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고대 그리스•로마 시대의 격투 스포츠
2. 현대의 격투스포츠
3. 고대 그리스•로마 시대의 격투 스포츠와 현대의 격투스포츠 차이
1) 오락성
2) 공격성과 폭력성
3) 생존의 게임
4) 신분
5) 권력과 정치적 영향
6) 사회화
7) 가치관
4. 고대 그리스•로마 시대의 격투 스포츠와 현대의 격투스포츠 차이에 대한 사례
1) 고대 그리스•로마 시대의 격투 스포츠 사례 – 판크라티온(생존을 위한 투쟁)
2) 현대의 격투 스포츠 사례 – UFC(스포츠 사회화)
5.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고대 그리스•로마 시대의 격투 스포츠
2. 현대의 격투스포츠
3. 고대 그리스•로마 시대의 격투 스포츠와 현대의 격투스포츠 차이
1) 오락성
2) 공격성과 폭력성
3) 생존의 게임
4) 신분
5) 권력과 정치적 영향
6) 사회화
7) 가치관
4. 고대 그리스•로마 시대의 격투 스포츠와 현대의 격투스포츠 차이에 대한 사례
1) 고대 그리스•로마 시대의 격투 스포츠 사례 – 판크라티온(생존을 위한 투쟁)
2) 현대의 격투 스포츠 사례 – UFC(스포츠 사회화)
5.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계약하면서 우수한 경기력으로 국내에 그 저변을 넓혀가고 있는 중이다. 2015년 11월에는 UFC 공식대회가 서울에서 개최되어 높은 국내의 인기를 반영하고 있다.
5. 나의 의견
인류의 격투기는 급작스럽게 전개된 것이 아니라 역사와 함께 기원전부터 시작되었다 할 수 있다. 인류 최초의 문명인 메소포타미아 유적에서 레슬링에 관한 기록이 등장하는 것과 4,000년 전 이집트 묘지벽화에서 발견된 342가지에 달하는 격투기술에 대한 그림들을 볼 때 격투기는 인류의 시작과 함께 생존을 위한 본능적 삶의 형태 및 문화 형태로 존재 한다고 볼 수 있다. 이종격투기의 역사적 근원을 살펴본다면 서양의 이종격투기는 고대 그리스의 레슬링, 권투, 그리고 레슬링과 권투의 혼합형인 판크라티온까지 거슬러 올라 갈 수 있다. 판크라티온은 고대 그리스 아테네와 스파르타에서 행해진 격투기이며, 그 이름은 ‘모든’ 이란 뜻의 판(pan)과 ‘힘’ 이라는 뜻의 크라토스(kratos)가 합성된 말이다. 사람을 주먹으로 치는 경기를 복싱이라고 하고, 사람을 붙잡아 넘어트리는 모든 기술을 사용하는 경기를 레슬링이라고 하였는데, 이 두 가지 운동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경기를 판크라티온 이라 하였다. 철학자 플라톤은 판크라티온을 “불완전한 레슬링과 불완전한 복싱이 결합된 경기” 라고 하였다. 승부는 한사람이 항복할 때 서야 결정되었는데, 고대 시대에 있어 판크라티온은 잔인성 때문에 오히려 매우 인기가 높은 경기 종목으로 부상했다. 판크라티온에서는 주먹과 발차기 목조르기 등 거의 모든 행위가 허용되었는데 눈을 찌르기, 물어뜯기, 급소공격은 반칙으로 금지되었다. 스탠딩자세에서 승부가 나지 않으면 상대를 넘어뜨려서 조르거나 팔을 비틀었고 고통을 참지 못하면 둘째손가락을 펴서 올리거나 상대의 등을 손바닥으로 쳐서 항복을 표시해야 했으며, 승부에 무승부란 없고 승리 아니면 항복뿐이었다. 현대의 이종격투기는 동양무예에서 정신성을 배제하고 실전성만을 부각시킨 후 여기에 스포츠의 다양한 공방기법을 혼합시켜 만들어진 신종격투기이다. 이종(異種)격투기는 인간의 투쟁 본성에 따른 본능적 욕구를 발산하여 실전적 가치를 지닌 기술들을 뽑아내어 공격의 성공가능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전한 스포츠이며, 태권도, 가라테, 복싱, 킥복싱, 유도, 레슬링, 무에타이, 주짓수, 합기도 등 다양한 격투기선수들이 종목에 구애 받지 않고 이종(異種)간의 실력을 겨루는 것을 말한다. 과거 “인간의 폭력성을 부각시켜 청소년에게 나쁜 영향을 미친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았지만 오히려 그 같은 냉혹한 싸움 방식 덕에 ‘리얼 스포츠’로 인기를 더해가고 있는 추세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고대 그리스 로마 시대의 격투 스포츠와 현대의 격투스포츠에는 차이가 있다. 그 차이가 무엇인지 양시대의 격투스포츠의 사례를 들어 설명하고 왜 차이가 발생하는지에 대한 이유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논해 보았다. 고대의 올림픽 경기의 경기종목은 단거리경주 뿐 이었으나, BC 708년 제18회부터 레슬링과 5종 경기 등 점차 경기 종목이 증가하여 전성기에는 13개 종목에 이르렀다. BC 632년 제37회부터는 레슬링, 복싱, 판크라티온 등이 실시되었는데, 사람을 주먹으로 치는 경기를 복싱(Boxing)이라고 하고, 사람을 붙잡아 넘어뜨리는 모든 기술을 레슬링(Wrestling)이라고 하는데, 이 두 가지 운동을 결합한 경기를 판크라티온(Pankration)이라고 불렀다. 판크라티온에서는 주먹과 발차기, 목조르기 등 모든 행위가 허용되었는데, 오직 깨물기와 눈 후벼파기만 파울로 인정되었다. 승부는 한 사람이 항복할 때서야 결정되었는데, 경기의 잔인성 때문에 인기가 매우 높은 종목으로 부상했다. 필로스트라토스(philosratos)는 판크라티온을 올림픽경기에서가장 멋진 경기로 묘사했으며, 사람들은 이 경기에는 “사자의 힘과 여우의 지혜”가필요하다고 말했다. 위의 문헌의 내용들을 종합해서 오늘날의 이종격투기와 무규칙경기들과 비교를 해보면 현재 진행되고 있는 많은 종류의 격투기들이 올림픽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권오선, 오동섭 (2003). 그리스 격투스포츠. 서울 :대한미디어.
강철(2005). 이종격투기, 스포츠인가? 연세학술논문집.
김이수, 지동철(2006). 현대사회에서 이종격투기의 인식에 관한 고찰. 한국체육철학회지.
김정헌, 신승엽, 육종술(2009). 이종격투기 관람만족요인이 충성도 및 재관람 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 나의 의견
인류의 격투기는 급작스럽게 전개된 것이 아니라 역사와 함께 기원전부터 시작되었다 할 수 있다. 인류 최초의 문명인 메소포타미아 유적에서 레슬링에 관한 기록이 등장하는 것과 4,000년 전 이집트 묘지벽화에서 발견된 342가지에 달하는 격투기술에 대한 그림들을 볼 때 격투기는 인류의 시작과 함께 생존을 위한 본능적 삶의 형태 및 문화 형태로 존재 한다고 볼 수 있다. 이종격투기의 역사적 근원을 살펴본다면 서양의 이종격투기는 고대 그리스의 레슬링, 권투, 그리고 레슬링과 권투의 혼합형인 판크라티온까지 거슬러 올라 갈 수 있다. 판크라티온은 고대 그리스 아테네와 스파르타에서 행해진 격투기이며, 그 이름은 ‘모든’ 이란 뜻의 판(pan)과 ‘힘’ 이라는 뜻의 크라토스(kratos)가 합성된 말이다. 사람을 주먹으로 치는 경기를 복싱이라고 하고, 사람을 붙잡아 넘어트리는 모든 기술을 사용하는 경기를 레슬링이라고 하였는데, 이 두 가지 운동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경기를 판크라티온 이라 하였다. 철학자 플라톤은 판크라티온을 “불완전한 레슬링과 불완전한 복싱이 결합된 경기” 라고 하였다. 승부는 한사람이 항복할 때 서야 결정되었는데, 고대 시대에 있어 판크라티온은 잔인성 때문에 오히려 매우 인기가 높은 경기 종목으로 부상했다. 판크라티온에서는 주먹과 발차기 목조르기 등 거의 모든 행위가 허용되었는데 눈을 찌르기, 물어뜯기, 급소공격은 반칙으로 금지되었다. 스탠딩자세에서 승부가 나지 않으면 상대를 넘어뜨려서 조르거나 팔을 비틀었고 고통을 참지 못하면 둘째손가락을 펴서 올리거나 상대의 등을 손바닥으로 쳐서 항복을 표시해야 했으며, 승부에 무승부란 없고 승리 아니면 항복뿐이었다. 현대의 이종격투기는 동양무예에서 정신성을 배제하고 실전성만을 부각시킨 후 여기에 스포츠의 다양한 공방기법을 혼합시켜 만들어진 신종격투기이다. 이종(異種)격투기는 인간의 투쟁 본성에 따른 본능적 욕구를 발산하여 실전적 가치를 지닌 기술들을 뽑아내어 공격의 성공가능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전한 스포츠이며, 태권도, 가라테, 복싱, 킥복싱, 유도, 레슬링, 무에타이, 주짓수, 합기도 등 다양한 격투기선수들이 종목에 구애 받지 않고 이종(異種)간의 실력을 겨루는 것을 말한다. 과거 “인간의 폭력성을 부각시켜 청소년에게 나쁜 영향을 미친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았지만 오히려 그 같은 냉혹한 싸움 방식 덕에 ‘리얼 스포츠’로 인기를 더해가고 있는 추세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고대 그리스 로마 시대의 격투 스포츠와 현대의 격투스포츠에는 차이가 있다. 그 차이가 무엇인지 양시대의 격투스포츠의 사례를 들어 설명하고 왜 차이가 발생하는지에 대한 이유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논해 보았다. 고대의 올림픽 경기의 경기종목은 단거리경주 뿐 이었으나, BC 708년 제18회부터 레슬링과 5종 경기 등 점차 경기 종목이 증가하여 전성기에는 13개 종목에 이르렀다. BC 632년 제37회부터는 레슬링, 복싱, 판크라티온 등이 실시되었는데, 사람을 주먹으로 치는 경기를 복싱(Boxing)이라고 하고, 사람을 붙잡아 넘어뜨리는 모든 기술을 레슬링(Wrestling)이라고 하는데, 이 두 가지 운동을 결합한 경기를 판크라티온(Pankration)이라고 불렀다. 판크라티온에서는 주먹과 발차기, 목조르기 등 모든 행위가 허용되었는데, 오직 깨물기와 눈 후벼파기만 파울로 인정되었다. 승부는 한 사람이 항복할 때서야 결정되었는데, 경기의 잔인성 때문에 인기가 매우 높은 종목으로 부상했다. 필로스트라토스(philosratos)는 판크라티온을 올림픽경기에서가장 멋진 경기로 묘사했으며, 사람들은 이 경기에는 “사자의 힘과 여우의 지혜”가필요하다고 말했다. 위의 문헌의 내용들을 종합해서 오늘날의 이종격투기와 무규칙경기들과 비교를 해보면 현재 진행되고 있는 많은 종류의 격투기들이 올림픽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권오선, 오동섭 (2003). 그리스 격투스포츠. 서울 :대한미디어.
강철(2005). 이종격투기, 스포츠인가? 연세학술논문집.
김이수, 지동철(2006). 현대사회에서 이종격투기의 인식에 관한 고찰. 한국체육철학회지.
김정헌, 신승엽, 육종술(2009). 이종격투기 관람만족요인이 충성도 및 재관람 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