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리하르트 바그너 (1813-1883년) 독일
2.프레데릭 쇼팽 (1810-1849년) 폴란드
2.프레데릭 쇼팽 (1810-1849년) 폴란드
본문내용
19세기로 가는 과도기에 있었고 어떤 조라도 마음대로 연주할 수 있는 형편이 못되었다.
물론 그것을 꼭 요구해야할 필요성도 없었던 것 같다.
관악기의 반음에는 이따금 특수한 손가락의 바꿈이 필요했었고, 그 음정은 연주자의 기술에 따라 편차가 컸다.
한편, 큰 편성으로 연주하는 교향곡의 경우 오늘날과 같이 몇 번이고 리허설을 하는 습관은 없었고 경우에 따라서는 연주 당일에 비로소 악보를 보는 일도 그다지 보기 어려운 장면은 아니었다.
즉, 작품의 좋은 결과를 원하기 위해서는 색다른 조를 선택할 여유가 없었던 것 같다.
이 점에 있어서 에스테르 하지 후작의 악장이었던 요제프는 소위 전용 오케스트라가 있었기 때문에 볼프강보다는 대담한 일을 할 수 있었던 것 같다.
실내악과 클라비어곡의 경우는 오케스트라와 달라서 연습시간은 확실하게 잡을 수 있었다.
그러나 출판에 의한 수입을 기대(피아노소나타 같은 곡)하는 한, 보통 잘 쓰이지 않는 조성으로 쓰는 것은 현명한 처사가 아니었던 것 같다.
많은 연습을 거듭한다해도 치기 어려운 곡을 일부러 사려는 귀족들은 별로 없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볼프강이 사용한 조의 범위가 좁았다는 것은 그리 문제삼을 일이 아닐 것이다.
제 마음대로 움직일 수 있는 오케스트라도 없었고, 출판사와 관계에 있어서도 요제프와 같은 인기작가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더구나 볼프강은 연주불가능한 곡을 쓸 만큼의 몽상가는 결코 아니었으며 모든 악기의 성능에 정통하였고, 부친으로부터 작곡가로서의 장인교육을 철저히 받았다.
볼프강에게는 이와 같은 한정된 조의 범위 내에서 천변만화의 음악을 자유로이 쓸 수 있는 능력이 부여되어 있었다.
그의 능력은 테두리 밖을 벗어날 필요를 느끼지 못하게 만들었고 한계라는 것이 없었다.
단조작품에 관해서는 문제가 좀 복잡해진다.
전체 작품 중에서 차지하는 분량이 너무나 적은데다 너무나도 적은데 반비례하는 듯 '모짜르트의 단조'에 관련된 논의는 무수히 많기 때문이다.
사단조의 교향곡, 가단조의 피아노소나타, 마단조의 바이올린소나타, 레퀴엠 등등에서 볼프강의 악마성이니, 어머니의 죽음에대한 환상이니, 자신의 죽음에 대한 예감이니 하는 후세사람들의 상상이 난무했다.
빈 시절에 단조작품이 많아진 것도 단조에 볼프강자신의 고뇌와 동경, 고독이 반영된 증거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볼프강의 단조를 낭만파의 단조와 동일시하기는 어렵다. (개인적인 심정과 문학적 정서를 음으로 고백하려한 낭만주의자들의 단조와 볼프강의 단조는 아무래도 거리가 있다. )
볼프강은 한번도 자신의 개인을 감정을 음으로 표현하지 않은 것 같다.
볼프강은 언제 어떠한 상태에서도 어떠한 스타일의 곡이라도 자유롭게 쓸 수 있었다.
따라서 어머니의 죽음에대한 슬픔, 고독을 음으로 표현하려 했던 것(낭만파처럼)이 아니라 자신밖에 있는 추상적인 비극(오페라아리아, 레퀴엠,?등등)에 자신의 감정이 반영된 것이라고 보는 것일 옳을 것 같다.
볼프강은 조의 사용에 관해 보수적인 작곡가 였다. (쇼팽의 악보를 본 적이 있는가? 일단 보시길)
그것은 변화기호의 범위와 단조의 체택에 대해서 말할 수 있다.
그러나 볼프강은 기성의 테두리를 벗어날 필요가 없었다.
기존의 비좁은 틀 안에서 답답함을 느끼고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해내는 개척자의 세계는 완전히 볼프강의 영역이 아니었다.
그것은 아무리 비좁은 틀도 볼프강의 천재성을 제한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R E O P R T 제 목: 쇼팽과 바그너의 약력과 감상
학 과: 컴퓨터 공학과
과목명: 음악의 이해
교수명: 박종배 교수님
제출일: 1998년 월 일
학 년: 학년
학 번: 9
성 명:
물론 그것을 꼭 요구해야할 필요성도 없었던 것 같다.
관악기의 반음에는 이따금 특수한 손가락의 바꿈이 필요했었고, 그 음정은 연주자의 기술에 따라 편차가 컸다.
한편, 큰 편성으로 연주하는 교향곡의 경우 오늘날과 같이 몇 번이고 리허설을 하는 습관은 없었고 경우에 따라서는 연주 당일에 비로소 악보를 보는 일도 그다지 보기 어려운 장면은 아니었다.
즉, 작품의 좋은 결과를 원하기 위해서는 색다른 조를 선택할 여유가 없었던 것 같다.
이 점에 있어서 에스테르 하지 후작의 악장이었던 요제프는 소위 전용 오케스트라가 있었기 때문에 볼프강보다는 대담한 일을 할 수 있었던 것 같다.
실내악과 클라비어곡의 경우는 오케스트라와 달라서 연습시간은 확실하게 잡을 수 있었다.
그러나 출판에 의한 수입을 기대(피아노소나타 같은 곡)하는 한, 보통 잘 쓰이지 않는 조성으로 쓰는 것은 현명한 처사가 아니었던 것 같다.
많은 연습을 거듭한다해도 치기 어려운 곡을 일부러 사려는 귀족들은 별로 없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볼프강이 사용한 조의 범위가 좁았다는 것은 그리 문제삼을 일이 아닐 것이다.
제 마음대로 움직일 수 있는 오케스트라도 없었고, 출판사와 관계에 있어서도 요제프와 같은 인기작가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더구나 볼프강은 연주불가능한 곡을 쓸 만큼의 몽상가는 결코 아니었으며 모든 악기의 성능에 정통하였고, 부친으로부터 작곡가로서의 장인교육을 철저히 받았다.
볼프강에게는 이와 같은 한정된 조의 범위 내에서 천변만화의 음악을 자유로이 쓸 수 있는 능력이 부여되어 있었다.
그의 능력은 테두리 밖을 벗어날 필요를 느끼지 못하게 만들었고 한계라는 것이 없었다.
단조작품에 관해서는 문제가 좀 복잡해진다.
전체 작품 중에서 차지하는 분량이 너무나 적은데다 너무나도 적은데 반비례하는 듯 '모짜르트의 단조'에 관련된 논의는 무수히 많기 때문이다.
사단조의 교향곡, 가단조의 피아노소나타, 마단조의 바이올린소나타, 레퀴엠 등등에서 볼프강의 악마성이니, 어머니의 죽음에대한 환상이니, 자신의 죽음에 대한 예감이니 하는 후세사람들의 상상이 난무했다.
빈 시절에 단조작품이 많아진 것도 단조에 볼프강자신의 고뇌와 동경, 고독이 반영된 증거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볼프강의 단조를 낭만파의 단조와 동일시하기는 어렵다. (개인적인 심정과 문학적 정서를 음으로 고백하려한 낭만주의자들의 단조와 볼프강의 단조는 아무래도 거리가 있다. )
볼프강은 한번도 자신의 개인을 감정을 음으로 표현하지 않은 것 같다.
볼프강은 언제 어떠한 상태에서도 어떠한 스타일의 곡이라도 자유롭게 쓸 수 있었다.
따라서 어머니의 죽음에대한 슬픔, 고독을 음으로 표현하려 했던 것(낭만파처럼)이 아니라 자신밖에 있는 추상적인 비극(오페라아리아, 레퀴엠,?등등)에 자신의 감정이 반영된 것이라고 보는 것일 옳을 것 같다.
볼프강은 조의 사용에 관해 보수적인 작곡가 였다. (쇼팽의 악보를 본 적이 있는가? 일단 보시길)
그것은 변화기호의 범위와 단조의 체택에 대해서 말할 수 있다.
그러나 볼프강은 기성의 테두리를 벗어날 필요가 없었다.
기존의 비좁은 틀 안에서 답답함을 느끼고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해내는 개척자의 세계는 완전히 볼프강의 영역이 아니었다.
그것은 아무리 비좁은 틀도 볼프강의 천재성을 제한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R E O P R T 제 목: 쇼팽과 바그너의 약력과 감상
학 과: 컴퓨터 공학과
과목명: 음악의 이해
교수명: 박종배 교수님
제출일: 1998년 월 일
학 년: 학년
학 번: 9
성 명:
추천자료
[음악] 국악의 이해
음악치료 연구
음악평가(음악교육평가, 음악과평가)의 행동유형, 음악평가(음악교육평가, 음악과평가)의 실...
한국전통음악(국악) 의미, 한국전통음악(국악) 분류, 한국전통음악(국악) 특성, 한국전통음악...
음악과교육 창작수업(창작활동중심학습) 개념과 음악적 발달이론, 음악과교육 창작수업(창작...
음악(음악과교육) 감상중심학습과 가창중심학습(가창지도), 음악(음악과교육) 창작중심학습(...
음악과 창작활동중심학습(창작수업)의 의미와 이론적 배경, 음악과 창작활동중심학습(창작수...
음악과(음악교육) 창작중심학습(창작지도)과 가창중심학습(가창지도), 음악과(음악교육) 기악...
음악과(음악수업, 음악교육)의 목적, 음악과(음악수업, 음악교육)의 성격, 음악과(음악수업, ...
음악과교육과정(음악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 음악과교육과정(음악교육과정)의 개정중점, 음...
음악치료의 개념, 음악치료의 역사, 음악치료의 원리, 음악치료의 어머니와 아기의 양자모델,...
음악과교육 보고부르기학습의 중요성, 음악과교육 보고부르기학습의 기능, 음악과교육 보고부...
음악의 표절 표절의 이해
음악감상지도(음악감상교육) 원리, 음악감상지도(음악감상교육) 단계, 음악감상지도(음악감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