault, and Jurgen Habermas. (London: Rougledge & Kegan Paul).
  • 가격2,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2.09.13
  • 저작시기20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31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