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 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학습목표


2-감상의 길잡이


3-보충학습


4-더 읽을거리

본문내용

인공이 제3국을 택해 조국을 등지다가 바다에 투신하는 감상적 결말이 비판적으로 지적될 수 있으나, 끝없는 좌절과 뚜렷한 전망을 발견할 수 없었던 그의 한없는 절망감이 이러한 결과를 초래한 것이다. 광장과 밀실의 개념이 변증법적으로 통일된 장소―그곳은 남한도, 북한도, 중립국도 아니었다. 진정한 사회, 이상적인 사회를 갈구하던 이명준이 자살의 길을 택한 것은 그가 너무나도 관념적이었기 때문도 있겠지만, 그보다는 시정할 수 없을 정도로 단단히 굳어버린 현실의 거센 장벽(障壁) 때문이었을 것이다. 이데올로기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루어 낸 감수성과 지성으로 해서 이 소설은 매우 의의 깊게 평가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더 읽을거리
최인훈의 '웃음소리'
한샘(구)下
학습목표
·이 작품이 지향하는 가치는 어떤 것인지 해석해 본다.
·'광장'과 '밀실'의 상징적 의미를 알아본다.
·이 작품의 관념 소설적 특징들을 파악한다.
감상의 길잡이
1960년대 문학의 시작임을 알리는 것으로 평가되는 이 작품은 두 가지 점에서 커다란 특징을 보여 주고 있다. 우선 제목에서도 드러나듯이 밀실과 광장이란, 인간이 자신의 존재를 확인하여 나가는 활동 공간의 두 측면이다. 인간에게는 누구나 자신의 고유한 밀실이 필요하면서도 동시에 사회적 인간으로서 활동해야 할 광장이 필요하다. 작품에서 주인공은 이 두 가지 측면이 적절하게 조화된, 즉 개인적이면서도 동시에 사회적인 시민적 광장에서는 약간 벗어나 있지만, 어쨌든 이러한 특성들을 효과적으로 형상화했다는 점에 대해서는 이의가 없다.
물론 주인공이 남북을 택하지 않고 제3국 행을 선택한 것도 밀실과 광장이 따로따로 존재하는 남북한을 양자 택일적이 것으로 보았지 때문이다. 아울러 그 선택이 결국은 죽음(자살)으로 귀결되고 말았지만 그러한 선택 과정 자체가 바로 남북 분단 문제와 직결되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 이 소설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다루기를 꺼려하고 금기시해 온 소재였던 남북분단 문제를 정면에서 다루었다는 것만으로도 이 소설은 충분히 평가받을 수 있는 것이다.
학습 보충 자료
「광장」에서 중립국 선택이 지닌 의미 : 「광장」이 발표되었을 당시에는 그 때의 정치적 상황으로 인해 주인공이 중립국을 택하게 됐다는 것이 특히 강조되었다. 또한 그런 뜻에서 주인공의 비극성만이 크게 문제되었다. 실제로 광장 속에 뛰어들어서 성실하게 살아보겠다고 발버둥치다 패배하고 만 주인공의 자세는 인간이 몸 둘 곳이 없는 우리의 서글픈 역사적 현실을 상징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좀 더 엄격하게 생각하면 이명준이가 택한 길이 정녕 그 당시의 상황 속에서는 가장 성실한 삶의 자세였다고 할 수 있는지? 왜냐 하면 성실한 삶의 자세는 그 자체가 현실을 변혁하겠다는 능동적이며 긍정적인 의지를 기조에 두고 있어야 마땅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가 더듬었던 삶의 길도 어찌 보면 그저 도피에의 위장에 다름없다고 여겨지게 되는 것이다. 그가 월북한 것도, 그가 은혜에게서 마지막 확증을 바랐던 것도 또는 그가 중립국을 택했던 것도, 모두 스스로의 힘으로 새로운 광장을 키워 나가겠다는 적극적인 의지를 결여하고 있는 데서 생긴 것에 지나지 않았다. 그의 가장 성실한 결단이 자살의 길이었다는 것도 그러니까 몹시도 서글픈 아이러니라고 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작품의 이면에는 잘 나타나 있지 않으나 태식이가 명준에게 던진 다음과 같은 짤막한 말이 「광장」의 또 하나의 중요한 주제를 이루러 놓고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가치가 있어서만 인간이 행동하는 건 아닐세.... 가치를 만들어 내기 위해서도 행동할 수 있어."
-홍사중, "탈출과 좌절'에서-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2.09.17
  • 저작시기20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34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