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인의 순응주의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현대인은 순응주의를 탈피했다고 할 수 있는가?
1. 순응의 개념
2. 시대상황과 순응주의 교육

일제시대

냉전시대 순응 교육과 탈피시도
3. 선거 안에서 정치적 순응
4. 순응의 자각 - 다르게 생각할 수 있는 자유의 선택

본문내용

의 후유증은 우리의 모든 생활내에 배어 있다. 가령 몇몇이 모여 담소를 즐기는 지극히 사적인 자리에서조차 개인들의 연령성별사회적 지위 등과 같은 제반 요인에 의해 대화의 순서나 커뮤니케이션의 충돌 상황이 발생했을 때조차도 ‘권력관계’에 따른 순응의 메카니즘이 존재한다. 혹자는 지극히 개인적인 ‘성격’일수도 있는 것을 너무 비약하고 있다고 비평할지 모른다. 물론 성격적인 요인을 고려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사람의 성격에 따라 순응의 정도가 차이가 있다는 점은 인정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위치와 자신에 대해 의심을 갖고 반성하고 틀에 박힌 사고방식과 태도에 대해 비판을 할 수 있다면 우리는 오늘날 자유 민주주의 사회에서 ‘바르게’ 살아가고 있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 민주주의는 역사의 미래를 권력에게만 맡기는 체제가 아니다. 그것은 그 공동체 내부의 그 누구라도, 필요하다면 시대적 한계를 돌파하는 행위와 선택을 하는 것이 정당함을 적극 인정하는 체제이다. 그 권리가 박탈된 사회는 소수의 특권을 위해 존재하는 사회이다.
우리의 생존과 미래를 위협하는 진정한 적은 도대체 누구인가? 그것은 현 사회에서 상호이해를 위한 사상적 노력을 가로막는 일체의 사고와 행위, 제도일 수도 있을 것이다. 무지와 편견에 안주하는 사회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런 사회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바로 현대 사회를 살고 있는 현대인들의 순응에 대한 ‘자각 없음’ 때문이 아닐까? 자신의 미래를 가로막고, 민주주의의 사상적 근본을 유린하는 것은 권력과 기존의 이념에 암묵적으로 순응하고 있는 우리들일 것이다.
  • 가격1,6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08.31
  • 저작시기2004.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46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