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하개발안젠다 협상 동향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협상 개요
1. 출범 경과
2. 협상의제, 방식 및 기간
3. 의의 및 경제적 효과

Ⅱ. 협상 동향
1. 7월말까지의 협상 경과
2. 분야별 동향 및 주요쟁점
3. 평가 및 전망

Ⅲ. 우리의 대응현황
1. 협상이 우리 나라에 미치는 영향
2. 기본 방침
3. 협상 수행체제

본문내용

통한 협상 대책 수립
3. 협상 수행체제
가. 정부 협상 체제
ㅇ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정점으로 한 범정부적 협상체제를 운영 중
- 부처별로 대책반을 설치, 소관분야 대책안을 마련하고, 대외경제실무조정회의를 거쳐 대외경제장관회의에서 주요사안 결정
- 대외교섭은 외교통상부가 주관
· 이를 위한 task force로 통상교섭본부에 DDA협상실 설치
DDA협상실의 구성 및 역할
ㅇ 협상실장 (차관보급)
ㅇ 7개 협상반
- 총괄, 농업, 서비스, 비농산물, 규범, 환경, 싱가폴 이슈 (투자, 경쟁정책 등)
- 각 반장은 통상교섭본부 국장.심의관이 담당, 협상회의에 수석대표로 참석
- 반원은 통상교섭본부 직원 및 KIEP 등 민간전문가로 구성
ㅇ DDA협상실, 관계부처 및 관련 공관과의 정보 교환 및 협의를 위한 별도의 인터넷망(DDA Intranet) 구축
- 24개 주요공관을 DDA 공관으로 지정
나. 이해단체 및 국민과의 협의 체제
ㅇ 민.관 합동포럼 (공동의장: 경제부총리, 대한상의회장)
ㅇ 대통령 자문기구인 농어업.농어촌특별대책위원회 설치
ㅇ 외교부/KIEP 주관 분야별 연찬회 (월 2회)
ㅇ 기타 협상 관련 자료 제공 및 세미나, 설명회 등 개최. 끝.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2.09.26
  • 저작시기20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43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