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음과 율법의 관계를 다룸
3절 복음은 율법이 모형으로 제시한 것을 명확하게 가리킨다.
4절 복음은 구원의 다른 방법을 제시할만큼 율법전체를 밀어내고 그 자리를 대신 차지 하지는 않는다.오히려 복음은 율법의 약속을 모두 확증하고 만족시키며 그림자에 실체를 부여하였다. 율법전체와의관련에서복음은 그 계시의 명백성에 있어서만 율 법과 다르다.
10장 구약과 신약의 유사점
-구약에서의계약은 실제적으로 신약에서의 계약과 같은 것이다.
2절 일치하는중요점들-세가지를 주목 1) 육체적 번영과 행복이 유대인앞에 놓여진 목표 를 조성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그들은 불멸의 희망 안으로 선택되어졌다 2) 그들 을 주님과 묶어주는 계약은 그들자신의장점에의해서가 아니라오직 그들을부르신 하 나님의 자비하심에 의해 유지되었다 3) 그들은 그리스도를 중재자로서가졌고또알았 다. 그를 통해 그들은 하나님과 함께 되었고하나님의약속을 함께공유할 수있었다.
4절 옛계약에서도칭의는 오직은총으로부터만 그것의 효능을 얻어낸다.
11-22절 주로 구약성경의 인물들을소개하면서 이들의신앙과 소망을 예증함으로 구약과 신약이 동일한구원과 신앙을촉구한다는 사싶을 입증한다. 아브라함, 이삭, 야곱, 다윗, 에스겔...
11장 구약과 신약의 차이점
-주요한 차이점은 네가지이며, 한가지를 덧붙여도 상관없다. 이 차이점들은 실체에서가 아니라 섭리양식(mode of dispensation)에서이다.
1) 주님은 그의 백성들이 천국의 유산을 향하여 마음을 향하도록 하시되, 구약은 낮은 수준의 훈련법으로서 지상의 은혜 아래서 맛보게 하고, 신약은 우리의 마음을 직접 적으로 인도하신다.
2) 구약은 실체 대신에 상징과그림자를 보여주되, 신약은 현존하는 대로 진리의 바로 그 실체를 나타낸다.
3) 구약은 다분히 율법적이고 신약은 복음적이다.
4) 구약은 인간을 속박하되 신약은자유케 한다.
5) 구약은 한 나라(민족)과 관련있지만, 신약은 모든 나라들과 관련있다.
문제제기) 1. 신약과 구약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정리해보자.
2. 신구약의 하나님과 우리 한민족의 하나님임을, 또 신약의 그리스도가 우리 민 족을 위한 그리스도임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12장 그리스도는 중보자의 직무를 다하기 위하여 인간이 되어야만 했다.
1-3절 중보자가 하나님인 동시에 사람이어야만 했던 이유들. 1절 참하나님이시며 동시 에 참사람인 분만이 하나님과 우리 사이의 거리를 연결할 수 있다.2절 중보자는 참하나님이며 동시에 참인간이셔야만 했다.3절 참하나님이며 참인간이신 분만이 우리 대신에 복종할 수 있었다.
4-7절 이교리를 반대하는 자들에 대한 반론들
오시안더 : 인간은 메시야의 패턴을 따라 창조되었는데, 그리스도를 통하여 보여 지는 하나님의 형상인 그(예수)에게 일치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오신안더는 성육 신을 인정하지만 그목적이 반드시 구속일 필요는 없다고 본다. 그에게 있어서는 창조의 완성이 더 중요한 것임.
13장 그리스도는 인간의 육신을 한 참 모습을 하셨다.
-고대 이교도에 관해 깔뱅은 메노시몬즈에게 대답하였다.
3절 복음은 율법이 모형으로 제시한 것을 명확하게 가리킨다.
4절 복음은 구원의 다른 방법을 제시할만큼 율법전체를 밀어내고 그 자리를 대신 차지 하지는 않는다.오히려 복음은 율법의 약속을 모두 확증하고 만족시키며 그림자에 실체를 부여하였다. 율법전체와의관련에서복음은 그 계시의 명백성에 있어서만 율 법과 다르다.
10장 구약과 신약의 유사점
-구약에서의계약은 실제적으로 신약에서의 계약과 같은 것이다.
2절 일치하는중요점들-세가지를 주목 1) 육체적 번영과 행복이 유대인앞에 놓여진 목표 를 조성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그들은 불멸의 희망 안으로 선택되어졌다 2) 그들 을 주님과 묶어주는 계약은 그들자신의장점에의해서가 아니라오직 그들을부르신 하 나님의 자비하심에 의해 유지되었다 3) 그들은 그리스도를 중재자로서가졌고또알았 다. 그를 통해 그들은 하나님과 함께 되었고하나님의약속을 함께공유할 수있었다.
4절 옛계약에서도칭의는 오직은총으로부터만 그것의 효능을 얻어낸다.
11-22절 주로 구약성경의 인물들을소개하면서 이들의신앙과 소망을 예증함으로 구약과 신약이 동일한구원과 신앙을촉구한다는 사싶을 입증한다. 아브라함, 이삭, 야곱, 다윗, 에스겔...
11장 구약과 신약의 차이점
-주요한 차이점은 네가지이며, 한가지를 덧붙여도 상관없다. 이 차이점들은 실체에서가 아니라 섭리양식(mode of dispensation)에서이다.
1) 주님은 그의 백성들이 천국의 유산을 향하여 마음을 향하도록 하시되, 구약은 낮은 수준의 훈련법으로서 지상의 은혜 아래서 맛보게 하고, 신약은 우리의 마음을 직접 적으로 인도하신다.
2) 구약은 실체 대신에 상징과그림자를 보여주되, 신약은 현존하는 대로 진리의 바로 그 실체를 나타낸다.
3) 구약은 다분히 율법적이고 신약은 복음적이다.
4) 구약은 인간을 속박하되 신약은자유케 한다.
5) 구약은 한 나라(민족)과 관련있지만, 신약은 모든 나라들과 관련있다.
문제제기) 1. 신약과 구약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정리해보자.
2. 신구약의 하나님과 우리 한민족의 하나님임을, 또 신약의 그리스도가 우리 민 족을 위한 그리스도임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12장 그리스도는 중보자의 직무를 다하기 위하여 인간이 되어야만 했다.
1-3절 중보자가 하나님인 동시에 사람이어야만 했던 이유들. 1절 참하나님이시며 동시 에 참사람인 분만이 하나님과 우리 사이의 거리를 연결할 수 있다.2절 중보자는 참하나님이며 동시에 참인간이셔야만 했다.3절 참하나님이며 참인간이신 분만이 우리 대신에 복종할 수 있었다.
4-7절 이교리를 반대하는 자들에 대한 반론들
오시안더 : 인간은 메시야의 패턴을 따라 창조되었는데, 그리스도를 통하여 보여 지는 하나님의 형상인 그(예수)에게 일치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오신안더는 성육 신을 인정하지만 그목적이 반드시 구속일 필요는 없다고 본다. 그에게 있어서는 창조의 완성이 더 중요한 것임.
13장 그리스도는 인간의 육신을 한 참 모습을 하셨다.
-고대 이교도에 관해 깔뱅은 메노시몬즈에게 대답하였다.
추천자료
공동체 운동
성찬에 대한 루터, 쯔빙글리, 칼빈의 견해 비교
[신][신의 현실성][신의 창조][신의 속성][신의 삼위일체][신의 존재성]신의 현실성, 신의 창...
한국과 한국인에게 종교-유교의 의미
한국교회와 교회성장
토마스 아퀴나스와 스콜라주의
해방 전후사의 개신교(1920~1970)
조직신학과 다른 신학과의 학문적 방법론이 다른이유
침례교구원론 (칼빈주의와 알미니안 주의 비교) [논문] (타락의 중요성과 견해, 인간의 타락,...
(일본 군국주의 통치하의) 교회의 시련과 교회의 마지막 변절
초대교회 교부들을 통한 정통적 삼위일체론의 발전과 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