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과 신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과학의 전제
2. 과학의 방법론과 타당성
3. 성서 신학의 방법론
Ⅲ. 결 론

본문내용

실험에 의해 부인되면 아무런 쓸모가 없는 것 이다. 경험된 사실과 실험적 결과를 가능한 한 설득력 있게 잘 설명할 때 그 과학의 참됨이 인정받게 되는 것이다.
신학의 입장과 과학의 입장에 공통점이 있다면 바로 이러한 부분일 것이다. 신학은 우주를 창조하고 다스리는 신의 존재를 전 제하며 신의 피조물인 인간과 우주는 서로 조화를 이루도록 창조되었다고 보는 것이다. 우리의 눈은 보는 것을 위해 고안되었기 에 우리의 시각이 의미가 있으며 마찬가지로 우리의 경험과 우주의 실재가 어느 정도 참다운 관계를 맺고 있다고 가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것은 우주의 물질과의 관계뿐만 아니라 영적인 현상에도 적용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적어도 우리의 참된 경험 과 반대되는 이론 체계는 받아들일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신학에서 제 1원리로 삼고 있는 계시로서의 성서는 참된 과학과 모순이 없어야 한다. 이것이 바로 신의 신실함에 대한 믿음의 근거라고 여겨지는 것이다. 물론 신학은 이론 체계를 구성하는 방법 면에 서 과학과는 전적으로 다르다. 과학의 경우 진리를 만들어 간다면 신학은 먼저 계시로서의 진리를 선포한다. 그러나 공통적으로 신학과 과학은 우리의 경험이 그 이론 체계를 지지할 때에 우리에게 깊은 의미로 다가오는 것이다. 그것은 신학과 과학이 철학과 는 달리 막연한 공상의 세계가 아니어야 하는 까닭이다. 과학의 전제가 타당하다고 가정할 때 적어도 칸트의 규정에 따르는 참된 과학은 성서와의 모순이 발견되지 않는다. 단지 검증될 수 없는 과학 이론(진화론의 경우)과 성서와의 충돌 , 혹은 참된 과학 이론과 잘못된 성서 해석(천동설의 경우)과의 충돌만이 존재했을 뿐이다. 이러한 견해는 오늘날 많은 창조 과학자들에 의해 지지 된다.
과학과 신학은 대립하는 것이라기 보다는 상호 보완적인 것이다. 성서 신학의 입장에서 과학에 대해 제안을 한다면 과학은 과 학의 위치를 늘 점검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눈부신 과학 업적의 성과 사이에 모습을 숨겨온 비과학적인 과학의 이론들을 발견 하고 재고 한다면 과학이 편협하고 막다른 골목으로 치우치는 것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성서신학은 신빙성 있는 과학적 결과들을 겸허히 받아들이고 과학을 대립되는 학문이 아닌 성서의 계시를 더 잘 설명해줄 수 있는 보완적 학문으로 존중해야할 것이다. 과학과 신학에 대한 폭넓은 연구들이 많이 제시 되어질 것을 기대한다.
참고문헌
Henry M. Morris,『현대 과학의 성서적 기초』, 이현모/최지남역, 요단출판사, 1988
박윤선, 『성경 신학』, 영음사, 1971
조인래, 『쿤의 주제들 : 비판과 대응』, 이화 여자대학교 출판부, 1997
김해연, 『개혁파 신학 개론』, 성광문화사, 1996
George S. Hendry, 『자연 신학』, 강성두역, 대한 기독교서회, 1993
Richard Schaeffler, 『종교 철학』, 김영필역, 도서출판 이론과 실천, 1994
Paul Davies, 『현대 물리학이 발견한 창조주』, 류시화역, 정신 세계사, 1988

키워드

과학,   신학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2.09.22
  • 저작시기20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38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