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무복의 상징성
2.1. 무복 (야쿠트어로 쿠무라 불린다)
2.2. 무복의 장식물
2.2.1. 둥근 원판
2.2.2. 에메게트
2.2.3. 방울
2.2.4. 새나 샤만의 뼈
3. 무복과 공동체
4. 결론: 야쿠트샤마니즘의 변화
참고문헌
2. 무복의 상징성
2.1. 무복 (야쿠트어로 쿠무라 불린다)
2.2. 무복의 장식물
2.2.1. 둥근 원판
2.2.2. 에메게트
2.2.3. 방울
2.2.4. 새나 샤만의 뼈
3. 무복과 공동체
4. 결론: 야쿠트샤마니즘의 변화
참고문헌
본문내용
. 결론: 야쿠트샤마니즘의 변화
야쿠트샤마니즘에 대한 공동체의 평가는 19세기에 이르면 변하게 된다. 야쿠트샤마니즘은 이미 야쿠트사회의 유일한 종교적 대안의 지위를 상실하고 다른 시스템, 즉 러시아 정교회와 경쟁하여야 하였으며, 러시아 정교회가 어느 정도로 야쿠트사회에 침투하였는가를 차치하고 러시아 정교회는 중심의 위치를 확보하였으며, 야쿠트샤마니즘은 이미 주변화되었고 해체의 과정에 놓여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19세기의 야쿠트샤마니즘의 사정을 무복의 생산과정의 불완전성은 잘 보여주고 있다. 야쿠트샤마니즘의 세계관과 인간관을 압축적으로 표현한 야쿠트무복의 재생산이 19세기가 지나가면서 불가능해지고, 또한 그에 대한 해석이 다양해지고, 무복이 없이 샤만직에 종사하는 이들이 늘어갔다는 사실은 야쿠트샤마니즘이 전반적으로 보아서 강제적인 구속력과 유의미함을 점차로 상실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 주는 것이다.
참고문헌
강정원 (1998): 야쿠트 샤만과 러시아 식민지배. 한국사회과학 20(3): 239-263
Kang, Jeong Won (1998): Der Kulturwandel bei den Jakuten. Muenchen
바실레에프, 베.엔. (Vasileev, V.N.) (1910): Shamanskii kostyum i buben u Ya kutov, in: Sbornik Muzeya antropologii i ethnogrifii. 1-47
박금주 (1995): 시베리아 샤마니즘과 샤만 복식.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쎄로쉠스끼이, 베. 엘. (Seroshevskii, V.L) (1993): Yakuty. Moskva
슈미트, 빌헬름 (Wilhelm Schmidt) (1954): Der Ursprung der Gottesidee. Muenster
시이칼라, 안나-레나/ 미할리 호팔 (Siikala, Anna-Leena&Mihaly Hoppal) (1992): Studies on Shamanism. Helsinki and Budapest
알렉세에프, 엔.아. (Alekseev, N.A.) (1975): Tradicionnye relidioznye verovaniia Yakutov. V XIX-nacale XX v. Novosibirsk
엘리아데, 미르치아 (1998): 샤마니즘. 서울
요헬손, 블라디미르 (Wladimir Jochelson) (1933): The Yakut. New York
코르트, 이반 (Ivan Kortt) (1991): Die soziale Bindung des sibirischen Schamanismus, Michael Kuper 편, Hungrige Geister und Rastlose Seelen. 27-43
핀드아이젠, 한스/하이노 게르츠 (Hans Findeisen/Heino Gerts) (1993): Die Schamanen. Muenchen
하르바, 우노 (Harva, Uno) (1938): Die religioesen Vorstellungen der altaischen Voelker. Helsinki
야쿠트샤마니즘에 대한 공동체의 평가는 19세기에 이르면 변하게 된다. 야쿠트샤마니즘은 이미 야쿠트사회의 유일한 종교적 대안의 지위를 상실하고 다른 시스템, 즉 러시아 정교회와 경쟁하여야 하였으며, 러시아 정교회가 어느 정도로 야쿠트사회에 침투하였는가를 차치하고 러시아 정교회는 중심의 위치를 확보하였으며, 야쿠트샤마니즘은 이미 주변화되었고 해체의 과정에 놓여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19세기의 야쿠트샤마니즘의 사정을 무복의 생산과정의 불완전성은 잘 보여주고 있다. 야쿠트샤마니즘의 세계관과 인간관을 압축적으로 표현한 야쿠트무복의 재생산이 19세기가 지나가면서 불가능해지고, 또한 그에 대한 해석이 다양해지고, 무복이 없이 샤만직에 종사하는 이들이 늘어갔다는 사실은 야쿠트샤마니즘이 전반적으로 보아서 강제적인 구속력과 유의미함을 점차로 상실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 주는 것이다.
참고문헌
강정원 (1998): 야쿠트 샤만과 러시아 식민지배. 한국사회과학 20(3): 239-263
Kang, Jeong Won (1998): Der Kulturwandel bei den Jakuten. Muenchen
바실레에프, 베.엔. (Vasileev, V.N.) (1910): Shamanskii kostyum i buben u Ya kutov, in: Sbornik Muzeya antropologii i ethnogrifii. 1-47
박금주 (1995): 시베리아 샤마니즘과 샤만 복식.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쎄로쉠스끼이, 베. 엘. (Seroshevskii, V.L) (1993): Yakuty. Moskva
슈미트, 빌헬름 (Wilhelm Schmidt) (1954): Der Ursprung der Gottesidee. Muenster
시이칼라, 안나-레나/ 미할리 호팔 (Siikala, Anna-Leena&Mihaly Hoppal) (1992): Studies on Shamanism. Helsinki and Budapest
알렉세에프, 엔.아. (Alekseev, N.A.) (1975): Tradicionnye relidioznye verovaniia Yakutov. V XIX-nacale XX v. Novosibirsk
엘리아데, 미르치아 (1998): 샤마니즘. 서울
요헬손, 블라디미르 (Wladimir Jochelson) (1933): The Yakut. New York
코르트, 이반 (Ivan Kortt) (1991): Die soziale Bindung des sibirischen Schamanismus, Michael Kuper 편, Hungrige Geister und Rastlose Seelen. 27-43
핀드아이젠, 한스/하이노 게르츠 (Hans Findeisen/Heino Gerts) (1993): Die Schamanen. Muenchen
하르바, 우노 (Harva, Uno) (1938): Die religioesen Vorstellungen der altaischen Voelker. Helsin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